[2012/08/06] 우리말) 넓다랗다와 널따랗다

조회 수 7295 추천 수 0 2012.08.06 09:45:51

꽤 넓은 것은 '넓다랗다'가 아니라 '널따랗다'이고,
꽤 짧은 것은 '짧다랗다'가 아니라 '짤따랗다'인데,
꽤 긴 것은 '길다랗다'가 아니라 '기다랗다'가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애들과 같이 도서관과 마트에 가서 보냈습니다.
집에서는 너무 더워서 도저히 있을 수가 없더군요. ^^*
텔레비전으로 올림픽을 보는 것도 더위를 쫓는 좋은 방법 가운데 하나였습니다

며칠 전에 있었던 축구를 참 재밌게 봤습니다.
축구 종구국이라는 영국과 맞서 참으로 멋진 경기를 펼쳤습니다.
널따란 운동장을 맘껏 뛰어다니며 전반전후반전연장전까지 지치지 않고 뛰는 모습에 감동했습니다.

우리말에 '널따랗다'는 낱말이 있습니다.
공간을 나타내는 이름씨(명사)와 함께 쓰여
"
꽤 넓다."는 뜻으로
널따란 평야방이 널따랗다아기가 널따란 아빠 품에 안겨 잠이 들었다처럼 씁니다.

여기서 '다랗'은 일부 그림씨(형용사뒤에 쓰여 그 정도가 꽤 뚜려하다는 뜻을 더합니다.
굵다랗다좁다랗다높다랗다깊다랗다가 그렇게 쓰인 겁니다.

문제는
크기나 모양길이깊이 따위를 나타내는 그림씨(형용사뒤에 '다랗'이 붙는 방식에 일정한 규칙이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겁니다.
꽤 넓은 것은 '넓다랗다'가 아니라 '널따랗다'이고,
꽤 짧은 것은 '짧다랗다'가 아니라 '짤따랗다'인데,
꽤 긴 것은 '길다랗다'가 아니라 '기다랗다'가 바릅니다.
꽤 가는 것도 '가느다랗다'고 써야 합니다.
게다가
꽤 잔 것은 '잘다랗다' '자다랗다'가 아니라 '잗다랗다'가 바릅니다.

올림픽에 나간 우리 선수들이
널따란 운동장에서 맘껏 뛰고
기다란 트랙에서 맘껏 달려
좋은 성적을 거두기를 빕니다.

고맙습니다.

보태기)
지난번에 보내드린 '경신/갱신'을 보시고,
고ㄱㅅ 님께서 이런 댓글을 달아주셨습니다.
오늘 편지를 쓰다 보니 이 댓글이 더 가슴에 와 닿네요

"
우리 주변에서 갱신과 경신을 구분해서 정확히 사용하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생각해 봅니다이렇게 복잡하고 까다로운 어법이 우리 세대에는 어찌 통할지 모르나 젊은 세대에게 과연 학습이 될지 자신이 안 서는군요."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
오늘 농촌진흥청 잔치 대단원의 막을 내립니다]

드디어 오늘 농촌진흥청 잔치 대단원의 막을 내립니다.

흔히 어떤 행사를 시작할 때,
'
대단원의 막이 올랐다'라고 하고,
그 행사가 끝날 때,
'
대단원의 막이 내렸다'라고 합니다.

그러나 대단원은 행사가 끝날 때만 씁니다.
대단원(大團圓)은 대미(大尾)와 같은 뜻으로,
"
연극이나 소설 따위에서모든 사건을 해결하고 끝을 내는 마지막 장면"을 말합니다.
단원의 막이 내렸다처럼 씁니다.

어떤 행사의 시작에는 대단원이라는 낱말을 쓰면 안 됩니다.
끝낼 때만 '대단원'이라는 낱말을 씁니다.

저도 이제 좀 쉴 수 있겠죠?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632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1906
2616 [2017/07/12] 우리말) 오늘 자, 오늘 치 머니북 2017-07-13 3715
2615 [2017/07/11] 우리말) 부처님 오신 날 머니북 2017-07-11 3212
2614 [2017/07/10] 우리말) 토마토 머니북 2017-07-11 3595
2613 [2017/07/07] 우리말) 눈그늘, 멋울림 머니북 2017-07-07 2843
2612 [2017/07/06] 우리말) 희귀병 머니북 2017-07-07 3175
2611 [2017/07/05] 우리말) 잔주름 머니북 2017-07-06 3182
2610 [2017/07/04] 우리말) 장애인과 불구 머니북 2017-07-06 2769
2609 [2017/07/03] 우리말) 태풍 난마돌 머니북 2017-07-04 2934
2608 [2017/06/30] 우리말) 7월에 놀러가기 좋은 곳 머니북 2017-06-30 2521
2607 [2017/06/28] 우리말) 한판과 한 판 머니북 2017-06-29 3403
2606 [2017/06/26] 우리말) 뒷담화 머니북 2017-06-28 2760
2605 [2017/06/23] 우리말) 천장인가 천정인가 머니북 2017-06-24 3341
2604 [2017/06/22] 우리말) 서식 머니북 2017-06-22 2948
2603 [2017/06/21] 우리말) 거덜나다 머니북 2017-06-22 2528
2602 [2017/06/20] 우리말) 비슷한 말 꾸러미 사전 머니북 2017-06-22 3495
2601 [2017/06/19] 우리말) 미닫이와 빼닫이 머니북 2017-06-22 4616
2600 [2017/06/16] 우리말) 기억과 생각의 차이 머니북 2017-06-19 5352
2599 [2017/06/14] 우리말) 우둥우둥 머니북 2017-06-14 2493
2598 [2017/06/13] 우리말) 괘념 머니북 2017-06-13 2659
2597 [2017/06/12] 우리말) 빈손으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일 머니북 2017-06-13 27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