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05/24] 우리말) 주스

조회 수 2933 추천 수 0 2012.05.24 09:34:40

외래어를 우리말로 적을 때 ㅈ과 ㅊ 다음에 ㅗ와 ㅛ, ㅓ와 ㅕ, ㅜ와 ㅠ를 가르지 않습니다.
그에 따라, 쥬스가 아니라 주스, 비젼이 아니라 비전, 텔레비젼이 아니라 텔레비전, 챤스가 아니라 찬스라고 써야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여전히 날씨가 참 좋네요. ^^*

어제는 오랜만에 일찍 집에 들어가서 애들과 놀았습니다.
애들 재우고 잠시 텔레비전을 보는데 옥탑방 왕세자라는 드라마에서 '박하네 달달 쥬스'라는 간판이 보이더군요.
쥬스가 눈에 확 띄었습니다. ^^*

외래어를 우리말로 적을 때 ㅈ과 ㅊ 다음에 ㅗ와 ㅛ, ㅓ와 ㅕ, ㅜ와 ㅠ를 가르지 않습니다.
레이져나 레이저나 소리가 거의 같은데 굳이 어렵게 가를 필요가 없는 것이죠.
그래서 외래어를 적을 때는 져, 쥬, 죠를 쓰지 않습니다.
그에 따라, 쥬스가 아니라 주스, 비젼이 아니라 비전, 텔레비젼이 아니라 텔레비전, 챤스가 아니라 찬스라고 써야 바릅니다.

물론
우리말에서 
ㅈ과 ㅊ 다음에 오는 ㅗ와 ㅛ, ㅓ와 ㅕ, ㅜ와 ㅠ의 소리가 똑같다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소리가 거의 같기 때문에 외래어를 적으면서 굳이 갈라 적지 않는 것뿐입니다.

즐겁게 사는 방법 가운데 하나는
날씨와 싸우지 않는 거라고 합니다.
오늘 낮에 덥거든, 여름이 다가오니 더우려니 하시면서 시원한 주스 한 잔 드시는 게 어때요?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빼다 박다 >> 빼닮다/빼쏘다]

어제 아들 이야기 한 김에 오늘 한 번 더 하겠습니다. 

제 아들은 저를 참 많이 닮았습니다.
보는 사람마다
"어쩜 저렇게 지 아버지를 쏙 빼다 박았지?"라고 감탄합니다.
아들이 저를 닮아서 참 잘생겼거든요. ^^*

오늘은 '빼다 박다'를 소개드릴게요.

흔히,
누가 가족 중 한 사람을 매우 닮았을 경우에 흔히 '빼다 박았다'고 말합니다.
그것도 '쏙 빼다 박았다'고 강조합니다.
그러나 이 말은 좀 어색합니다.
무슨 말뚝을 (이곳에서) 빼서 (저곳으로) 박았다면,
빼다 박았다는 말이 될지 몰라도,
사람 모습을 보고,
빼다 박았다고 하면 좀 이상합니다.
뭐, 아빠 코를 빼다가 아기 얼굴에다 박았다는 말도 아닐 것이고... 

이런 때 쓸 수 있는 좋은 우리말이 있습니다.
바로 '빼쏘다'와 '빼닮다'입니다.
'빼쏘다'는,
"성격이나 모습이 꼭 닮다"는 뜻으로,
엄마를 빼쏜 딸, 맏아들은 생김새가 아버지를 빼쐈다처럼 씁니다.

'빼닮다'는,
"생김새나 성품 따위를 그대로 닮다"는 뜻으로,
어머니를 빼닮은 여자 아이, 그는 아버지를 쏙 빼닮았다처럼 씁니다.

제 아들과 제가 닮은 것을 두고 이야기할 때는,
빼쏘다나 빼닮다를 쓰시면 됩니다.

저는,
저를 빼닮은 제 아들이 참 좋습니다. 


보태기)
'자신의'의 다른 말은 '지'가 아니라 '제'입니다.
'제 아버지'라고 해야 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85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535
1196 [2011/03/03] 우리말) 놀라다와 놀래다 moneybook 2011-03-03 3530
1195 [2011/03/02] 우리말) 파워 스폿 moneybook 2011-03-02 3008
1194 [2011/02/28] 우리말) 돋우다와 돋구다 moneybook 2011-02-28 2899
1193 [2011/02/2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moneybook 2011-02-25 2720
1192 [2011/02/24] 우리말) 째, 체, 채 moneybook 2011-02-24 3301
1191 [2011/02/23] 우리말) 댓글 몇 개를 함께 읽고자 합니다 moneybook 2011-02-23 2797
1190 [2011/02/22] 우리말) 개화와 꽃 핌 moneybook 2011-02-22 3188
1189 [2011/02/21] 우리말) 수우미양가 moneybook 2011-02-21 2887
1188 [2011/02/18] 우리말) 이르다 moneybook 2011-02-18 2834
1187 [2011/02/17] 우리말) 들이키다와 들이켜다 moneybook 2011-02-17 3691
1186 [2011/02/16] 우리말) 댓글을 같이 보고자 합니다 moneybook 2011-02-16 3357
1185 [2011/02/15] 우리말) 달걀과 계란 moneybook 2011-02-15 3011
1184 [2011/02/14] 우리말) 님 moneybook 2011-02-14 2788
1183 [2011/02/11] 우리말) 달달하다 moneybook 2011-02-11 3557
1182 [2011/02/10] 우리말) 뜻밖에 moneybook 2011-02-10 2800
1181 [2011/02/09] 우리말) 뉴스 자막 몇 개 moneybook 2011-02-09 3161
1180 [2011/02/08]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moneybook 2011-02-08 3198
1179 [2011/02/07] 우리말) 매듭 moneybook 2011-02-07 2852
1178 [2011/02/01] 우리말) 온새미로와 라온 moneybook 2011-02-01 3261
1177 [2011/01/31] 우리말) 홀몸과 홑몸 moneybook 2011-01-31 3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