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체수수료

조회 수 3276 추천 수 0 2012.04.13 20:47:18

이체수수료 때문에 머니플랜으로 사용하다가

요즘 은행지원이 잘안되서

머니북으로 건너왔어요....

다 좋으데요, 이체수수료 입력이없어져서 많이 불편합니다.

건의합니다.....


머니북

2012.04.14 07:14:07
*.108.162.155

예전 머니플랜에서는 입력편의를 위해 가능하면 한 화면에서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하려고 노력을 많이 했었습니다.


그 중에 하나가 바로 [수수료] 지요. 은행이체 또는 현금인출 같은 것을 하였을 때 원금하고 수수료를 같은 화면에서 입력할 수 있게 한 것인데... 이러한 처리들은 나중에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내부적으로 상당한 문제를 안고 있기도 하였지요.


머니북에서는 이러한 약간의 변칙처리 보다는 입력 편의를 위한 여라 기능들을 만들어 드리고 있습니다.


[거래틀] 기능도 그 중에 하나인데 말씀하신 [수수료]와 같은 경우는 [통합거래틀]을 이용하시면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을 겁니다.  아래 통합거래틀 guide를 붙여 드립니다.


내용이 좀 길지만 찬찬히 살펴보시면 질문하신 수수료 뿐만 아니라 여러 목적으로 잘 활용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

머니북(MoneyBook)과 함께 자산관리 잘 하시기를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거래틀 관리(통합거래틀)]



거래틀 기능은 통합거래틀에서 더욱 진가를 발휘 합니다. 어떤 거래가 비슷한 형태로 매번 나누어지는 거래라면 미리 통합거래틀을 만들어 놓고 적용해서 사용하면 매우 편리 합니다. 

급여거래를 예를 든다면 수당이나 공제 금액에 따라 받는 금액이 약간씩 달라질 수는 있겠지만 받는 급여, 수당, 국민연금, 건강보험료, 세금 등 일정한 형태로 나누어지고 금액도 똑 같거나 거의 비슷합니다. 매달 같은 형태로 나누어 정리를 하는 것은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닙니다. 통합거래틀로 미리 틀을 만들어 놓고 적용을 한다면 정리가 훨씬 쉬워 집니다.

또 하나의 예는 대출상환이나 예금인출에서 수수료가 함께 발생하는 거래 같은 것들 입니다. 인출하는 금액은 현금으로 들어오지만 수수료는 비용으로 정리를 해 주어야 하는데 매번 거래를 나누어 입력하는 것은 여간 귀찮은 일이 아닙니다. 이럴 때 통합거래틀은 아주 효과적인 역할을 합니다.


[들어가기]
guide_trade-combine_00.jpg



[화면에 대한 이해]
guide_trade-combine_01.jpg

guide_trade-combine_02.jpg

틀과 틀에 딸린 세부거래로 이루어 집니다. 틀에 전체 금액을 입력할 수도 있고 금액은 입력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세부거래 역시 금액을 입력해도 되고 입력하지 않아도 관계없습니다. 금액은 변할 수 있으므로 실제 거래를 발생할 때 입력을 해 주면 됩니다.



[통합거래틀 추가/편집]
틀과 틀에 딸린 세부거래를 추가/편집 합니다. 세부거래의 [항목]은 필수요소이지만 거래처, 금액, 대체계정, 메모 등은 필요에 의해서 입력을 하면 됩니다.

guide_trade-combine_03.jpg

거래나누기의 실제 거래 입력과는 달리 통합거래액 - 세부거래액에 의해 차액이 발생을 해도 관계 없습니다. 금액은 실제 거래에서 다시 맞춰서 발생을 할 수 있기 때문 입니다.


(세부거래의 추가/편집)
guide_trade-combine_04.jpg



([거래나누기]에서 통합거래틀을 이용)
만들어진 통합거래틀은 실제 거래를 발생할 때에 이용을 하게 됩니다. 이미 발생을 한 거래를 [거래나누기]에 의해 나누어 정리를 하려고 할 때 미리 만들어둔 통합거래틀은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guide_trade-combine_05.jpg

CD기를 통해 은행에서 현금을 인출했을 때 다른 은행 CD기를 이용하거나 은행 공동망 CD기를 이용할 경우 적게는 500원, 많게는 1,200원까지 수수료가 발생을 합니다. 인터넷을 통해 가져와서 기록된 거래를 [거래나누기] 버튼에 의해 거래를 나누어 정리하고자 합니다.


guide_trade-combine_06.jpg

나타난 거래나누기 화면에서 [거래틀 선택] 버튼을 클릭하고 미리 만들어둔 통합거래틀을 선택합니다.


guide_trade-combine_07.jpg

미리 만들어둔 거래틀에는 인출 금액이 없었으니 인출금액만큼 차액으로 보이게 됩니다. 


guide_trade-combine_08.jpg

편집해서 고쳐주어야 할 세부거래를 선택하고 [편집] 버튼을 눌러 금액을 수정하고 [저장] 버튼을 눌러 저장을 하면 됩니다.


(거래나누기에 의해 나누어진 거래 화면)
guide_trade-combine_09.jpg



([거래나누기(통합거래) 추가]에서 통합거래틀을 이용)
이미 발생해 있는 거래를 나누는 경우도 있지만 처음부터 거래를 추가하면서 통합거래로 추가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통합거래 추가] 화면에서 통합거래틀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guide_trade-combine_10.jpg

마우스 오른쪽 버튼에 있는 [거래나누기(통합거래) 추가] 기능을 이용해 통합거래 추가 화면을 띄워줍니다.


guide_trade-combine_11.jpg

나타난 통합거래 추가 화면에서 [거래틀 선택] 버튼을 눌러 미리 만들어 두었던 통합거래틀을 선택 합니다.
세부거래 내용과 금액 등을 편집해서 맞게 완성을 해서 [저장] 버튼을 눌러 거래를 저장 합니다.



([틀에 의한 거래추가]에서 통합거래틀을 이용)
마우스 오른쪽 버튼 기능에 있는 [틀에 의한 거래추가] 기능에 의해 통합거래를 통째로 추가할 수도 있습니다. 단 이때는 미리 만들어둔 통합거래틀이 변경을 하지 않아도 좋을 만큼 완성된 거래일 대 효과적 입니다. 만약 수정할 내용이 있다면 다시 [거래나누기]로 열어서 수정을 해 주어야 하겠지요.

guide_trade-combine_12.jpg



(거래를 [통합거래]로 표시한 경우)
guide_trade-combine_13.jpg



(거래를 [나누어진 거래]로 표시한 경우)
guide_trade-combine_14.jpg

대체거래 상대계정을 지정하면 상대계정에 반대거래가 자동으로 발생을 합니다. 수수료가 있는 현금인출의 경우 통합거래틀에 의해 거래나누기를 하면 인출금액, 수수료가 한번에 정리가 되고 또한 상대계정인 현금계정에 인출한 금액이 입금처리까지 되는 편리함을 얻을 수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456 네트워크 드라이브 지원건 [1] hec513 2011-03-11 3031
455 예산 세우기 할때... [1] ninja99 2011-03-12 2867
454 "보고서 항목 순서 변경요청" 진행 상황 문의 [3] imby 2011-03-13 3280
453 항목 자동 분류 기능 [3] hibyun 2011-03-13 3396
452 거래일괄편집기능 어떻게 하는지 방법좀 알려주세요. [1] kimcss 2011-03-15 2567
451 수입/지출 그래프 항목에서 [1] cny1221 2011-03-17 3400
450 전북비자카드 [1] leeking71 2011-03-23 4305
449 이전항목을 다른항목으로 이름변경시 한꺼번에 가능토록 하는 기능 가능할까요? [1] basic714 2011-03-23 3223
448 신용카드 월별 결제현황 수정 [2] glen6 2011-03-25 3158
447 보고서 (계정별 net 금액) [3] hyonlove 2011-03-26 4459
446 결산보기 색상을 좀 넣어주세요.. [3] yj7070 2011-04-03 2983
445 도넛 그래프 개선 [3] yeunhun 2011-04-03 4289
444 하나SK 카드 결제일 조정 부탁합니다... [2] saintos 2011-04-07 4512
443 하나SK 뿐만아니고 하나 BC계열도 조정해주세요*** [1] saintos 2011-04-08 3430
442 계정관리 부분 합계부탁합니다. [1] truelike 2011-04-09 2869
441 로그인후 바로 나오는 홈 화면을 사용자가 지정할 수 있을런지요? [1] ryugenius 2011-04-09 3083
440 계정 마감과 계정 숨기기 [2] lluniquell 2011-04-10 3084
439 소유자관리 [1] isusan 2011-04-13 12268
438 일정관리에서요... [1] naturedo 2011-04-13 3503
437 항목이요.. [1] saybear 2011-04-14 28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