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과 따듯 나무에 걸린 당상 벼슬을 따거나,
고스톱 쳐서 벼슬을 따거나,
봉투 속에 든 벼슬을 꺼낸 게 아니니,
당연히 '따 논 당상'이 아니라, '떼어 논 당상'이라고 써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예전에 보낸 편지로 우리말 편지를 갈음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따 논 당상 --> 떼어 놓은 당상]

오늘제가 근무하는 회사의 모든 직원이 올해 무슨 일을 하겠다고 발표하는데,
저만 발표하지 않습니다.
발표하지 않으니자료를 만들 필요도 없고긴장하지 않아도 되고...
그래도 뭔가 일은 해야 하니,
오늘은 우리말편지나 하나 더 보내겠습니다

어젯밤에 축구 보셨어요?
비록 지긴 했지만 참 잘하더군요.
이런 식으로 나가면 이번 월드컵에서 16강은 물론 8강도 떼어 논 당상일 겁니다.

어떤 일이 확실하여 조금도 틀림없이 진행될 것이란 의미로
'
떼어 놓은 당상'이나, '따 논 당상'이라는 말을 합니다.

'
당상',
조선시대의 높은 벼슬인데,
어떤 사람을 위해꼭 어떤 사람에게만 주려고,
따로 떼어 놓은 당상 자리라는 뜻이,
'
떼어 놓은 당상'입니다.
, '맡아 놓은 일확실한 일'이죠.
따라서, '떼어 놓은 당상'이나, '떼 논 당상'이라고 써야지,
'
따 논 당상'이라고 쓰면 안 됩니다.

'
따다',
붙어 있는 것을 잡아떼다
노름내기경기 따위에서 이겨 돈이나 상품 따위를 얻다,
꽉 봉한 것을 뜯다따위의 뜻이 있습니다.

'
떼다',
붙어 있거나 잇닿은 것을 떨어지게 하다,
전체에서 한 부분을 덜어 내다,
함께 있던 것을 홀로 남기다,
걸음을 옮기어 놓다따위의 뜻이 있습니다.

사과 따듯 나무에 걸린 당상 벼슬을 따거나,
고스톱 쳐서 벼슬을 따거나,
봉투 속에 든 벼슬을 꺼낸 게 아니니,
당연히 '따 논 당상'이 아니라, '떼어 논 당상'이라고 써야 합니다

"
떼어 둔 당상 좀 먹으랴."라는 속담도 있습니다.

하늘이 우리를 위해서 
이미 월드컵 8강을 따로 떼어 놨는데,
그게 어디 가겠어요
우리 선수들이 가끔 흔들려도 월드컵 8강은 이미 우리를 위해 떼어 둔 거니,
걱정하지 마시고응원이나 열심히 하자고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30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019
16 [2012/12/28] 우리말) 매무시와 매무새 머니북 2012-12-28 2214
15 [2010/10/18] 우리말) 있습니다와 있음 moneybook 2010-10-18 2214
14 [2009/05/25] 우리말) 조문과 추모 id: moneyplan 2009-05-25 2214
13 [2015/11/09] 우리말) 이제야와 이제사 머니북 2015-11-09 2212
12 [2009/09/03] 우리말) 징크스 id: moneyplan 2009-09-03 2212
11 [2014/05/30] 우리말) 안갚음 머니북 2014-05-30 2210
10 [2009/01/07] 우리말) 흐지부지 [1] id: moneyplan 2009-01-07 2210
9 [2016/03/31] 우리말) 감치다 머니북 2016-04-01 2209
8 [2014/10/20] 우리말) 웨하스 머니북 2014-10-21 2208
7 [2015/12/23] 우리말) 올해 읽은 책을 소개합니다 머니북 2015-12-24 2207
6 [2009/06/01] 우리말) 안녕과 앞날 id: moneyplan 2009-06-01 2207
5 [2009/0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1-09 2207
4 [2010/02/12] 우리말) 설날에 예법에 맞는 세배 해보세요 id: moneyplan 2010-02-12 2203
3 [2015/08/04] 우리말) 그러거나 말거나 머니북 2015-08-04 2199
2 [2015/01/06] 우리말) 개개다와 개기다 머니북 2015-01-06 2198
1 [2009/07/08]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7-09 21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