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1/08] 우리말) 한때와 한 때

조회 수 4215 추천 수 0 2011.11.08 11:39:02

 

따라서,
'
어느 한 시기' '같은 때'를 뜻하는 '한때'는 합성어로 보아 붙여 씁니다.


안녕하세요.

아침에 컴퓨터가 고장 나서 아침나절에 일을 못했습니다.
이렇게 컴퓨터의 노예가 되는 것 같아 씁쓸합니다. ^^*

오늘 아침 SBS뉴스 자막에
'
지하철 한 때 고장'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
한때'는 이름씨(명사)로 쓰이면 어느 한 시기라는 뜻으로
즐거운 휴일 한때를 보내다, 나도 한때는 미인이란 소릴 들었다처럼 씁니다.

어찌씨(부사)로 쓰일 때는
일시라는 뜻으로
이 절에는 한때 도망쳐...처럼 씁니다.

따라서,
'
어느 한 시기' '같은 때'를 뜻하는 '한때'는 합성어로 보아 붙여 씁니다.

어제 저녁에
지하철이 고장 나서 한때 멈췄었나 봅니다.
오늘 아침에는 제 컴퓨터가 고장나서 한때 멈췄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죄와 벌]

머리가 어지럽네요.
과학을 한답시고, 기술자랍시고, 연구자랍시고,
논문이 조작이다 아니다, 줄기세포가 있다 없다는 것에 관심을 둘 수밖에 없네요.

누군가는 거짓말을 하는 것 같은데,
그 사람이 누구인지는 모르지만
크나큰 죄를 짓는 것만은 사실입니다.
당연히 모든 진실이 밝혀지면 벌을 받아야 할 것이고...

죄와 벌...
오늘은 죄와 벌 이야기 좀 할게요.

흔히,
“너 그러면 죄 받는다.”라는 말을 하는데요.
이 말은 ‘죄’와 ‘벌’을 구별하지 못하고 쓰는 것입니다.

‘죄()’는
“양심이나 도리에 벗어난 행위”로,
죄를 범하다/죄를 저지르다/죄를 짓다/죄가 많다처럼 씁니다.

‘벌()’은
“잘못하거나 죄를 지은 사람에게 주는 고통”으로,
엄한 벌/벌을 내리다/벌을 받다/벌을 주다/벌이 무겁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너 그러면 죄 받는다.”라는 말은,
“너 그러면(그런 죄를 지으면) 벌 받는다”라고 해야 맞습니다.

죄는 짓고, 벌은 받는 겁니다.
당연히, 죄를 짓지 않으면 벌을 받지 않아도 되는 것이고...

이번 일이 꿈이라면 좋겠습니다.
방송이 미쳐서 엉뚱한 드라마 하나 만든 거라면 좋겠습니다.
신문이 돌아서 창작소설을 발표한 것이라면 좋겠습니다.
인터넷이 어딘가에 잘못 연결되어 혼자 날뛰는 것이라면 좋겠습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89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572
1356 [2008/10/02] 우리말) 한글날을 앞두고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06 3146
1355 [2011/04/14] 우리말) 벚꽃 이야기 moneybook 2011-04-14 3145
1354 [2012/07/13] 우리말) 연루/관련/버물다 머니북 2012-07-14 3144
1353 [2007/06/01] 우리말) 맹세와 다짐 id: moneyplan 2007-06-01 3144
1352 [2010/02/24] 우리말) 육교 id: moneyplan 2010-02-24 3143
1351 [2009/04/09] 우리말) 만두 사리 id: moneyplan 2009-04-10 3143
1350 [2016/09/26] 우리말) 할 말과 못할 말 머니북 2016-11-01 3141
1349 [2013/07/04] 우리말) 후덥지근과 후텁지근 머니북 2013-07-04 3140
1348 [2008/06/03] 우리말) 떠나는 순자 씨가 아쉬워서...... id: moneyplan 2008-06-05 3140
1347 [2017/04/28] 우리말) 아슬아슬 머니북 2017-04-29 3139
1346 [2016/12/29] 우리말) 올 한 해 읽은 책을 정리했습니다. 머니북 2016-12-29 3138
1345 [2017/02/16] 우리말) 어섯 머니북 2017-02-16 3137
1344 [2015/04/22] 우리말) 혼인과 결혼 머니북 2015-04-22 3136
1343 [2014/11/21] 우리말) 발밭다 머니북 2014-11-21 3136
1342 [2007/05/28] 우리말) 바리바리 싸 주신... id: moneyplan 2007-05-28 3136
1341 [2017/05/16] 우리말) 농식품부에서 만든 책 머니북 2017-05-16 3135
1340 [2015/10/12] 우리말) 일자리 나누기와 잡 셰어링 머니북 2015-10-13 3135
1339 [2017/10/17] 우리말) 자글거리다 머니북 2017-11-06 3132
1338 [2014/01/20] 우리말) 건달, 놈팡이, 깡패는 다국적 언어 머니북 2014-01-20 3132
1337 [2007/05/22] 우리말) 보릿고개와 총체보리 id: moneyplan 2007-05-22 31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