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를
성가실 정도로 은근히 자꾸 귀찮게 구는 것을 '치근거리다'고 합니다. '지근거리다'보다 센 느낌인데요.
이걸 '추근거리다'고 쓰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추태나 추문을 떠올려서 그렇게 쓰시는 것 같습니다.
어쨌든 추근거리다를 많은 분이 쓰셔서 지난 8 31일 표준말로 인정을 받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요즘 제가 전철을 타고 일터에 나오는데요.
아침 일찍 나와서 콩나물 시루보다 빡빡한 버스-전철-전철을 타고 출근하는 게 보통 일이 아니더군요.
가끔, 전철에서 추근대는 사람이 있다는 뉴스가 나옵니다.
저는 그런 오해 받지 않으려고 한 손은 위로 들어 손잡이를 잡고, 다른 한 손은 가방을 꼭 쥐고 있습니다.
그리고 되도록 앞쪽에 있는 사람과 붙지 않고요. ^^*

누군가를
성가실 정도로 은근히 자꾸 귀찮게 구는 것을 '치근거리다'고 합니다. '지근거리다'보다 센 느낌인데요.
이걸 '추근거리다'고 쓰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추태나 추문을 떠올려서 그렇게 쓰시는 것 같습니다.
어쨌든 추근거리다를 많은 분이 쓰셔서 지난 8 31일 표준말로 인정을 받았습니다.
지금은 추근거리다나 지근거리다 모두 표준말입니다.

아래는 몇 달 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인데요.
오늘 소개한 치근거리다가 나와서 붙입니다.

고맙습니다.




[
치근대다와 지분거리다]

안녕하세요.

어제 미국에서 IMF 총재가 성폭행 미수 혐의로 경찰에 붙잡혔습니다.
사람의 인격은 자리와는 별로 상관이 없나 봅니다.
어쩌다 그런 말도 안 되는 잘못을 했는지 안타깝습니다.

1.
IMF
총재와는 다른 이야기지만,
남자가 여자를 성가실 정도로 자꾸 귀찮게 하는 것을 두고 '추근거리다'고 합니다.
(
여자가 남자를 그렇게 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
그러나 이 말은 '지근거리다'가 맞습니다.
그리고 '지근거리다'보다 느낌이 센 낱말이 '치근거리다'입니다.
어린아이가 가게 안에서 장난감을 사 달라고 엄마에게 계속해서 지근거린다,
그 남학생은 같은 반 여학생을 치근거렸다처럼 씁니다.

2.
'
지근거리다'보다 조금 더 지저분한 낱말이 '지분거리다'입니다.(제 생각이 그렇습니다. ^^*)
"
짓궂은 말이나 행동 따위로 자꾸 남을 귀찮게 하다"는 뜻으로
아내는 딸한테 지분거리는 사내를 경찰에 신고했다처럼 씁니다.
'
치근거리다'는 애들이 부모에게 하는 것이나, 남녀 사이에도 쓰지만,
'
지분거리다'는 주로 남녀 사이에 쓰는 것 같습니다.

제 생각에
성 문제에서는 여자보다 남자가 반성할 일이 더 많은 것 같습니다.
늘 조심하고 삽시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
넓이/너비]

여기저기 돌아다니다 보니 우리나라 땅도 무척 넓다는 것을 새삼 느낍니다.

오늘은 드넓은(?) 우리나라 땅을 생각하면서,
‘넓이’와 ‘너비’를 구별해 보겠습니다.

‘넓이’는,
“어디에 둘러싸인 평면의 크기”를 말합니다.
넓이가 넓다, 책상 넓이만 한 지도, 삼각형의 넓이를 구하다처럼 쓰죠.

반면, ‘너비’는,
“평면이나 넓은 물체의 가로로 건너지른 거리”를 말합니다.
강의 너비, 도로의 너비를 재다처럼 씁니다.

정리하면,
‘넓이’는 평면의 크기고,
‘너비’는 물체를 가로지지는 거리입니다.

우리나라 참 아름다운 나라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70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412
1336 [2011/10/17] 우리말) 걸리적거리다와 거치적거리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7 4612
1335 [2011/10/14] 우리말) 휭하니와 힁허케 머니북 2011-10-14 4867
1334 [2011/10/13] 우리말) 연방과 연신 머니북 2011-10-13 3784
1333 [2011/10/12] 우리말) 광화문 현판을 한글로 써야 합니다 머니북 2011-10-12 4098
1332 [2011/10/11] 우리말) ‘넉넉치 않다’가 아니라 ‘넉넉지 않다’가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1 4699
1331 [2011/10/10] 우리말) 어리숙하다와 어수룩하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0 5293
1330 [2011/10/07] 우리말) 손자 더하기 손녀는 손주 머니북 2011-10-07 4098
1329 [2011/10/06] 우리말) 메우다와 메꾸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06 6185
1328 [2011/10/05] 우리말) 먹거리와 먹을거리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05 4826
1327 [2011/10/04] 우리말) 뜨락과 뜰 머니북 2011-10-04 4077
1326 [2011/09/22] 우리말) 더펄이/곰살갑다/구순하다 머니북 2011-09-22 4656
1325 [2011/09/21] 우리말) 한가위에 냈던 문제 머니북 2011-09-22 3749
1324 [2011/09/20] 우리말) 떨어뜨리다와 떨구다 머니북 2011-09-20 3556
1323 [2011/09/19] 우리말) 날개/나래, 냄새/내음 머니북 2011-09-19 5777
1322 [2011/09/16] 우리말) 괴발개발과 개발새발 머니북 2011-09-16 3668
1321 [2011/09/15] 우리말) ~길래와 ~기에 머니북 2011-09-15 4797
1320 [2011/09/14] 우리말) 허섭스레기도 맞고 허접쓰레기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14 4462
1319 [2011/09/09] 우리말) 세간도 맞고 세간살이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9 4680
1318 [2011/09/08] 우리말) 복사뼈도 맞고 복숭아뼈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8 4526
1317 [2011/09/07] 우리말) 묏자리도 맞고 묫자리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8 44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