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8/24] 우리말) 잘코사니

조회 수 3570 추천 수 0 2011.08.24 09:16:10

 

우리말에 '잘코사니'라는 재밌는 낱말이 있습니다.
이름씨(명사)로는
"
고소하게 여겨지는 일"로 주로 미운 사람이 불행을 당하였을 때 쓰는 말입니다.
느낌씨(감탄사)로 쓸 때는
"
미운 사람의 불행을 고소하게 여길 때에 내는 소리."입니다.


안녕하세요.

이 좋은 날씨처럼 오늘도 좋은 일 많이 일어나길 빕니다. ^^*

아침 뉴스에서 들으니 마침내 카다피 42년 정권이 막을 내리는 것 같군요.
리비아 반군이 무아마르 카다피 진영의 핵심 거점인 바브 알-아지지야 요새를 장악했다는 보도가 있었습니다.
저는 세계정세를 잘 모르긴 하지만, 한 사람이 42년을 통치한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봅니다. 아무리 잘해도...

우리말에 '잘코사니'라는 재밌는 낱말이 있습니다.
이름씨(명사)로는
"
고소하게 여겨지는 일"로 주로 미운 사람이 불행을 당하였을 때 쓰는 말입니다.
아무도 잘코사니라고, 개 패듯이 더 두들기라고 부추기지는 않았다처럼 씁니다.
느낌씨(감탄사)로 쓸 때는
"
미운 사람의 불행을 고소하게 여길 때에 내는 소리."
잘코사니, 에이 시원하다, 우리네 호적을 저희네 밭문서로 삼아 곡식을 마음대로 앗아가더니, 에라 잘됐어처럼 씁니다.

카다피 정권이 무너진 것을 두고 리바이 사람들이 이렇게 말할 것 같습니다.
카다피에게 잘코사니가 일어났네.
잘코사니! 내 그럴 줄 알았다. 그러니 있을 때 잘하지...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 입니다.


[
선영/선산]

요즘 환절기다 보니 누군가 돌아가셨다는 부고가 많네요.
정들었던 가족과 떨어진다는 것은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는 큰 아픔이죠...

오늘은 부고에 나오는 장지 이야기 좀 해 볼게요.
누가 돌아가셨다는 내용 밑에,
장사하여 시체를 묻는 곳을 말하는 ‘장지’가 나오는 데요.
장지에 ‘선영’이라고 쓰신 분이 있습니다.

‘선영’이라고 쓰시면 안 됩니다.
‘선영’은 ‘조상의 무덤’을 말합니다.
이번에 돌아가신 분을 먼저 돌아가신 조상의 무덤에 합봉하는 경우라면 몰라도
그렇지 않다면 ‘선영’이라고 쓰시면 안 됩니다.
‘선산’이라고 써야 합니다.
‘선산’은 선영과 선영이 딸린 모든 산야를 말합니다.

굳이 ‘선영’이라는 낱말을 꼭 쓰고 싶다면
조상의 무덤 아래쪽에 묻는다는 의미로 ‘선영하’나 ‘선영 아래’라고 쓰시면 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61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321
1376 [2010/06/16] 우리말) 허점과 헛점 moneybook 2010-06-16 3148
1375 [2010/02/17] 우리말) '바' 띄어쓰기 id: moneyplan 2010-02-17 3148
1374 [2009/11/09] 우리말) 안쫑잡다 id: moneyplan 2009-11-09 3148
1373 [2008/04/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4-16 3148
1372 [2009/03/26] 우리말) 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3-26 3147
1371 [2012/04/17] 우리말) 문해율 머니북 2012-04-17 3146
1370 [2010/12/21] 우리말) 관용구 moneybook 2010-12-21 3146
1369 [2009/11/17] 우리말) 들러리 id: moneyplan 2009-11-17 3145
1368 [2007/11/20] 우리말) 낙엽은 진 잎으로... id: moneyplan 2007-11-20 3145
1367 [2007/06/18] 우리말) 맏과 맏이 id: moneyplan 2007-06-18 3145
1366 [2010/09/16] 우리말) 또, 문제를 냈습니다 moneybook 2010-09-16 3143
1365 [2008/12/15] 우리말) 개발과 계발 id: moneyplan 2008-12-15 3142
1364 [2008/06/27] 우리말) 놈팽이와 놈팡이 id: moneyplan 2008-06-27 3142
1363 [2013/07/11] 우리말) 속앓이 머니북 2013-07-11 3140
1362 [2010/03/19] 우리말) 훈민정음이 세계문화유산? id: moneyplan 2010-03-19 3140
1361 [2016/06/16] 우리말) 엽다/가엾다 머니북 2016-06-17 3139
1360 [2013/10/21] 우리말) 돌부리 머니북 2013-10-21 3139
1359 [2013/09/23] 우리말) 설레다와 설렘 머니북 2013-09-23 3139
1358 [2010/07/28] 우리말) 시르죽다 moneybook 2010-07-28 3139
1357 [2008/10/02] 우리말) 한글날을 앞두고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10-06 3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