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6/15] 우리말) 따까리

조회 수 3620 추천 수 0 2011.06.16 09:23:48

 

'따까리'는 딱지와 뚜껑을 뜻하는 사투리이기도 하지만,
"
자질구레한 심부름을 맡아 하는 사람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기도 합니다.
왕초의 따까리 노릇을 하다처럼 쓰고,
비록 속어이기는 하지만,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는 어엿한 표준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도 날씨가 참 좋네요. ^^*

아침마다 하는 고민이지만,
오늘은 뭘 가지고 우리말편지 밥상을 차려야 좋을지를 늘 걱정합니다.
오늘 아침에는 과장님께서 저를 도와주시네요. ^^*

저는 제 일터에서 녹색미래전략팀 총괄팀장을 맡고 있습니다.
녹색미래전략팀에는
미래전략개발, 녹색성장, 인테러뱅, 디자인/브랜드팀이 있어 팀별로 맡은 일을 하지만,
과 전체의 예산이나 종합적인 기획과 조정은 총괄팀장인 제가 하게 됩니다.
그래서 저는 같이 일하시는 분들에게
'
총괄팀장은 완장을 찬 사람이 아니라 여러분의 따까리니 언제든지 어려운 일이 있으면 불러달라."고 자주 말씀드립니다.
사실 실제로 총괄팀에서 그런 일을 도맡아서 해 줘야 하고요. 그래야 다른 팀이 잘 돌아가죠. ^^*

1.
'
따까리'는 딱지와 뚜껑을 뜻하는 사투리이기도 하지만,
"
자질구레한 심부름을 맡아 하는 사람을 속되게 이르는 말."이기도 합니다.
왕초의 따까리 노릇을 하다처럼 쓰고,
비록 속어이기는 하지만,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올라 있는 어엿한 표준말입니다.

2.
속어는 통속적으로 쓰는 저속한 말입니다.
이를 깨끗한 우리말로 바꿔보면,
속된말(낮은말)은 흔히 쓰는 상스러운 말입니다로 바꿀 수 있겠네요.

3.
'
따까리'가 함부로 쓸 말은 아니지만,
그래도 '시다바리'보다는 낫겠죠?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렸던 우리말편지입니다.



[
날씨가 끄물끄물하네요]

안녕하세요.

오늘은 며칠 전에 받은 한 방송국 기자님의 편지를 소개해 드릴게요.

비가 오려는지 날씨가 끄물끄물하네요.
어제 퇴근길에 우리말 바로쓰기 라디오 방송을 들으니,
날씨가 활짝 개지 아니하고 자꾸 흐려지는 모양은 끄물끄물 인데,
흔히 사물이 느리게 움직임을 나타내는 ‘꾸물꾸물’로 잘못 쓰고 있다는 지적에 공감하면서
우리말 편지를 생각을 했다우.

맞습니다.
‘꾸물꾸물’은
“매우 느리게 자꾸 움직이는 모양”을 나타내는 부사고,
‘끄물끄물’은
같은 부사지만,
“날씨가 활짝 개지 아니하고 자꾸 흐려지는 모양”을 나타냅니다.

당연히 두 개를 갈라서 달리 써야죠.

실은 예전에 제가 보내드린 편지 중에
‘끄물끄물’을 ‘꾸물꾸물’로 잘못 쓴 게 있는데,
그걸 이렇게 돌려서 지적해 주신 겁니다.
고맙습니다.

하늘이 갑자기 끄물끄물 흐려지네요.
굼벵이처럼 사무실에서 꾸물대지 말고 바로 논에 나가야겠습니다.

오늘도 자주 웃으세요.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72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415
1436 [2011/05/18] 우리말) 치근대다와 지분거리다 moneybook 2011-05-18 4397
1435 [2011/05/19] 우리말) 꽃 moneybook 2011-05-19 4205
1434 [2011/05/20] 우리말) 실수와 잘못 moneybook 2011-05-20 3307
1433 [2011/05/23] 우리말) 주기, 주년, 돌 moneybook 2011-05-23 3792
1432 [2011/05/24] 우리말) 갑시다 moneybook 2011-05-24 2996
1431 [2011/05/25] 우리말) 그을리다와 그슬리다 moneybook 2011-05-25 3507
1430 [2011/05/26] 우리말) 햇빛, 햇살, 햇볕 moneybook 2011-05-26 3139
1429 [2011/05/27] 우리말) 한걸음 moneybook 2011-05-27 2911
1428 [2011/05/30] 우리말) '님'의 의존명사와 접사 쓰임 moneybook 2011-05-30 4012
1427 [2011/05/31] 우리말) 삼사일과 사날 moneybook 2011-05-31 3224
1426 [2011/06/01] 우리말) 흐리멍덩하다 moneybook 2011-06-01 2918
1425 [2011/06/02] 우리말) 하루이틀 moneybook 2011-06-02 3279
1424 [2011/06/03] 우리말) 야로와 야코죽다 moneybook 2011-06-07 3705
1423 [2011/06/07] 우리말) 밴댕이와 벤뎅이 moneybook 2011-06-07 3266
1422 [2011/06/08] 우리말) '찢어발기다'와 '까발리다' 머니북 2011-06-09 3673
1421 [2011/06/09] 우리말) 하릴없이 놀며 세월만 허비하는 짓 머니북 2011-06-09 3078
1420 [2011/06/10] 우리말) 단초와 실마리 머니북 2011-06-13 2992
1419 [2011/06/13] 우리말) 헐수할수없다 머니북 2011-06-13 3069
1418 [2011/06/14] 우리말) 한자 교육 머니북 2011-06-14 3262
» [2011/06/15] 우리말) 따까리 머니북 2011-06-16 3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