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니북으로 자산관리하세요!!

조회 수 11311 추천 수 121 2010.11.07 21:30:00
안녕하세요.

머니북 (구 머니플랜) 사용 5년차에 접어 들었네요.
자기전에 머니북을 통한 하루정리가 안되면 찜찜한 기분이 드는것만 보아도
머니북 중독이라고 볼수있겠죠! ㅎㅎ

저와 배우자의 모든 자산계정을 등록하여, 예금,적금,보험,펀드,직접투자,카드,대출계정을
빠짐없이 등록하여 가계자산을 투명하게 운영하고 있습니다.
한눈에 가계자산 현황이 눈에 들어오니 늘어나는 자산을 한눈에 보는것도 뿌듯합니다.

현금계정도 가족 구성원수에 맞게 생성하여 사용하고있고
매월 정해진 날짜에 현금잔고를 검증하여 오류를 최소화 하고있습니다.
또한 매월 보고서기능으로 가계자산의 현재상태인 가계대차대조표를 확인하고,
월간 수입과 지출을 결산하여 가계손익계산서를 작성하다보면,
자산관리하는 자체가 또다른 재미를 주는것 같습니다.
한눈에 나의 가족이 가지고있는 가계 순자산이 얼마인지 확인하다보면,
보다 뚜렷하고 확고환 재정목표를 세우는데 도움이 됩니다.


2. 월간 지출통제를 통한 합리적인 소비생활
주로 지출은 현금보다 신용카드 사용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머니북의 사용내역 불로오기를 통해 가계부 작성도 용이하고,
또한 할인 및 포인트 적립효과도 볼수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반드시 명심해야할 것은 신용카드 사용의 장단점입니다.
보통 신용카드 사용은 잘쓰면 약이되고, 남용하면 독이되는 물건(?)입니다.
자신의 지출을 통제할수있다면 득이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절대 사용하지
않는편이 좋습니다. 더욱이 할부라던지 현금서비스는 사용하는순간
사용자에게 절대 손해라 생각합니다.

보통 신용카드를 사용하고 결제일에 가서 사용내역을 확인하면,
아무래도 지출관리에 소홀할수 밖에 없다고 봅니다.
머니북을 이용하여 지출되는 순간 그날의 가계부에 지출처리 하고,
바로 결제예정금액이 확인가능하여 지출통제하는데 큰 도움이 됩니다.
또한 신용카드 결제예정 금액만큼 미리 CMA와 같은 임시 계정에
결제예정금액을 입금하여, 결제날짜에 대금결제를 하면 소액이지만
추가 이자소득도 생기니, 일거약득입니다.^^

이상으로 머니북 5년차의 소감을 마칩니다~
머니북 파이팅~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MBC 경제매거진 M에 머니북이 소개되었습니다. 머니북 2013-01-17 121628
70 머니플랜으로 결정했어요~ㅋ moneyplan 2005-11-24 6155
69 좋은 프로그램으로 계속 발전시켜 주세요. moneyplan 2005-11-21 6108
68 앞으로도 꾸준한 발전 기대합니다 moneyplan 2005-11-18 6229
67 머니플랜에 감사합니다.. moneyplan 2005-11-17 6315
66 저두 여기에 둥지를 틀려구요..^^ moneyplan 2005-11-15 6319
65 카드 할부 지출이 줄어드는군요. moneyplan 2005-11-15 6207
64 유료회원으로 전환했습니다^^ moneyplan 2005-11-15 6141
63 최고의 가계부 moneyplan 2005-11-14 6089
62 좋아요! 제발 없어지지만 말아주세요... moneyplan 2005-11-14 6230
61 이모든사용자였는데.. moneyplan 2005-11-14 6182
60 첨엔 정말 머리가 터집니다. moneyplan 2005-11-14 6477
59 정말 고맙습니다. ^^ moneyplan 2005-11-11 6256
58 나날이 업그레이드되는 머니플랜을 보며... moneyplan 2005-11-09 6463
57 유료등록 완료.. moneyplan 2005-11-09 6409
56 사용자 메뉴얼은 없나요? moneyplan 2005-11-08 6505
55 거래처등록, 은행계좌,알뜰설계에서 불편사항 moneyplan 2005-10-28 6474
54 드디어 유료회원 등록 moneyplan 2005-10-24 6515
53 친절한 상담에 감동했습니다... moneyplan 2005-10-21 6316
52 정말 잘 만든 프로그램 moneyplan 2005-10-19 6206
51 신참 moneyplan 2005-10-18 62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