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5/12] 우리말) 달뜨다와 주니

조회 수 3305 추천 수 3 2011.05.12 10:11:32
이 '들뜨다'와 뜻이 같은 게 '달뜨다'입니다.
들뜨다나 달뜨다나
마음이 가라앉지 않고 떠서 조금 흥분된 상태를 뜻합니다.



안녕하세요.

비가 많이 내릴 것 같더니 생각보다 많이 오지는 않았나 봅니다.
지난 월요일 오후에 아들과 같이 고향에 다녀왔습니다.
아침마다 손잡고 같이 일터에 나오기는 하지만,
둘이서 고향에 가는 기분은 또 다르더군요.

이 녀석은 가기 전부터 들떠 있었는데,
다섯 시간 동안 안전벨트에 묶여 있으니 주니가 나서 몹시 힘들어했습니다.
좀 안쓰러웠습니다. ^^*

1.
"마음이나 분위기가 가라앉지 아니하고 조금 흥분되다."는 뜻의 움직씨(동사)가 '들뜨다'입니다.
이 '들뜨다'와 뜻이 같은 게 '달뜨다'입니다.
들뜨다나 달뜨다나
마음이 가라앉지 않고 떠서 조금 흥분된 상태를 뜻합니다.

2.
'주니'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몹시 지루함을 느끼는 싫증."이라는 뜻의 이름씨(명사)입니다.
이제 이 일은 주니가 나서 못하겠다처럼 씁니다.
"두렵거나 확고한 자신이 없어서 내키지 아니하는 마음."이라는 뜻도 있습니다.
고속 도로에 차들이 달리는 것을 보고 주니가 나는지 쉽게 운전대를 잡지 못했다처럼 씁니다.

두 낱말을 넣어서 월을 만들어 보면,
아들 녀석이
아빠와 같이 할머니 뵈러 간다는 생각에 아침부터 달떠 있더니,
안전벨트에 묶여 있다보니 주니가 나서 힘들어했습니다.

기분이 좋고 행복해서 웃는 게 아니라,
자주 웃으면 기분이 좋고 행복해진다고 합니다.
오늘도 자주 웃으면서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렸던 우리말편지입니다.


[현해탄을 건너다]

아침에 텔레비전 드라마를 보는데,
어떤 사기꾼이 사기를 치면서 하는 말이,
“그 감독 현해탄 건너서 일본에 가셨다”라고 말하더군요.
사기꾼이라서 그런지 말도 사기꾼답습니다.

흔히 일본을 대신하는 말로 ‘현해탄’이라는 낱말을 쓰는 사람이 있습니다.
특히 썩어빠진 정치인들과 일부 방송에서 즐겨 쓰는 말로,
‘현해탄은 알고 있다’, ‘현해탄 격랑 예고’... 따위죠.

현해탄은,
우리나라 지명이 아닙니다.
일본에서 한자로 玄海灘이라고 쓰고,
‘겐가이나다’로 읽습니다.
그게 왜 현해탄이죠? ‘대한해협’이잖아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다닐 때 줄곧 ‘대한해협’이라고 배우지 않았나요?
나이 들어 머리에 뭔가 좀 든 것처럼 행세하려고 보니,
‘대한해협’이라고 하면 좀 초라하게 느껴지고,
‘현해탄’이라고 하면 좀 거들먹거릴 수 있어서 일까요?

대한해협을 현해탄이라고 말하는 것은,
우리 땅 독도(獨島)를 일본 한자표기를 빌려 죽도(竹島?다케시마)로 부르는 것과 같습니다.

생각해 보세요.
‘독도’를 ‘죽도’라고 하는 한국 사람이 있으면
그놈이 제정신이겠어요?
대한해협도 마찬가집니다.
대한해협을 현해탄이라고 하는 사람들은 모두 ‘덴깡’부리고 있는 겁니다.
‘덴깡’이 뭐라는 말씀은 드렸었죠?

일본 정치인들이 시도 때도 없이 지껄이는 망언에 혼자 열 받을 게 아니라,
내가 쓰고 있는 일본말과 일제 식민지 잔재부터 걷어낼 일입니다.

말 나온 김에 하나만 더 짚고 넘어갈게요.
(정말 하고 싶은 말이 많은데...)

일본에 간다는 말을,
“일본에 들어간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그 말은 일제 강점기 때 한국에 나와 있는 일본 사람이 자기 나라에 들어갈 때 하는 말입니다.
지금이 일제치하인가요?
그렇게 말하는 사람이 일본사람이에요?
아니잖아요.
근데 왜 일본에 ‘들어가는’거죠?
그냥 일본에 간다고하면 되잖아요.

어쭙잖게 외국물 먹은 사람들이 문젭니다.
더 큰 문제는 그 사람들이 하는 말이나 행동이 사회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고...
배울수록 더 겸손해야 하는데...

아침부터 좀 격했네요.

오늘도 날씨가 참 좋네요.
점심 먹고 논에 물꼬나 보러 나가야겠습니다.
요즘같이 날씨가 맑고, 바람이 살랑살랑 부는 날은 물이 잘 마르거든요.

오늘도 좋은 생각 많이 하시고,
좋은 일 많이 생기시길 빕니다.

보태기)
‘현해탄’은 ‘대한해협 남쪽, 일본 후쿠오카 서북쪽의 바다’입니다.
부산과 일본 규슈사이를 대한해협이라 하고,
이 대한해협에 쓰시마 섬이 있는데, 쓰시마 섬과 규수 사이의 바다가 바로 ‘현해탄’입니다.
일본 국립공원 가운데 하나죠.

따라서, ‘현해탄’ 대신 ‘대한해협’을 쓰는 것도 옳은 것은 아닙니다.
우리나라 사람이 현해탄이라는 낱말을 쓸 이유는 거의 없습니다.
일본 지리책을 쓴다면 몰라도......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82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513
2674 [2013/10/28] 우리말) 틀리기 쉬운 높임말 머니북 2013-10-28 422850
2673 [2014/01/10] 우리말) 사물 존대 동영상 머니북 2014-01-10 142809
2672 [2007/02/22]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몇 개 [8] id: moneyplan 2007-02-22 97466
2671 [2006/12/19] 우리말) 봇물을 이루다? id: moneyplan 2006-12-19 54499
2670 [2010/01/12] 우리말) 한판과 한 판 id: moneyplan 2010-01-12 50820
2669 [2011/12/15] 우리말) 따 논 당상 --> 떼어 놓은 당상 머니북 2011-12-16 19656
2668 [2011/11/25] 우리말) 십여 명 머니북 2011-11-25 18994
2667 [2012/08/08] 우리말) 석패 머니북 2012-08-08 17484
2666 [2008/03/07] 우리말) 발췌, 발취, 발초 id: moneyplan 2008-03-07 17319
2665 [2011/11/29] 우리말) 재시합과 재경기 머니북 2011-11-29 17094
2664 [2011/12/08] 우리말) 소반다듬이 머니북 2011-12-08 16756
2663 [2011/12/19] 우리말) 종군위안부 머니북 2011-12-19 16542
2662 [2011/11/1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11-18 15706
2661 [2006/08/18] 우리말) '당분간'이 아니라 '얼마 동안' id: moneyplan 2006-08-18 15451
2660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107
2659 [2012/08/10] 우리말) 도합과 모두 머니북 2012-08-10 14625
2658 [2011/11/24]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1-11-24 13541
2657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3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