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3/14] 우리말) 해망쩍다

조회 수 3226 추천 수 8 2011.03.15 09:42:18
지난주에 멋쩍다를 소개해 드리면서
'멋'이 '적다'로 가를 수 없다면 소리 나는 대로 쓰는 게 바르다는 말씀을 드리면서,
멋쩍다, 객쩍다, 겸연쩍다, 맥쩍다 따위를 소개해 드렸습니다.

그렇게 쓰는 게
해망쩍다와 행망쩍다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지난주에 멋쩍다를 소개해 드리면서
'멋'이 '적다'로 가를 수 없다면 소리 나는 대로 쓰는 게 바르다는 말씀을 드리면서,
멋쩍다, 객쩍다, 겸연쩍다, 맥쩍다 따위를 소개해 드렸습니다.

그렇게 쓰는 게
해망쩍다와 행망쩍다가 있습니다.

해망쩍다는 그림씨(형용사)로 "영리하지 못하고 아둔하다."는 뜻입니다.
이놈이 해망쩍게 또 어디 구경을 가지 않았나처럼 씁니다.

행망쩍다도 그림씨로 "주의력이 없고 아둔하다."는 뜻입니다.

멋진 말이라 지난주에 다 소개하지 않고 남겨놨습니다. ^^*

내일이 비가 온다는데 오늘부터 날씨가 끄물거리네요.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반나절은 몇 시간?]

식목일인 어제 큰불이 났습니다.
왜 매년 식목일마다 큰불이 나는지...
식목일을 연목일(燃木日)로 불러야 할 판입니다. 쩝...

어제 난 그 산불로 양양에 있는 낙산사가 불탔는데요.
제가 그곳으로 신혼여행을 갔던 터라.......
가슴이 더 에이네요.

그 낙산사가 불탄 소식을 방송에서 전하면서,
“...때문에 반나절 만에 전소됐습니다.”라는 말을 하더군요.
반나절...
한나절도 아닌 반나절...
도대체 반나절이 몇 시간이기에 반나절 만에 불탔다고 저리 호들갑일까?
분명 짧은 시간에 다 탔음을 강조하는 것 같은데......

반나절을 알기 위해서는 먼저 한나절을 알아야 합니다.
한나절은 “하루 낮의 반(半)”입니다.
따라서 시간으로 따지면 하루 낮(12시간)의 반인 6시간이죠.

그 한나절의 반이 반나절이므로
시간으로 따지면,
6시간의 반인 3시간이라는 말이죠.

따라서,
3시간 만에 절이 다 타버렸다는 의미가 됩니다.
실제 몇 시간 동안 탔는지는 모르지만,
짧은 시간에 천년고찰이 다 탔다는 것을 강조하는 데는
아주 적절한 표현이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처음으로 방송에서 나온 말을 칭찬하네요.

그렇지만 틀린 것도 있습니다.
“...때문에 반나절 만에 전소됐습니다.”에서,
‘전소됐습니다’보다는 ‘전소했습니다’가 더 낫습니다.
명사에 ‘하다’가 붙어서 자동사가 되는 말은 ‘되다’를 붙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최근에 이런 명사에 ‘되다’를 붙여 쓸 때가 많은데
이는 영어의 번역문이 일반화하면서 생긴 현상입니다.

오후에는 비가 좀 온다는데,
많이 좀 와서 강원도 불을 끄고,
전국적인 건조주의보도 해제하면 좋겠네요.

지금 오는 비가 저 같은 농사꾼에게는 별로지만...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보태기)
한나절의 반인 반나절과 같은 뜻의 낱말로 ‘한겻’도 있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80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481
1216 [2011/04/11] 우리말) 너스레 moneybook 2011-04-12 2704
1215 [2011/04/09] 우리말) 제가 누구냐고요? moneybook 2011-04-09 3012
1214 [2011/04/08] 우리말) 파근하다 moneybook 2011-04-08 3424
1213 [2011/04/07]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moneybook 2011-04-07 2384
1212 [2011/04/06] 우리말) 자글거리다 moneybook 2011-04-06 3233
1211 [2011/04/05-2] 우리말) 잔불과 뒷불 moneybook 2011-04-05 2767
1210 [2011/04/05] 우리말) 기름값 인하 moneybook 2011-04-05 2758
1209 [2011/04/04] 우리말) 조비비다 moneybook 2011-04-04 3195
1208 [2011/03/25] 우리말) 비릊다 moneybook 2011-03-25 2613
1207 [2011/03/24] 우리말) 여우비 moneybook 2011-03-24 3137
1206 [2011/03/23] 우리말) 댓글 moneybook 2011-03-23 2494
1205 [2011/03/22] 우리말) 뭘로와 뭐로 moneybook 2011-03-22 2632
1204 [2011/03/21] 우리말) 끼끗하고 조쌀하다 moneybook 2011-03-21 3150
1203 [2011/03/18] 우리말) 난임과 불임 moneybook 2011-03-18 2568
1202 [2011/03/17] 우리말) 방사선과 방사능 moneybook 2011-03-17 2568
1201 [2011/03/16] 우리말) 잎샘 moneybook 2011-03-16 2418
1200 [2011/03/15] 우리말) 꽃샘과 꽃샘추위 moneybook 2011-03-15 2439
» [2011/03/14] 우리말) 해망쩍다 moneybook 2011-03-15 3226
1198 [2011/03/11] 우리말) 요와 오 moneybook 2011-03-11 2771
1197 [2011/03/09] 우리말) 버물다 moneybook 2011-03-09 2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