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2/14] 우리말) 님

조회 수 2779 추천 수 8 2011.02.14 16:15:26
??요즘 세대가 이런 옛날 얘기를 알고 '님'을 널리 쓰게 된 건지 어떤 건지는 잘 모른다. 어쩌면 이런 얘기를 부끄럽게도 나만 몰랐었는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정말 부끄럽다. 부끄러우니 부끄러운 만큼 '님'을 더 많이 써 보자.




안녕하세요.

오늘은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이신 정재환 님이 '한글 아리아리'라는 한글문화연대 소식지에 쓴 글을 소개하는 것으로 우리말편지를 갈음합니다.
한글문화연대는
다양한 분야에서??아름다운 우리말과 글을 가꾸어, 세계화의 거센 물결 속에서 잃어가는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찾고,
더 나아가 세계에 자랑할 수 있는 독창적인 한글문화를 일구기 위해 힘쓰는 단체입니다.
저는 달마다 5천원의 회비를 내면서 작은 저의 정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http"//www.urimal.org에 가보시면 많은 소식을 보실 수 있습니다.


님????????????????????
??????????????????????????????????????????????????????정재환 / 방송인, 한글문화연대 공동대표

언젠가부터 '씨' 대신 님'을 많이 쓴다. 홍길동 님, 영희 님, 철수 님! 글을 쓸 때뿐만이 아니고 직접 상대를 부를 때도 쓴다.

"홍길동 님, 저 좀 도와 주세요."

처음에는 좀 이상했다. '씨'라는 말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데 왜 부쩍 님을 쓰는 걸까? '아무개 씨'라고 불리면 자신을 하대하는 것으로 여겨져 기분이 나쁘다는 아무개 씨의 말도 듣긴 했지만, '씨'라는 말이 남을 부를 때 쓰는 존칭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순전히 기분 문제가 아니었을까? 물론 '김 씨, 이 씨' 하는 호칭에 다소 그런 느낌이 있었던 것도 사실이지만. 그건 부르는 사람과 불리는 사람의 위계 때문이지 '씨'라는 단어 자체의 문제는 아니었다.

그래서 난 줄곧 왜 님이 유행하게 되었을까 하는 의문을 갖고 있었다. 물론 '님'을 싫어하는 것은 아니다. 나도 님을 쓴다. 다만, 그랬다는 거다. 그런데 오늘 '외솔 최현배 학문과 사상'이라는 책을 읽다가 '님'을 발견했다.

"그리하여 김 형, 이 공, 최 씨 들의 말씨를 김 님, 이 님, 최 님 들로 고쳐쓰기로 했다." (김석득, 2000, 28쪽.)

최현배 선생이 1925년경 교토대학에 유학하던 때의 이야기다. 우리 겨레에 대한 장래를 사랑하는 길은 입으로나 손만으로 되는 것이 아니고 몸과 행동으로 실천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호칭부터 우리말로 부르기 시작했다는 거다. '님'은 형(兄)과 공(公)과 씨(氏)를 물리치는 말이었던 것이다.

요즘 세대가 이런 옛날 얘기를 알고 '님'을 널리 쓰게 된 건지 어떤 건지는 잘 모른다. 어쩌면 이런 얘기를 부끄럽게도 나만 몰랐었는지도 모른다. 그렇다면 정말 부끄럽다. 부끄러우니 부끄러운 만큼 '님'을 더 많이 써 보자.





고맙습니다. ????????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이름 띄어쓰기]

눈이나 좀 오지...
내리라는 눈은 안 내리고 춥기만하니...원...쩝...

오늘도 계속해서 띄어쓰기를 좀 살펴보겠습니다.
어제 보내드린 편지에서,
띄어쓰기 원칙을 말씀드렸고,
사전에 한 단위로 올라있는 것이 낱말인데, 이 낱말별로 띄어 쓰고,
명사, 형용사와 같은 9가지 품사도 낱말로 취급해서 띄어 쓰되, 조사는 예외적으로 붙여 쓴다...
이게 어제 말씀드린 내용입니다.

오늘은 거기서 조금만 더 나가서,
단위는 무조건 띄어 쓰면 됩니다.
한 개, 차 한 대, 금 서 돈, 소 한 마리, 옷 한 벌, 열 살, 조기 한 손, 연필 한 자루, 버선 한 죽, 집 한 채, 신 두 켤레, 북어 한 쾌 등등...

두 말을 이어 주거나 열거할 적에 쓰이는 다음의 말들은 띄어 씁니다.
국장 겸 과장, 열 내지 스물,
청군 대 백군,
책상, 걸상 등이 있다.
이사장 및 이사들,
사과, 배, 귤 등등
사과, 배 등속,
부산, 광주 등지

얼마 전에 ㄱ 과장님이 말씀하신,
‘등’이 이거죠.
불을 밝히는 ‘등’은 붙여 쓰고,
‘-따위’를 의미하는 등은 띄어 쓰고...

끝으로 하나만 더,
성과 이름, 성과 호 등은 붙여 쓰고, 이에 덧붙는 호칭어, 관직명 등은 띄어 씁니다.
홍길동, 홍길동 씨, 홍길동 선생, 홍길동 박사, 홍길동 과장, 충무공 이순신 장군 등...

단, 성과 이름, 성과 호를 분명히 가를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띄어 쓸 수 있다.
남궁억/남궁 억, 독고준/독고 준, 황보지봉(皇甫芝峰)/황보 지봉 등...

설마 지금도,
‘홍 길동’으로 성과 이름을 띄어서 쓰지는 않으시죠?
근데 며칠 전에 저는 그런 명함을 받은 적이 있어요...쩝...
이런 때는 그 사람 얼굴을 다시 한 번 더 보게 되죠.

날씨가 꽤 춥네요.
늘 건강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66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361
1496 [2011/02/09] 우리말) 뉴스 자막 몇 개 moneybook 2011-02-09 3157
1495 [2011/02/10] 우리말) 뜻밖에 moneybook 2011-02-10 2794
1494 [2011/02/11] 우리말) 달달하다 moneybook 2011-02-11 3553
» [2011/02/14] 우리말) 님 moneybook 2011-02-14 2779
1492 [2011/02/15] 우리말) 달걀과 계란 moneybook 2011-02-15 3005
1491 [2011/02/16] 우리말) 댓글을 같이 보고자 합니다 moneybook 2011-02-16 3352
1490 [2011/02/17] 우리말) 들이키다와 들이켜다 moneybook 2011-02-17 3689
1489 [2011/02/18] 우리말) 이르다 moneybook 2011-02-18 2830
1488 [2011/02/21] 우리말) 수우미양가 moneybook 2011-02-21 2883
1487 [2011/02/22] 우리말) 개화와 꽃 핌 moneybook 2011-02-22 3184
1486 [2011/02/23] 우리말) 댓글 몇 개를 함께 읽고자 합니다 moneybook 2011-02-23 2788
1485 [2011/02/24] 우리말) 째, 체, 채 moneybook 2011-02-24 3296
1484 [2011/02/25]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moneybook 2011-02-25 2714
1483 [2011/02/28] 우리말) 돋우다와 돋구다 moneybook 2011-02-28 2894
1482 [2011/03/02] 우리말) 파워 스폿 moneybook 2011-03-02 3001
1481 [2011/03/03] 우리말) 놀라다와 놀래다 moneybook 2011-03-03 3524
1480 [2011/03/07] 우리말) 나르다와 날다 moneybook 2011-03-07 2802
1479 [2011/03/08] 우리말) 첫날 밤과 첫날밤 moneybook 2011-03-08 2749
1478 [2011/03/09] 우리말) 버물다 moneybook 2011-03-09 2786
1477 [2011/03/11] 우리말) 요와 오 moneybook 2011-03-11 3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