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15] 우리말) 올겨울과 이번 겨울

조회 수 2546 추천 수 26 2010.12.15 11:20:37
거의 모든 방송에서 '올겨울' 들어 가장 추운 날씨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올겨울'은 2010년 1월도 '올겨울'에 들어갑니다. 따라서 '올겨울'이 아니라 '이번 겨울'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무척 춥네요. 글을 쓰는 제 손도 언 것 같습니다. ^^*

어제 보낸 편지에 제 실수가 있었습니다.
g을 '그람'이라고 했는데, 단위 g는 '그람'이 아니라 '그램'이 맞습니다.
죄송합니다.

1.
방송에서 오늘 아침 많이 춥다고 했습니다.
추위나 더위의 정도를 나타내는 어찌씨(부사)는 '상당히' 나 '꽤'를 써야 바릅니다.
따라서 많이 추운 게 아니라 무척 춥고, 꽤 춥고, 상당히 추운 겁니다.

2.
거의 모든 방송에서 '올겨울' 들어 가장 추운 날씨라고 했습니다.
그러나 '올겨울'은 2010년 1월도 '올겨울'에 들어갑니다. 따라서 '올겨울'이 아니라 '이번 겨울'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3.
이렇게 추운 날씨를 강추위라고 합니다.
흔히 '强추위'라고 생각하시는데, 순우리말에 '강추위'가 있습니다.
이름씨(명사)로 "눈도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으면서 몹시 매운 추위"를 뜻합니다.
한글학회에서 만든 우리말 큰사전에는 '강추위'만 올라 있습니다.
그러나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강추위'와 함께 '强추위'도 올라 있습니다.
"눈이 오고 매운바람이 부는 심한 추위"라는 뜻입니다.

'강추위'는 "눈도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으면서 몹시 매운 추위"이고,
'강추위'는 "눈이 오고 매운바람이 부는 심한 추위"라는 뜻입니다.
그러면 '강추위'에 눈이 내려는 게 맞나요 내리지 않는 게 맞나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잊혀진 계절이 아니라 잊힌 계절]

안녕하세요.

오늘이 시월의 마지막 밤인데,
아직도 집에 못 가고 일터에서 남을 일과 싸우고 있습니다.
눈이 감겨와 우리말편지를 쓰면 좀 나을 것 같아서...

어제 편지에서 몇 가지 실수가 있었네요.

1.
어제는 오랜만에 옛 동료를 만나 저녁에 한 잔 했습니다.
라는 월을 보시고,
딱 한 잔만 했냐고 하시는 분이 계시네요.
한잔은 간단하게 한 차례 마시는 술이고,
한 잔은 딱 한 잔이라는 뜻입니다.
저는 어제 '한 잔' 한 게 아니라 '한잔' 했습니다. ^^*

2.
어제 편지 끝머리에
옛 동료와 만나 권커니 잣커니할 때는 '소주'보다는 '쐬주'가 더 어울리거든요. ^^*
라고 했는데,
'권커니 잣커니'가 아니라 '권커니 잣거니'입니다.
앞에서 잘 설명해 놓고 막상 저는 틀렸네요. ^^*

3.
권커니 잣거니를 설명하면서
잣거니는 아마도 작(酌)에서 온 말 같다고 했는데,
어떤 분이 혹시 '자시거니'에서 온 말이 아니냐는 분이 계시네요.
정확한 말뿌리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왕 편지를 쓴 김에 하나 짚고 갈게요.

오늘이 시월의 마지막 밤입니다.
이 날은 이용의 '잊혀진 계절'때문에 이름을 탄 것 같습니다.
지금도 기억하고 있어요 시월의 마지막밤을... 뭐 이런 노래 있잖아요.

이 노래 제목인 잊혀진 계절은 맞춤법에 맞지 않습니다.
잊다의 입음꼴(피동형)은 잊혀지다가 아니라 잊히다입니다.
오래전에 잊힌 일들을 다시 얘기할 필요는 없다, 이 사건은 사람들의 무관심 속에 차츰 잊혀 갔다처럼 씁니다.
따라서 잊혀진 계절이 아니라 잊힌 계절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문법을 보면,
'잊히다'가 '잊다'의 입음꼴인데,
여기에 부사형 연결어미 '-어'가 오고 그 뒤에
앞말이 뜻하는 상태로 됨을 나타내는 말인 '지다'가 한 번 더 합쳐졌기 때문에 이중피동이 됩니다.

쓰다보니 편지가 좀 길어졌네요.
빨리 일 마치고 들어가야 겠네요.

주말 잘 쉬시길 빕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017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5771
1156 [2011/01/04] 우리말) 잔주름/잗주름 moneybook 2011-01-04 5220
1155 [2011/01/03] 우리말) 장애인과 불구 moneybook 2011-01-03 2552
1154 [2010/12/31] 우리말) 고맙습니다. ^^* moneybook 2010-12-31 2718
1153 [2010/12/30] 우리말) 나일롱 -> 나일론 moneybook 2010-12-30 2893
1152 [2010/12/30] 우리말) 밀월여행 moneybook 2010-12-30 2812
1151 [2010/12/29] 우리말) 따듯하다 moneybook 2010-12-29 3258
1150 [2010/12/28] 우리말) 사뜻하다 moneybook 2010-12-28 3131
1149 [2010/12/27] 우리말) 새날이 도래 moneybook 2010-12-27 2568
1148 [2010/12/23] 우리말) 참모습 moneybook 2010-12-23 2574
1147 [2010/12/22] 우리말) 못 잊다 moneybook 2010-12-22 2822
1146 [2010/12/21] 우리말) 관용구 moneybook 2010-12-21 2991
1145 [2010/12/20] 우리말) 움츠리다 moneybook 2010-12-20 3155
1144 [2010/12/17] 우리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답장 moneybook 2010-12-18 3066
1143 [2010/12/17] 우리말) 사회복지공동모금회 moneybook 2010-12-17 2578
1142 [2010/12/16] 우리말) 웃옷 moneybook 2010-12-16 2550
» [2010/12/15] 우리말) 올겨울과 이번 겨울 moneybook 2010-12-15 2546
1140 [2010/12/14] 우리말) 좨기 moneybook 2010-12-14 2715
1139 [2010/12/13] 우리말) 희소병 moneybook 2010-12-13 2784
1138 [2010/12/10] 우리말) 책 소개 moneybook 2010-12-10 2620
1137 [2010/12/09] 우리말) 미친 존재감 moneybook 2010-12-09 2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