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1/19] 우리말) 트네기

조회 수 2420 추천 수 47 2010.11.19 10:59:19
마루는
어떤 사물의 첫째 또는 어떤 일의 기준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지난 수요일 한겨레 신문에 난 글을 하나 소개합니다.

이봉원 님이 '독자칼럼'에 실을 글로
'트위터리안'을 '트내기'로 바꿔쓰자는 내용입니다.
http://www.hani.co.kr/arti/opinion/readercolumn/449125.html

‘네티즌’이 우리말 ‘누리꾼’으로 많이 정착돼 가고 있습니다. 아주 반가운 현상입니다. 그런데 최근 트위터를 쓰는 사람들을 ‘트위터리안’이라 하는데 이 말도 우리말로 ‘트내기’라고 하면 어떨까요?
‘트다’란 말은 ‘1. 막혔던 것을 통하게 하다’, ‘2. 서로 스스럼없는 관계를 맺다’는 뜻으로 쓰이는 순수한 우리말입니다. 그리고 ‘내기’ 역시 순수한 우리 토박이말로, 어느 고장 사람이라고 할 때 붙이는 접미사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사람’을 ‘서울내기’라고 하잖아요? ‘트내기’라는 새 말을 쓰자고 제안합니다.


참으로 좋은 제안이라고 생각합니다.
외래어를 안 쓸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외래어를 받아들이면서 우리 조상의 삶과 문화를 담아 우리 것으로 만들어서 받아들여야 한다고 봅니다.
클러스터, 어젠다, 하이브리드... 이런 말도 우리 것으로 바꿔서 받아들이는 게 좋다고 봅니다.
UFO를 정체불명의 비행체라고도 하지만,
누군가 우리네 정서를 담아 비행접시라고 했기에 그것은 우리말이 된 겁니다.

'트위터리안'도 '트내기'라고 자주 쓰면 우리말이 된다고 봅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한글날을 앞두고 문제를 냈습니다]

먼저 알려 드릴 게 하나 있습니다.
다음 주 월요일부터 우리말편지의 '보낸 사람'이 '우리말123, jhsung@korea.kr'로 나타납니다.
예전에 쓰던 urimal123@naver.com을 제 일터에서 쓸 수 없게 되어 어쩔 수 없이 그렇게 바꿨습니다.
혹시 다음 주 월요일치 우리말 편지가 오지 않으면 휴지통을 뒤져보십시오.
쓰레기편지로 오해받고 곧바로 휴지통에 들어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

앞으로 제가 urimal123@naver.com을 안 쓰고 jhsung@korea.kr만 쓰겠다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네이버나 다음 편지를 일터에서 볼 수 없기에
일터에서는 jhsung@korea.kr을 쓰고,
집에서는 urimal123@naver.com이나 urimal123@hanmail.net을 쓰겠다는 겁니다.

다음 주 목요일이 한글날입니다.
제 나름대로 한글날을 기리고자 오늘은 문제를 하나 낼게요.

잘 아시는 것처럼 한글은 세계에서 손꼽히는 우리 문화유산입니다.
우리 문화의 꽃이죠.
우리가 가진 재산 가운데 가장 소중한 것이라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닐 겁니다.

자 문제를 낼게요.
재산 가운데 가장 값나가는 물건 또는 음식 가운데서 가장 맛있는 음식을 뜻하는 두 자로 된 우리말을 맞히시는 겁니다.
우리가 날마다 쓰는 말 가운데서 ㅇㅇ같은 우리말이 얼마나 되는가를 살펴봄도 헛일은 아닐 것이다처럼 씁니다.
알짜배기를 떠올리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맨 먼저 답을 보내주신 분께 우리말 편지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답은 '답장'으로 보내지 마시고 편지 맨 밑에 있는 '의견 쓰기'로 보내주십시오.

다음 주 한글날도 문제를 내겠습니다.
그날은 문제 정답을 보내주신 모든 분께 선물을 드리겠습니다.
좀 부담스럽지만,
백 명이건 천 명이건 답을 맞히신 모든 분께 선물을 드릴 생각입니다.

일단 오늘 답을 맞히신 분께 먼저 선물을 드리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257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8166
96 [2012/10/26] 우리말) 바래다와 바래지다 머니북 2012-10-26 6521
95 [2006/09/18] 우리말) 숟가락을 떨어트리다? 떨어뜨리다? id: moneyplan 2006-09-18 6641
94 그 동안 연재하던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을 종료 합니다. 머니북 2017-11-28 6650
93 [2012/09/26] 우리말) 햅쌀과 오려쌀 머니북 2012-09-26 6726
92 [2012/03/22] 우리말) 사이시옷 머니북 2012-03-22 6787
91 [2014/01/23] 우리말) '만일 내가 다시 아이를 키운다면' 머니북 2014-01-23 6818
90 [2013/09/12] 우리말) 슬다 머니북 2013-09-12 6895
89 [2013/02/20] 우리말) 봄꿈 머니북 2013-02-20 7034
88 [2006/09/03] 우리말) 오늘 농촌진흥청 잔치 대단원의 막을 내립니다 id: moneyplan 2006-09-04 7040
87 [2012/09/27] 우리말) 부저와 단추 머니북 2012-09-27 7087
86 [2007/08/24] 우리말) 허니문베이비의 순 우리말은? [1] id: moneyplan 2007-08-24 7152
85 [2007/10/15] 우리말) 지난주, 이번 주, 다음 주 id: moneyplan 2007-10-15 7153
84 [2009/04/13] 우리말) 헛으로와 허투루 id: moneyplan 2009-04-13 7172
83 [2009/02/06] 우리말) 쌈빡하다와 삼박하다 id: moneyplan 2009-02-06 7273
82 [2012/08/06] 우리말) 넓다랗다와 널따랗다 머니북 2012-08-06 7369
81 [2006/09/01] 우리말) 나염이 아니라 날염입니다 id: moneyplan 2006-09-01 7424
80 [2013/09/10] 우리말) 부나비 머니북 2013-09-10 7432
79 [2012/09/04] 우리말) 물보낌 머니북 2012-09-04 7520
78 [2013/03/11] 우리말) 명함 영문이름 머니북 2013-03-11 7549
77 [2008/04/14] 우리말) 화무는 십일홍이요, 달도 차면 기우나니라 id: moneyplan 2008-04-14 75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