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0/18] 우리말) 있습니다와 있음

조회 수 2264 추천 수 92 2010.10.18 09:29:14
당연히 움직씨 없다 이름씨꼴은 '없음'이지 '없슴'이 아닐고,
'있다'의 이름씨꼴은 '있음'이지 '있슴'이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월요일 아침이라 정신없이 바쁘네요.
오늘은 예전에 보낸 편지로
우리말 편지를 갈음합니다.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있습니다와 있음]

안녕하세요.

하늘이 참 맑고 깨끗하네요. ^^*
이렇게 기분 좋은 소식이 신문에 났네요.
정운찬 서울대 전 총장님이 하신 말씀입니다.
http://media.daum.net/society/people/view.html?cateid=1011&newsid=20080823033307540&cp=hankooki&RIGHT_TOPIC=R10

오늘은 좀 쉬운 것으로 시작할게요.
대부분이 아시는 내용인데도 '읍니다'와 '습니다'를 잘못 쓰시는 분이 뜻밖에 많네요.
어제 받은 편지에서도 '읍니다'와 '있슴'을 봤습니다.

다 하시는 것처럼 예전에는 '읍니다'였지만 1989년부터는 '습니다'가 표준어입니다.
비슷한 발음의 몇 형태가 쓰일 경우, 그 의미에 아무런 차이가 없고 그 가운데 하나가 널리 쓰이면, 그 가운데 한 형태만을 표준어로 삼는다는 규정에 따라
'읍니다'를 버리고 '습니다'를 표준어로 삼았습니다.
여기까지는 거의 다 아십니다.

그런데 '읍니다'를 버리고 '습니다'를 표준어로 삼고 보니,
많은 사람이 이름꼴(명사형) 씨끝(어미) '음'을 '슴'으로 쓰는 엉뚱한 잘못을 저지르고 있습니다.
'있습니다'고 쓰고 이를 줄여 '있슴'이라고 쓰는 겁니다.

'-음, -ㅁ'은
자음 밑에서는 '-음'을,
모음 밑에서는 '-ㅁ'을 써 낱말을 이름씨(명사)로 만드는 씨끝(어미)입니다.
'읍니다/습니다'와는 아무 상관이 없습니다.

'읍니다'를 '습니다'로 바꿨으니까 '-음'도 '-슴'으로 적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것은 아니죠?
움직씨(동사) 먹다의 이름씨꼴은 '먹음'이지 '먹슴'이 아니고,

당연히 움직씨 없다 이름씨꼴은 '없음'이지 '없슴'이 아닐고,
'있다'의 이름씨꼴은 '있음'이지 '있슴'이 아닙니다.
이런 기본이 틀리면 좀 창피하지 않을까요? 저라면 창피할 것 같습니다.

설마하니...
맞춤법이 너무 자주 바뀌니까 공부한 게 다 소용없어졌다고요? 그래서 헷갈리신다고요?
1989년에 바뀌고 1954년에 바뀌었으며, 그전에는 1920년대에 바뀐 적이 있습니다.
몇년에 태어나셨는데 맞춤법이 '자주' 바뀐다고 하시나요?
적어도 1950년 이후에 태어나신 분이 '맞춤법이 자주 바뀌어...'라는 말씀을 하시면 안 됩니다.  ^^*

누군가 그러시더군요.
좋은 일이 많아서 자주 웃는 게 아니라,
자주 웃어서 좋은 일이 많이 생긴다고...

오늘도 많이 웃으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531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0934
2636 [2015/08/24] 우리말) 풋낯과 풋인사 머니북 2015-08-25 2276
2635 [2015/12/14] 우리말) 사랑을 쓸려거든 머니북 2015-12-15 2276
2634 [2016/02/19] 우리말) 철 머니북 2016-02-25 2276
2633 [2013/06/24] 우리말) 혼신 머니북 2013-06-24 2277
2632 [2015/10/01] 우리말) 풋머리 머니북 2015-10-01 2277
2631 [2015/10/13] 우리말) 찌푸리다 머니북 2015-10-15 2277
2630 [2016/03/29] 우리말) 바람만바람만 머니북 2016-03-30 2277
2629 [2016/05/18] 우리말) 알맹이와 알갱이 openmind 2016-05-18 2278
2628 [2016/08/25] 우리말) 물, 말 머니북 2016-08-29 2278
2627 [2014/12/02] 우리말) 추켜세우다/치켜세우다 머니북 2014-12-02 2279
2626 [2010/03/25] 우리말) 가위 id: moneyplan 2010-03-25 2280
2625 [2015/07/06] 우리말) 금새와 금세 머니북 2015-07-06 2280
2624 [2015/12/02] 우리말) 속박이 머니북 2015-12-02 2280
2623 [2016/01/15] 우리말) 드셔 보세요 머니북 2016-01-17 2280
2622 [2016/01/29] 우리말) 난장판의 아수라 머니북 2016-02-01 2280
2621 [2016/06/28] 우리말) 회까닥 머니북 2016-06-29 2281
2620 [2010/11/15] 우리말) 신기록 경신 moneybook 2010-11-15 2282
2619 [2010/11/19] 우리말) 트네기 moneybook 2010-11-19 2282
2618 [2013/06/20] 우리말) 99일 뒤... 머니북 2013-06-20 2282
2617 [2009/09/18] 우리말) 멧돼쥐 id: moneyplan 2009-09-18 22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