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6/16] 우리말) 16강은 떼 논 당상

조회 수 2382 추천 수 88 2010.06.16 09:05:12
사과 따듯 나무에 걸린 당상 벼슬을 따거나,
고스톱 쳐서 벼슬을 따거나,
봉투 속에 든 벼슬을 꺼낸 게 아니니,
당연히 '따 논 당상'이 아니라, '떼어 논 당상'이라고 써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아침에 편지를 써 놓고
'보내기'를 하지 않았네요. 방금 알았습니다...
이제라도 보냅니다.



오늘 아침 6:41, SBS에서 신문 기사를 소개하면서
'행복한 비명'이라고 했습니다.
비명은
슬플 비(悲) 자에 울 명(鳴) 자를 써서,
"슬피 욺, 또는 그런 울음소리, 일이 매우 위급하거나 몹시 두려움을 느낄 때 지르는 외마디 소리."라는 뜻입니다.
놀라거나 슬플 때 지르는 소리지
기뻐서 지르는 소리가 아닙니다.
기뻐서 지르는 소리는,
환성이나 환호성입니다.
환성이 기뻐할 환(歡) 자에 소리 성(歡) 자를 쓰잖아요.

'행복한 비명'은
'행복하다'와 '비명'이 어울리지 않아서 틀린 말이고,
'행복한 환호성'이라고 해도,
행복하다와 환호성의 뜻이 겹쳐서 틀린 말입니다.

그냥 '환호성을 지른다'고 하면 됩니다.
괜히 글을 쓰면서 비비 꼬고 멋을 부리려고 하다 보니
'행복한 비명'이 나온 것 같습니다.


저는 평소에 운동을 별로 하지 않습니다.
고작 한다는 게 숨쉬기 운동과 컴퓨터 자판 두드리면서 하는 손가락 운동,
그리고 저녁에 목을 축이면서 하는 손목운동과 목운동이 전부입니다.
그렇다고 운동을 딱히 좋아하는 것도 아닙니다.
그래도 월드컵은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응원을 하는 게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

지난 토요일 저녁에도 축구를 참 잘했지만,
이번 목요일 저녁에도 잘 싸워서 꼭 이겨주길 빕니다.
지난 토요일처럼만 하면 이번 월드컵에서 16강은 물론 8강도 떼어 논 당상일 겁니다.

어떤 일이 확실하여 조금도 틀림없이 진행될 것이란 의미로
'떼어 놓은 당상'이나, '따 논 당상'이라는 말을 합니다.

'당상'은,
조선시대의 높은 벼슬인데,
어떤 사람을 위해, 꼭 어떤 사람에게만 주려고,
따로 떼어 놓은 당상 자리라는 뜻이,
'(따로)떼어 놓은 당상'입니다.
곧, '맡아 놓은 일, 확실한 일'이죠.
따라서, '떼어 놓은 당상'이나, '떼 논 당상'이라고 써야지,
'따 논 당상'이라고 쓰면 안 됩니다.

'따다'는,
붙어 있는 것을 잡아떼다,
노름, 내기, 경기 따위에서 이겨 돈이나 상품 따위를 얻다,
꽉 봉한 것을 뜯다. 따위의 뜻이 있습니다.

'떼다'는,
붙어 있거나 잇닿은 것을 떨어지게 하다,
전체에서 한 부분을 덜어내다,
함께 있던 것을 홀로 남기다,
걸음을 옮기어 놓다. 따위의 뜻이 있습니다.

사과 따듯 나무에 걸린 당상 벼슬을 따거나,
고스톱 쳐서 벼슬을 따거나,
봉투 속에 든 벼슬을 꺼낸 게 아니니,
당연히 '따 논 당상'이 아니라, '떼어 논 당상'이라고 써야 합니다.

"떼어 둔 당상 좀 먹으랴."라는 속담도 있습니다.

이번에도 16강에 들어가는 것은 떼어놓은 당상이니,
우리는 아무 걱정 말고 응원이나 열심히 하자고요. ^^*

고맙습니다.

보태기)
어떤 분이 저도 트위터를 하느냐고 물으시더군요.
예, 합니다. 며칠 전부터 합니다.
제 계정은
@urimal123 입니다. '우리말123'이죠. ^^*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틀린말 몇 개]

안녕하세요.

아침부터 '맨날'이라는 말이 많이 들리네요.
"매일같이 계속하여서"라는 뜻의 낱말은 '맨날'이 아니라 '만날'입니다.
만날 그 모양이다, 너는 시험이 코앞인데 만날 놀기만 하니?처럼 씁니다.

지난주 토요일 오후 1:48, KBS 라디오에서 진행자가 '애기'라고 했습니다.
'아기', '아가', '아이'는 있어도 '애기'는 없습니다.
'아이'의 준말은 '애'이지 '애기'가 아닙니다.

곧이어 53분에
"곤혹을 치루다"고 했습니다.
"심한 모욕. 또는 참기 힘든 일."은 '곤혹'이 아니라 '곤욕'입니다.
또,
"무슨 일을 겪어 내다."는 뜻의 낱말은 '치루다'가 아니라 '치르다'입니다.
시험을 치르다, 잔치를 치르다처럼 쓰지,
시험을 치루다, 잔치를 치루다로 쓰지 않습니다.

언젠가 말씀드렸듯이
'치루다'는 아마도 의사선생님들만 쓸 수 있는 말일 겁니다.
치질 환자를 보는 의사선생님이 '어, 이거 치핵이 아니라 치루다'라고 하실 때 쓸 수 있는 말입니다.

이번 주는 방송에서 고운 말, 바른말만 듣기를 빕니다.
말이 올라야 나라가 오른다고 했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41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124
1036 [2010/07/13] 우리말) 족집게 moneybook 2010-07-13 2328
1035 [2010/07/12] 우리말) 진검승부와 자매결연 [1] moneybook 2010-07-12 2411
1034 [2010/07/09] 우리말) 틀린 낱말 몇 개 moneybook 2010-07-09 2248
1033 [2010/07/08] 우리말) 처서가 아니라 소서 moneybook 2010-07-08 2344
1032 [2010/07/07] 우리말) 얼굴2 moneybook 2010-07-07 3353
1031 [2010/07/06] 우리말) 얼굴 moneybook 2010-07-06 2241
1030 [2010/07/05] 우리말) 무척 덥다 moneybook 2010-07-05 2333
1029 [2010/07/02] 우리말) 굴지와 불과 moneybook 2010-07-02 2331
1028 [2010/07/01] 우리말) 아침 뉴스를 보면서... moneybook 2010-07-01 2360
1027 [2010/06/30] 우리말) 안과 밖 moneybook 2010-06-30 2354
1026 [2010/06/29] 우리말) 큰소리와 큰 소리 moneybook 2010-06-29 2711
1025 [2010/06/25] 우리말) 잊힌 전쟁과 잊혀진 전쟁 moneybook 2010-06-25 2699
1024 [2010/06/24] 우리말) 한켠과 한편 moneybook 2010-06-24 2371
1023 [2010/06/23] 우리말) 도가니 moneybook 2010-06-23 2696
1022 [2010/06/22] 우리말) 차두리와 덧두리 moneybook 2010-06-22 2306
1021 [2010/06/21] 우리말) 물은 셀프 moneybook 2010-06-21 2243
1020 [2010/06/18] 우리말) 승리욕과 승부욕 moneybook 2010-06-18 2588
1019 [2010/06/17] 우리말) 승패와 성패 moneybook 2010-06-17 2331
1018 [2010/06/16] 우리말) 허점과 헛점 moneybook 2010-06-16 2909
» [2010/06/16] 우리말) 16강은 떼 논 당상 moneybook 2010-06-16 2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