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5/31] 우리말) 사전 이야기

조회 수 3735 추천 수 92 2010.05.31 08:58:47

우리말은 자주 써야 입에 익습니다.
여자 꾀는 '제비족'은 사전에 올리면서

옛 추억을 살릴 '제비집'은 사전에 없습니다.
이것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가끔 문제를 내고 맞히신 분께 작은 선물을 보내드리는데 그게 바로 제가 만든 '갈피표'입니다
.
그 갈피표를 올려놓은 종이에는 이런 글이 쓰여 있습니다
.

책갈피 : 책장과 책장의 사이

갈피표 : 읽던 곳이나 필요한 곳을 찾기 쉽도록 책갈피에 끼워두는 것
따라서, 책갈피라고 쓰면 안 되고 갈피표라고 써야 한다는 것을 말씀드리는 글이 있습니다.

그 글을 보시고 많은 분이 저에게 따지(?)는 글을 보내십니다
.
요즘 사전에 보면 책갈피에 "책장과 책장의 사이"라는 뜻과 함께 "읽던 곳이나 필요한 곳을 찾기 쉽도록 책의 낱장 사이에 끼워 두는 물건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라는 뜻이 들어 있으니

그것을 갈피표라 해도 되고 책갈피라고 해도 되는 거 아니냐고...

맞습니다
.
읽던 곳이나 필요한 곳을 찾기 쉽도록 책의 낱장 사이에 끼워두는 물건을 뭐라고 하는지가 시험에 나왔다면
,
책갈피라고 해도 갈피표라고 해도 됩니다
.
어쨌든 국립국어원 국어대사전에 나와 있으니 둘 다 써도 됩니다
.

저는 청설모와 청서 이야기도 가끔 합니다
.
다람쥐처럼 생긴 회색 동물은 청서이고, 그 청서의 꼬리 털이 청설모입니다
.
그러나 언제부터인가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청설모의 뜻에 "참다람쥐나 날다람쥐의 털. 붓을 만드는 데 많이 쓴다"는 뜻을 더 넣었습니다.
그래서 이제는 날다람쥐를 보고 청설모라고 해도 됩니다
.
시험에 나왔다면 청서라고 해도 되고 청설모라고 해도 되는 거죠
.

저는 이런 게 싫습니다
.
책갈피에 엉뚱한 갈피표 뜻을 담아 낱말 뜻을 흐리게 만들고
,
청설모는 털임에도 날다람쥐를 포함해 엉뚱한 낱말을 만들어 버리는 실수를 저지르는 우리 사전이 싫습니다
.
말은 살이 있다 보니 자주 쓰면 그게 표준말이 될 수 있습니다
.
아귀탕이 맞으나 거의 모든 사람이 아구탕이라고 쓴다면 잠시 복수표준어로 인정하다가 아귀탕을 버리고 아구탕을 표준말로 삼는 것은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강남콩이지만 소리내기 쉽게 강낭콩으로 하는 것도 얼마든지 이해할 수 있습니다
.

그러나

분명히 뜻이 다른 책갈피와 갈피표를 같은 뜻으로 봐 버리고,
청설모와 청서를 같이 봐 버린다면
,
나중에 언젠가는 접수와 제출도 같이 볼 것입니다
.
시험 보는 사람이 원서를 제출하고, 학교에서 그 원서를 접수하는데
,
많은 사람이 원서를 접수했다고 잘못 말합니다
.
그렇다고 해서 사전에서 접수의 뜻에 "시험 보려고 원서를 냄"이라는 뜻을 넣어야 할까요
?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

저는 글을 쓰면서 표준국어대사전을 자주 봅니다
.
말 그대로 그게 제 글의 표준이자 기준입니다
.
그런 사전을 꼬집어서 죄송하고 가슴이 아픕니다
.

우리말은 자주 써야 입에 익습니다
.
여자 꾀는 '제비족'은 사전에 올리면서

옛 추억을 살릴 '제비집'은 사전에 없습니다.
이것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요
.

사전은 말글살이의 기준입니다
.
그 사전이 바로 서야 말글살이가 바로 설 수 있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
꽃소식과 꽃소금
]

안녕하세요
.

오늘 우리나라도 우주인이 나오죠
?
탈 없이 잘 다녀오길 빕니다
.

오늘 아침 SBS 뉴스에서 "설레임과 흥분"이라고 하더군요
.
'
설레임'이 아니라 '설렘'입니다
.

오늘도 꽃 이야기 몇 개 더 해 볼게요
.

꽃이 피고 봄이 온 것을 '꽃소식'이라 하고
,
요즘 같은 꽃 피는 철을 '꽃철'이라 하며
,
그런 꽃을 찾아다니며 즐기는 놀이를 '꽃놀이'라고 합니다
.
아름답게 핀 꽃을 보고 즐기는 것이야 당연히 '꽃구경'입니다
.
진달래꽃이 필 때에, 그 꽃을 따서 전을 부치거나 떡에 넣어 여럿이 모여 먹는 놀이는 '꽃달임'이라고 합니다
.
주로 음력 3 3일에 하니 딱 오늘이네요
. ^^*

식물이 만들어 내는 아름다운 꽃도 있지만 꽃을 빗댄 것도 있습니다
.
여러 가지 빛을 띤 아름다운 구름을 '꽃구름'이라 하고
,
술독에 지른 용수 안에 괸 술의 웃국은 '꽃국'이라고 합니다
.
아마도 꽃에 처음이라는 뜻이 있나 봅니다
.
그래서 신랑 신부의 첫날밤의 잠을 '꽃잠'이라고 한다는 말씀을 드렸었죠
? ^^*

'
꽃다지'는 오이, 가지, 참외, 호박 따위에서 맨 처음에 열린 열매고
,
'
꽃물'은 곰국, 설렁탕 따위의 고기를 삶아 내고 아직 맹물을 타지 아니한 진한 국물입니다
.

어렸을 때
,
어머니가 띄운 메주로 간장을 만드는 것을 본 기억이 있습니다
.
소금물에 메주를 넣고 둥둥 뜬 그 메주 위에 숯과 소금을 올려놓으셨습니다
.
바로 그 소금이 '꽃소금'입니다
.

옛 생각이 아련하네요
. ^^*

고맙습니다
.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758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3222
1016 [2010/06/16] 우리말) 허점과 헛점 moneybook 2010-06-16 3116
1015 [2010/06/16] 우리말) 16강은 떼 논 당상 moneybook 2010-06-16 2767
1014 [2010/06/14] 우리말) 소개 moneybook 2010-06-14 2748
1013 [2010/06/11] 우리말) 해당화 moneybook 2010-06-11 2748
1012 [2010/06/10] 우리말) 책장사와 책장수 moneybook 2010-06-10 2620
1011 [2010/06/09] 우리말) 리터의 단위 moneybook 2010-06-09 2835
1010 [2010/06/08] 우리말) 새퉁이 moneybook 2010-06-08 3135
1009 [2010/06/07] 우리말) 엿먹다 moneybook 2010-06-07 2733
1008 [2010/06/04] 우리말) 알음장과 알림장 moneybook 2010-06-04 2936
1007 [2010/06/03] 우리말) 데구루루 moneybook 2010-06-03 2709
» [2010/05/31] 우리말) 사전 이야기 id: moneyplan 2010-05-31 3735
1005 [2010/05/28] 우리말) 쎄쎄쎄 id: moneyplan 2010-05-28 3606
1004 [2010/05/27] 우리말) 성을 먼저 쓰고 그 다음에 이름을... id: moneyplan 2010-05-27 2640
1003 [2010/05/26] 우리말) 로마자 이름을 왜 쓰는가? id: moneyplan 2010-05-26 2849
1002 [2010/05/25] 우리말) 나와바리 id: moneyplan 2010-05-25 2993
1001 [2010/05/24] 우리말) 서털구털 id: moneyplan 2010-05-24 2640
1000 [2010/05/20] 우리말) 로마자 이름 id: moneyplan 2010-05-20 2926
999 [2010/05/14] 우리말) 접수와 등록 id: moneyplan 2010-05-14 2818
998 [2010/05/13] 우리말) 삐끼 id: moneyplan 2010-05-13 2830
997 [2010/05/12] 우리말) 청서와 철설모/책갈피와 갈피표 id: moneyplan 2010-05-12 27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