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4/01] 우리말) 박차

조회 수 2626 추천 수 104 2010.04.01 08:28:30

창자를 끊는 게 더 아픈지, 끓이는 게 더 아픈지는 모르지만,
애끓다나 애끊다 둘 다 큰 아픔을 표현하는 말인 것은 확실합니다
.
둘 다 표준어입니다.

 

안녕하세요.

많은 분이 실종자를 구조하기 위해 힘쓰고 있지만
,
아직 생존자를 구조했다는 뉴스는 없네요
.
잠수요원들이 죽음과 싸우며 구조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날씨가 좋지 않아 구조에 어려움이 많나 봅니다
.

'
박차'

칠 박 자와 수레 차 자를 써서 拍車라고 씁니다.
말을 탈 때에 신는 구두의 뒤축에 달린 물건인데요
,
톱니바퀴 모양으로 쇠로 만들어 말의 배를 차서 빨리 달리게 하는 데 씁니다
.
잠수요원들이 구조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만큼 곧 좋은 소식이 있으리라 믿습니다
.

누가 뭐래도 가장 힘드신 분은 실종자 가족이실 겁니다
.
그 애끓고 애끊는 마음을 어찌 말로 다 나타내겠습니까
.

"
몹시 슬퍼서 창자가 끊어질 듯하다."는 표현은
,
'
애끊다'입니다
.
'
애끊는 사모의 정, 애끊는 통곡'처럼 쓰죠
.
창자를 끊으니 얼마나 아프겠어요
.

소리가 비슷한 낱말로
,
'
애끓다'가 있습니다
.
"
몹시 답답하거나 안타까워 속이 끓는 듯하다."는 뜻으로
,
'
애끓는 하소연, 애끓는 이별'처럼 쓰죠
.
이것은 창자를 끓이는 아픔입니다
.

창자를 끊는 게 더 아픈지, 끓이는 게 더 아픈지는 모르지만
,
애끓다나 애끊다 둘 다 큰 아픔을 표현하는 말인 것은 확실합니다
.
둘 다 표준어입니다
.

부디 하루빨리 실종자가 구조되기를 빕니다
.
아래에 붙인 예전에 보낸 편지는 ''를 골랐습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편지입니다.




[
]

제 옆에 오늘 면접을 보러 가는 친구가 있습니다
.
무척 불안하고 애간장이 타겠죠
.

오늘은 그 친구 합격을 빌면서 ‘애’ 이야기 좀 해 볼게요
.
‘애’는 창자를 뜻하는 우리말입니다
.

“몹시 슬퍼서 창자가 끊어질 듯하다.”는 표현은
,
‘애끊다’입니다
.
‘애끊는 사모의 정, 애끊는 통곡’처럼 쓰죠
.
창자를 끊으니 얼마나 아프겠어요
.

발음이 비슷한 낱말로
,
‘애끓다’가 있습니다
.
“몹시 답답하거나 안타까워 속이 끓는 듯하다.”는 뜻으로
,
‘애끓는 하소연, 애끓는 이별’처럼 쓰죠
.
이것은 창자를 끓이는 아픔입니다
.

창자를 끊는 게 더 아픈지, 끓이는 게 더 아픈지는 모르지만
,
둘 다 큰 아픔을 표현하는 말인 것은 확실하죠
.
둘 다 표준어입니다
.

이런 편지를 드리는 이유는
,
두 낱말 사이에 이런 차이가 있지만
,
둘 다 표준어이고 뜻도 비슷하니
,
‘애끓다’가 맞는지 ‘애끊다’가 맞는지 고민하지 마시고
,
맘 편하게 쓰시라는 뜻입니다
.

요즘 국어사전에는
,
‘애’를 “초조한 마음속”이라고 풀어놓은 것도 있습니다
.
애를 태우다, 아이가 들어오지 않아 애가 탄다처럼 쓰죠
.

면접을 앞두고
,
애간장을 끓이는 그 친구를 보니
,
제 애간장도 타들어갑니다
.
부디 합격하기를 비손합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791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3550
2416 [2012/04/18] 우리말) 벚꽃 이야기 머니북 2012-04-18 2654
2415 [2015/06/10] 우리말) 살품 머니북 2015-06-10 2654
2414 [2016/01/13] 우리말) 대갚음/되갚음 머니북 2016-01-14 2654
2413 [2009/08/06] 우리말) 중과 가운데 id: moneyplan 2009-08-06 2655
2412 [2015/12/22]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3 2655
2411 [2016/05/27] 우리말) 남자와 여자 머니북 2016-05-30 2655
2410 [2016/06/09] 우리말) 나라지다 머니북 2016-06-10 2655
2409 [2015/03/13] 우리말) 쑥되고 말았다 머니북 2015-03-13 2656
2408 [2016/02/18] 우리말) 핑크빛과 핑큿빛 머니북 2016-02-19 2656
2407 [2016/05/13] 우리말)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 머니북 2016-05-13 2657
2406 [2009/08/10]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9-08-14 2658
2405 [2009/06/24] 우리말) 짝꿍과 맞짱 id: moneyplan 2009-06-24 2659
2404 [2016/06/08] 우리말) 나달 머니북 2016-06-10 2659
2403 [2009/03/07] 우리말) 어머니 글(예전에 보낸 편지) id: moneyplan 2009-03-09 2661
2402 [2014/12/26] 우리말) 피로해소/원기회복 머니북 2014-12-29 2661
2401 [2016/07/26] 우리말) 어떻게/어떻해 머니북 2016-08-10 2662
2400 [2016/07/01] 우리말) 감격해하다 머니북 2016-07-06 2663
2399 [2015/06/08] 우리말) 사춤 머니북 2015-06-09 2664
2398 [2013/07/19] 우리말) 벌써와 벌써부터 머니북 2013-07-19 2665
2397 [2014/06/16] 우리말) 비비다 머니북 2014-06-16 26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