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12] 우리말) 오지와 두메산골

조회 수 2337 추천 수 93 2010.03.12 09:40:38

이 오지는 일본말입니다.
奧地(おうち/おくち)라 쓰고 [오우찌/오꾸찌]라고 읽습니다
.
우리말로는 두메산골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무슨 일을 했는지 기억은 없지만 시간은 잘 가네요
.
벌써 주말입니다
. ^^*

저는 오늘 강원도 춘천에 출장갑니다
.
오랜만에 코에 봄바람을 넣을 수 있겠네요
. ^^*

지금도 강원도 하면 산골을 떠올리시는 분이 많습니다
.
아직도 후미진 오지를 생각하시는 거죠
.

1.
예전에는 물가나 산길이 휘어서 굽어진 곳을 '후미'라고 했다고 합니다
.
후미진 바위 벼랑에서 산삼을 발견했다처럼 쓰죠
.
이 낱말의 뜻이 넓어져 지금은 "아주 구석지고 으슥하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

2.
깊은 산속을 흔히 '오지'라고 합니다
.
이 오지는 일본말입니다
.
奧地(おうち/おくち)라 쓰고 [오우찌/오꾸찌]라고 읽습니다
.
우리말로는 두메산골이 좋을 것 같습니다
.
방송에서도 '오지'라는 낱말을 많이 쓰는데
,
우리 국어사전에도 오르지 않는 순수(?) 일본말입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엉기다와 엉키다
]

안녕하세요
.

어제 큰불이 났군요
.
잠깐의 실수로 40명이 넘는 생명을 빼앗아 버렸습니다
.
요즘 왜 이러는지 모르겠습니다
.

한 달 전, 태안 앞바다에 배에서 기름이 흘러나온 적이 있습니다
.
그 기름이 지금은 제주도까지 흘러갔다고 하네요
.
기름 덩어리가 바다에 떠다니다가 그물이나 해초 따위에 달라붙어 덩어리가 되고
,
그게 바다에 가라앉거나 밀려서 해안으로 오고
...
언제까지 사람들이 자연을 멍들게 할건지... 걱정입니다
.

오늘은 사람들의 부주의를 나무라며 엉기다와 엉키다를 알아보겠습니다
.
엉기다와 엉키다는 소리는 비슷하지만 쓰임은 다릅니다
.
엉기다는

"
점성이 있는 액체나 가루 따위가 한 덩어리가 되면서 굳어지다."는 뜻입니다.
기름 덩어리가 물과 한데 뭉쳐져서 굳어진 거죠
.

엉키다는

'
엉클어지다'의 준말로
실이나 줄, 물건 따위가 한데 뒤섞여 어지러워지다는 뜻으로

엉클어진 실타래, 엉클어진 머리카락을 가다듬다처럼 씁니다.

사람의 실수로 바다에 기름이 새 나오고
,
그 기름이 물과 엉겨붙어
,
자연의 섭리가 엉키고 말았네요
.
어쩌다...
...

고맙습니다
.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47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186
956 [2010/03/15] 우리말) 세단기와 세절기 id: moneyplan 2010-03-15 3034
» [2010/03/12] 우리말) 오지와 두메산골 id: moneyplan 2010-03-12 2337
954 [2010/03/11] 우리말) 숨탄것 id: moneyplan 2010-03-11 2250
953 [2010/03/10] 우리말) 잔다리밟다 id: moneyplan 2010-03-10 3110
952 [2010/03/09] 우리말) 독장수셈 id: moneyplan 2010-03-09 2750
951 [2010/03/08] 우리말) sunglass는 선글라스 id: moneyplan 2010-03-08 2430
950 [2010/03/05] 우리말) 난이도가 높은 => 꽤 까다로운 id: moneyplan 2010-03-05 2396
949 [2010/03/04] 우리말) Yuna와 Yun-a id: moneyplan 2010-03-04 2375
948 [2010/03/03] 우리말) 학부모와 학부형 id: moneyplan 2010-03-03 2424
947 [2010/03/02] 우리말) 물끄러미와 풀리다 id: moneyplan 2010-03-02 2403
946 [2010/02/26] 우리말) 헝겁과 헝겊 id: moneyplan 2010-02-26 2801
945 [2010/02/25] 우리말) 허겁지겁과 헝겁지겁 id: moneyplan 2010-02-25 2407
944 [2010/02/24] 우리말) 육교 id: moneyplan 2010-02-24 2890
943 [2010/02/23] 우리말) 초주검 id: moneyplan 2010-02-23 2383
942 [2010/02/22] 우리말) 우와기와 한소데 id: moneyplan 2010-02-22 2613
941 [2010/02/19] 우리말) 커텐과 커튼 id: moneyplan 2010-02-19 2997
940 [2010/02/18] 우리말) 모도리 id: moneyplan 2010-02-18 2297
939 [2010/02/17] 우리말) '바' 띄어쓰기 id: moneyplan 2010-02-17 2942
938 [2010/02/16] 우리말) 절 하는 방법에 대한 댓글 id: moneyplan 2010-02-16 2232
937 [2010/02/12] 우리말) 설날에 예법에 맞는 세배 해보세요 id: moneyplan 2010-02-12 2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