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04] 우리말) Yuna와 Yun-a

조회 수 2375 추천 수 115 2010.03.04 09:48:59

김연아는 'Kim Yuna'라고 써야 바릅니다.
그러나 Yuna '유나'라고 읽을 수가 있으므로, 이런 때는 '발음상 혼동의 우려가 있을 때에는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쓸 수 있다.'는 규정에 따라

Yun-a
라고 쓰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지난 동계올림픽에서 김연아 선수가 경기하는 모습을 보셨나요
?
정말로 멋지더군요
. ^^*

올림픽 끝나고 겨우 하루 쉬고 또 다른 경기를 치르고자 나갔다고 하네요
.
이번에도 좋은 성적 거두시길 빕니다
.

지난 동계올림픽 때

김연아 선수의 움직임 뒤로 보이는 관중석에서 'KIM YU-NA'라고 쓴 펼침막이 가끔 보였습니다.
'
연아'를 왜  YU-NA라고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

로마자 표기법 제3장 제4항에

'
인명은 성과 이름의 순서로 띄어 쓴다. 이름은 붙여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쓰는 것을 허용한다.'는 규정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 김연아는 'Kim Yuna'라고 써야 바릅니다
.
그러나 Yuna '유나'라고 읽을 수가 있으므로, 이런 때는 '발음상 혼동의 우려가 있을 때에는 음절 사이에 붙임표(-)를 쓸 수 있다.'는 규정에 따라

Yun-a
라고 쓰시면 됩니다. 그러면 [연아]라고 제재로 읽을 수 있습니다.

여기서 하나 더 짚고 싶은 게

김연아를 'Kim Yuna'라고 쓰는 것은 영어 이름이 아니라는 겁니다.
우리말 이름 김연아를 '로마자' 'Kim Yun-a'라고 쓰는 것이지 이게 결코 영어 이름은 아닙니다
.
김연아 선수의 영어 이름이 있는지, 있다면 뭔지 저는 모르지만
,
영어 이름은 글로리아 라든가 마거릿 같은 게 영어 이름입니다
.
'Kim Yun-a'
는 김연아 선수의 영어 이름이 아니라 우리말 이름을 로마자로 적은 겁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아싸리 말해서 이거 똔똔입니다
]

주말에 뭐하셨어요
?
저는 가족과 함께 정조대왕 능행차를 구경했습니다
.
날씨가 좋아 밖에서 놀기에 참 좋고 어머니도 좋아하시더군요
.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는 으레 장사꾼들이 꾀죠? 역시나 행사장에 장사꾼이 많았는데요
.
그 장사꾼들 말을 들어보면
,
'
이거 남는 거 하나 없어요. 그냥 똔똔이에요
.'
'
앗싸리 말해서 이거 손해본 거라고요
.'
같은 말을 많이 합니다
.

여기서도 일본어 찌꺼기가 있네요
.
먼저 '똔똔'은 일본어 とんとん[똔똔]에서 온 말로
,
국립국어원에서 '본전치기'로 다듬었습니다
.

앗싸리도 일본말 찌꺼기입니다
.
일본어 사전에 보면 あっさり[앗사리]로 쓰고 그 뜻은 깨끗이, 간단히, 시원스레, 선선히라고 나와 있습니다
.
이거 두말할 것 없이 깨끗이나 산뜻이, 깔끔히, 시원스레, 선선히로 바꿔써야 하는 거 아닌가요
?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아싸리' '차라리'를 비속하게 이르는 말이라고 나와 있는데
,
이것은 틀린 겁니다.(오늘 아침(2010. 3. 4.)에 다시 보니 그 낱말이 없어졌네요
. ^^*))
, 바른한글이라는 한글 맞춤법 교정기에는

''
아싸리'는 경상도 사투리로 '차라리'의 뜻으로 쓰인 말입니다.'라고 나와 있는데 이것도 틀린 말입니다.
'
아싸리' '차라리'의 비속어도 아니고, 경상도 사투리도 아닙니다. 그저 일본말 찌꺼기일 뿐입니다
.

우리말 속에는 이렇게 일본말 찌꺼기가 여기저기 널브러져 있습니다
.
하나하나 찾아내 없애야 합니다
.


보태기
)
으레 : 두말할 것 없이 당연히('으례'가 아님
)
꾀다 : 사람이 한곳에 많이 모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47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187
956 [2010/03/15] 우리말) 세단기와 세절기 id: moneyplan 2010-03-15 3034
955 [2010/03/12] 우리말) 오지와 두메산골 id: moneyplan 2010-03-12 2338
954 [2010/03/11] 우리말) 숨탄것 id: moneyplan 2010-03-11 2250
953 [2010/03/10] 우리말) 잔다리밟다 id: moneyplan 2010-03-10 3110
952 [2010/03/09] 우리말) 독장수셈 id: moneyplan 2010-03-09 2750
951 [2010/03/08] 우리말) sunglass는 선글라스 id: moneyplan 2010-03-08 2433
950 [2010/03/05] 우리말) 난이도가 높은 => 꽤 까다로운 id: moneyplan 2010-03-05 2396
» [2010/03/04] 우리말) Yuna와 Yun-a id: moneyplan 2010-03-04 2375
948 [2010/03/03] 우리말) 학부모와 학부형 id: moneyplan 2010-03-03 2424
947 [2010/03/02] 우리말) 물끄러미와 풀리다 id: moneyplan 2010-03-02 2403
946 [2010/02/26] 우리말) 헝겁과 헝겊 id: moneyplan 2010-02-26 2801
945 [2010/02/25] 우리말) 허겁지겁과 헝겁지겁 id: moneyplan 2010-02-25 2407
944 [2010/02/24] 우리말) 육교 id: moneyplan 2010-02-24 2890
943 [2010/02/23] 우리말) 초주검 id: moneyplan 2010-02-23 2384
942 [2010/02/22] 우리말) 우와기와 한소데 id: moneyplan 2010-02-22 2614
941 [2010/02/19] 우리말) 커텐과 커튼 id: moneyplan 2010-02-19 2997
940 [2010/02/18] 우리말) 모도리 id: moneyplan 2010-02-18 2297
939 [2010/02/17] 우리말) '바' 띄어쓰기 id: moneyplan 2010-02-17 2942
938 [2010/02/16] 우리말) 절 하는 방법에 대한 댓글 id: moneyplan 2010-02-16 2232
937 [2010/02/12] 우리말) 설날에 예법에 맞는 세배 해보세요 id: moneyplan 2010-02-12 2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