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3/02] 우리말) 물끄러미와 풀리다

조회 수 2402 추천 수 93 2010.03.02 09:13:16

어린애들일수록 우리말을 잘 배워야 한다고 봅니다.
진달래꽃에 나오는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의 뜻을 음미할 줄 알고
,
노랗다와 누렇다, 누리끼리하다의 다른 말 맛을 느낄 줄 알아야 한다고 봅니다.

 

안녕하세요.

저도 드디어 학부모가 되었습니다
.
결혼하여 어렵사리 얻은 딸내미가 오늘 초등학교에 들어갔습니다
.
제 힘이 닿는 데까지 어린아이의 영혼에 맑고 깨끗한 우리 넋을 담아주고 싶습니다
.
영어도 중요하고 중국어도 중요하지만 그보다 훨씬 중요하고 소중한 게 우리말이라는 것을 알려주시고 싶습니다
.

며칠 전 개그프로그램에서 들으니 국사가 선택과목으로 되었다고 합니다
.
우리 역사를 바로 알지 못하고 어찌 앞으로 나아갈 수 있을지 걱정됩니다
.

다행히 저희 집 애들은 우리말 낱말을 많이 알고 잘 씁니다
.

지난 주말에 식구가 모두 좀 추운 밖에서 놀다가 가까운 식당에 들어갔습니다
.
제가 창밖으로 뭔가를 보고 있었더니
,
딸내미가 "아빠, 뭘 그렇게 물끄러미 쳐다보세요?"라고 하면서 '물끄러미'라는 낱말을 쓰더군요
.
조금 있으니 다섯 살배기 아들 녀석이

따뜻한 국물을 먹고 나서 "이걸 먹으니 몸이 좀 풀리네!"라면서 '풀리다'는 낱말을 적절하게 쓰더군요.
그때 아내가 '오랜만에 밖에서 놀았더니 노곤하다"고 말했고, 애들이 무슨 뜻이냐고 물어서 "나른하고 피로하여 기운이 없다"는 뜻이다고 설명해 줬습니다
.
애들은 노곤하다와 나른하다라는 새로운 낱말을 배웠을 겁니다
.

어린애들일수록 우리말을 잘 배워야 한다고 봅니다
.
진달래꽃에 나오는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의 뜻을 음미할 줄 알고
,
노랗다와 누렇다, 누리끼리하다의 다른 말 맛을 느낄 줄 알아야 한다고 봅니다
.
그저 yellow white yellow만 안다면 너무 재미 없잖아요
.

저는 제 자식들이 되도록 많은 낱말을 알고 적절하게 쓰길 바랍니다
.
자기 생각을 말과 글로 나타낼 때 되도록 많은 낱말을 써서 나타낼 수 있기를 빕니다
.
그래야 다양한 삶의 형태를 조금이나마 표현할 수 있잖아요
.

고맙습니다
.




보태기
)
진달래꽃이라는 시를 아실겁니다
.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영변에 약산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가시는 걸음 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입니다.

이 시를 지역 사투리로 바꾸면 아래와 같다고 합니다
.
(
따온 곳
:http://cafe.daum.net/gzmtc/Y7KY/336?docid=1G2R1|Y7KY|336|20100214204807&q= &srchid=CCB1G2R1|Y7KY|336|20100214204807)

 

경상도 버전


내 꼬라지가 비기 실타고
갈라카모
내사마 더러버서 암 말 안코
보내 주꾸마

영변에 약산
참꽃
항거석 따다 니 가는 길빠다게
뿌리 주꾸마
니 갈라카는 데 마다
나뚠 그 꼬츨
사부 자기 삐대발꼬 가뿌래이
내 꼬라지가 비기 시러
갈라 카몬
내사마 때리 직이 삔다 케도
안 울 끼다



충청도 버전

이제는 지가 역겨운 감유
가신다면유 어서 가세유
임자한테 드릴건 없구유

앞산의 벌건 진달래
뭉테기로 따다가  가시는 길에
깔아 드리지유
가시는 걸음 옮길 때마다
저는 잊으세유 미워하지는 마시구유
가슴 아프다가 말것지유 어쩌것시유

그렇게도 지가 보기가 사납던가유
섭섭혀도 어쩌것이유
지는 괜찮어유 울지 않겄시유
참말로 잘가유
지 가슴 무너지겼지만
어떡허것시유 잘 먹고
잘 살아바유



전라도 버전

나 싫다고야
다들 가부더랑께
워메~나가 속상하겨. 주딩 딱
다물고 있을랑께
거시기 약산에 참꽃
허벌라게 따다가 마리시롱
가는 질가상에 뿌려줄라니께

가불라고 흘때마다
꼼치는 그 꽃을 살살 발고
가시랑께요

나가  골빼기 시러서
간다 혼담서
주딩이 꽉 물고 밥 못 쳐묵을
때까지 안 올랑께




강원도 버전

나보기기 기 매해서
들구버질 저는
입두 쩍 않구 고대루
보내드릴 기래요

영변에 약산 빈달배기 참꽃
한 보뎅이 따더 내재는
질라루 훌훌 뿌레 줄기레요

내 걸리는 발자구발자구
내꼰진 참꽃을
지져밟고 정이 살페 가시우야

나 보는 기 재수바리웁서
내 툴저는
뒈짐 뒈졌지 찔찔
짜잖을 기래요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심술깨나 부리게 생겼다. 꽤나 고집이 세겠군
]

안개가 짙게 끼었는데, 출근 잘하셨나요
?
저는 어젯밤에 숙직 서고 이제 집에 들어갑니다
.

며칠 전에 제 아들이 다쳐서 병원에 갔습니다
.
이제 겨우 15개월 된 녀석인데 누굴 닮아서 그렇게 고집이 센지
...
험하게 놀다 다쳐 병원응급실에 실려가 머리 엑스레이나 찍고
...
앞으로 이 녀석과 승강이깨나 하게 생겼습니다
.
그래도 어떡해요. 저를 빼쐈는데
...

흔히
,
투정이나 심술깨나 부리게 생겼다, 꽤나 고집이 세겠군처럼
,
'
꽤나' '깨나'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
오늘은 이 두 개가 어떻게 다른지 갈라보겠습니다
.
별로 어렵지 않습니다
.

먼저, '깨나'

'
어느 정도 이상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입니다.
돈깨나 있다고 남을 깔보면 되겠니?, 얼굴을 보니 심술깨나 부리겠더구나처럼 씁니다
.

'
꽤나'

부사 '보통보다 조금 더한 정도로'를 뜻하는 ''의 힘줌말입니다.
이번 시험에 붙으려면 꽤나 고생해야 할 것 같다처럼 씁니다
.

그리고

'
깨나'는 보조사이므로 앞말과 붙여쓰고,
'
꽤나'는 부사이므로 앞말과 띄어 씁니다
.
어렵지 않죠
?

제가 지금 제 아들 때문에 걱정하고 있듯이
,
저희 부모님도 우리를 이렇게 키웠을 겁니다
.
세상에 나와 행세깨나 하도록 키워주신 부모님
,
보나 마나 꽤나 고생하셨고, 눈물깨나 흘리시면서 우리를 키우셨을 겁니다
.

아침에, 생각난 김에 부모님께 뜬금없이 전화 한 통 드리는 것은 어때요
?
부모님이 꽤나 기뻐하실 겁니다
. ^^*

우리말
123

보태기
)
1.
대부분의 사전에 '꽤나' ''의 힘줌말로 올라있지 않습니다
.
그러나 보기에는 '꽤나'가 많이 나옵니다
.

2. 2004
년 여름 MBC우리말나들이에 이 내용이 소개됐습니다
.
시대와창에서 나온 우리말나들이 책에도 이 내용이 있습니다.(116)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46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172
956 [2010/03/15] 우리말) 세단기와 세절기 id: moneyplan 2010-03-15 3033
955 [2010/03/12] 우리말) 오지와 두메산골 id: moneyplan 2010-03-12 2335
954 [2010/03/11] 우리말) 숨탄것 id: moneyplan 2010-03-11 2250
953 [2010/03/10] 우리말) 잔다리밟다 id: moneyplan 2010-03-10 3109
952 [2010/03/09] 우리말) 독장수셈 id: moneyplan 2010-03-09 2749
951 [2010/03/08] 우리말) sunglass는 선글라스 id: moneyplan 2010-03-08 2424
950 [2010/03/05] 우리말) 난이도가 높은 => 꽤 까다로운 id: moneyplan 2010-03-05 2393
949 [2010/03/04] 우리말) Yuna와 Yun-a id: moneyplan 2010-03-04 2374
948 [2010/03/03] 우리말) 학부모와 학부형 id: moneyplan 2010-03-03 2422
» [2010/03/02] 우리말) 물끄러미와 풀리다 id: moneyplan 2010-03-02 2402
946 [2010/02/26] 우리말) 헝겁과 헝겊 id: moneyplan 2010-02-26 2801
945 [2010/02/25] 우리말) 허겁지겁과 헝겁지겁 id: moneyplan 2010-02-25 2407
944 [2010/02/24] 우리말) 육교 id: moneyplan 2010-02-24 2889
943 [2010/02/23] 우리말) 초주검 id: moneyplan 2010-02-23 2382
942 [2010/02/22] 우리말) 우와기와 한소데 id: moneyplan 2010-02-22 2609
941 [2010/02/19] 우리말) 커텐과 커튼 id: moneyplan 2010-02-19 2997
940 [2010/02/18] 우리말) 모도리 id: moneyplan 2010-02-18 2296
939 [2010/02/17] 우리말) '바' 띄어쓰기 id: moneyplan 2010-02-17 2942
938 [2010/02/16] 우리말) 절 하는 방법에 대한 댓글 id: moneyplan 2010-02-16 2232
937 [2010/02/12] 우리말) 설날에 예법에 맞는 세배 해보세요 id: moneyplan 2010-02-12 2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