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2/25] 우리말) 허겁지겁과 헝겁지겁

조회 수 2406 추천 수 102 2010.02.25 09:41:34

허겁지겁과 비슷한 '헝겁지겁'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
너무 좋아서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허둥거리는 모양."을 뜻하는 어찌씨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점심때 텔레비전으로 김연아 선수를 보셨나요
?

저는 점심을 좀 늦게 먹는 바람에 허겁지겁 달려와서

일터에서 동료와 같이 텔레비전을 보고

헝겁지겁 오후 일을 했습니다.
(
억지로 만들다 보니 조금 어색하네요
. ^^*)

허겁지겁이라는 낱말은 다 아실 겁니다
.
"
조급한 마음으로 몹시 허둥거리는 모양."을 뜻하는 어찌씨(부사)입니다
.
허겁지겁 달려오다, 허겁지겁 도망치다, 허겁지겁 뛰어들다처럼 씁니다
.

허겁지겁과 비슷한 '헝겁지겁'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
"
너무 좋아서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허둥거리는 모양."을 뜻하는 어찌씨입니다
.
"
너무 좋아서 정신을 차리지 못하고 허둥거리는 짓." '헝겁'인데
,
이 헝겁의 어찌씨가 헝겁지겁입니다
.
그는 아내가 아들을 낳았다는 소식에 헝겁지겁 병원으로 달려갔다처럼 씁니다
.

어제 저는

밖에서 점심을 먹고

방송 시간에 늦지 않게 '허겁지겁' 일터로 돌아와서
텔레비전에서 김연아 선수 경기를 보고
기쁜 마음에 '헝겁지겁' 오후 일을 했습니다. ^^*

김연아 선수가 내일도 잘하길 빕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고육지책
]

어제 뉴스를 보니
,
이번 달 25일 있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의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선거관리위원회에서 고육지책으로 인센티브제를 내놨다고 하네요.
'
고육지책'을 내놓기에 앞서

정치인들이 하는 짓거리가 얼마나 보기 싫었으면 국민이 등을 돌릴까를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선거 때는 국민의 심부름꾼이니 종이니 하면서 떠벌리다가

막상 선거만 끝나면 국민을 발가락의 때만큼도 생각하지 않는 그런 국회의원들을 보고

어느 국민이 투표할 마음이 생길까요
?
몇몇 일 하시는 국회의원들 빼고
...

인센티브제를 받아들이면서

선관위에서 '고육지책'이라는 고사성어를 쓰지는 않았을 겁니다.
선관위에서 내 놓은 정책을 보고 언론에서 '고육지책'이라고 썼는데, 이것은 잘못된 겁니다
.

고육지책은 쓸 고(), 고기 육(), 갈 지(), 꾀 책() 자를 쓰는데 삼국지에 나옵니다
.
그 내용은

오나라가 조조의 대군을 격파하기 위해 불공격을 계획했는데 그 계획을 실천하기 위해 황개라는 장수가 머리를 쓰죠.
황계가 자기군 대장에게 대들어 죽도록 얻어터진 후
,
이를 비관해 조조에게 투항하는 것처럼 꾸며 조조에게 다가가게 됩니다
.
이른 본 조조는 황계가 정말로 자기군 대장에게 꾸중들은 것에 반발해 자기에게 오는 것으로 알고 대비를 소홀히 하다 결국 불공격을 당하게 됩니다
.
바로 여기서 나온 말이 고육지책입니다
.
(
더 자세히 보시려면 이곳으로 가 보세요. 네이버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701877)
, 장수 황계가 제 몸을() 괴롭혀서라도()(일부러 대들어 죽도록 얻어터져서라도) 어려운 상황을 해결하려는() 계책()이라는 뜻의 고사성어가 고육지책입니다
.
따라서, 고육지책은 힘들게 머리를 짜서 만들어낸 방법이 아니라
,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기 자신을 먼저 희생하는 경우에 쓸 수 있는 말입니다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도

고육지책/고육지계를 '적을 속이기 위하여 자신의 괴로움을 무릅쓰고 꾸미는 계책'이라 풀어놨습니다.

이번에 선관위에서

선관위 직원이나 조직을 희생해 가면서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인센티브제를 만든 것은 아닙니다.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선관위 사람들이 머리를 싸매고 고민해서 만들어낸 한 가지 방법일 뿐입니다
.
그것은 고육지책이 아닙니다
.

'
궁한 나머지 생각다 못하여 짜낸 계책.'이므로 궁여지책(窮餘之策)이 맞습니다
.

언론에서 어떤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고사성어를 쓰는 것은 좋으나 상황에 맞게 써야합니다
.
이번 선관위에서 하는 일을 보고 '고육지책'이라고 쓰면
,
대부분의 사람은
,
'
, 고육지책이란 깊은 고민을 해서 내 놓은 방법을 말 하는가보다'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
그건 아닙니다
.
이런 상황에서 '고육지책'이라고 쓴 것은
,
사회의 여론을 만들어 간다는 언론이 큰 잘못을 하고 있는 겁니다
.
고육지책이라는 고사성어를 쓰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의 희생이 있어야 합니다
.

틀린 기사 한 줄이 수천 수만 명의 눈을 멀게 할 수 있고
,
잘못 뽑은 국회의원 하나가 나라를 망칠 수도 있습니다
.
꼼꼼히 따져보시고 선거 잘하시길 빕니다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461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168
956 [2010/03/15] 우리말) 세단기와 세절기 id: moneyplan 2010-03-15 3033
955 [2010/03/12] 우리말) 오지와 두메산골 id: moneyplan 2010-03-12 2335
954 [2010/03/11] 우리말) 숨탄것 id: moneyplan 2010-03-11 2250
953 [2010/03/10] 우리말) 잔다리밟다 id: moneyplan 2010-03-10 3109
952 [2010/03/09] 우리말) 독장수셈 id: moneyplan 2010-03-09 2749
951 [2010/03/08] 우리말) sunglass는 선글라스 id: moneyplan 2010-03-08 2423
950 [2010/03/05] 우리말) 난이도가 높은 => 꽤 까다로운 id: moneyplan 2010-03-05 2393
949 [2010/03/04] 우리말) Yuna와 Yun-a id: moneyplan 2010-03-04 2374
948 [2010/03/03] 우리말) 학부모와 학부형 id: moneyplan 2010-03-03 2422
947 [2010/03/02] 우리말) 물끄러미와 풀리다 id: moneyplan 2010-03-02 2402
946 [2010/02/26] 우리말) 헝겁과 헝겊 id: moneyplan 2010-02-26 2801
» [2010/02/25] 우리말) 허겁지겁과 헝겁지겁 id: moneyplan 2010-02-25 2406
944 [2010/02/24] 우리말) 육교 id: moneyplan 2010-02-24 2889
943 [2010/02/23] 우리말) 초주검 id: moneyplan 2010-02-23 2382
942 [2010/02/22] 우리말) 우와기와 한소데 id: moneyplan 2010-02-22 2609
941 [2010/02/19] 우리말) 커텐과 커튼 id: moneyplan 2010-02-19 2997
940 [2010/02/18] 우리말) 모도리 id: moneyplan 2010-02-18 2296
939 [2010/02/17] 우리말) '바' 띄어쓰기 id: moneyplan 2010-02-17 2942
938 [2010/02/16] 우리말) 절 하는 방법에 대한 댓글 id: moneyplan 2010-02-16 2232
937 [2010/02/12] 우리말) 설날에 예법에 맞는 세배 해보세요 id: moneyplan 2010-02-12 2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