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2/03] 우리말) 데 띄어쓰기

조회 수 2594 추천 수 113 2010.02.03 12:00:21

''는 어미로 쓰일 때가 있고 의존명사로 쓰일 때가 있습니다.
당연히 어미이면 붙여 쓰고 의존명사이면 띄어 씁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치 고도원의 아침편지에 보니

밥을 먹을 때
'
무엇을 먹느냐'보다 '누구와 먹느냐'가 중요하다고 하네요
.
'
편안한 마음'이라는 토양이 있어야 영양분도 효과적으로 섭취할 수 있다는 뜻이랍니다
.
그러면서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지만 그 마음의 상처를 낫게 하는 것도 역시 사람밖에 없다고 하네요.

맞습니다
.
사람이 가장 소중하다고 봅니다
.

오늘은 우리말편지를 준비하지 못했습니다
.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합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데’ 띄어쓰기
]

오늘은 오랜만에 띄어쓰기를 좀 살펴볼게요
.
오늘은 '' 띄어쓰기 입니다
.
글을 쓰면서 ''를 쓸 때 띄어 써야 할지 붙여 써야 할지 헷갈리시죠
?

띄어쓰기 설명드리면서 항상 하는 말씀이지만
,
우리말은 단어별로 띄어 씁니다. 따라서 사전에 올라있는 한 단어라면 띄어 쓰고 그렇지 않으면 붙여 씁니다
.
아홉 가지 품사도 단어로 보고 띄어 쓰는데 조사만 붙여 씁니다
.
이것이 띄어쓰기의 원칙입니다
.
그래서 '우리나라'는 사전에 올라있으므로 붙여 쓰고
,
'
우리집'은 사전에 올라있지 않으므로 '우리 집'처럼 띄어 써야 합니다
.

이제 ''를 알아보죠
.
'
'는 어미로 쓰일 때가 있고 의존명사로 쓰일 때가 있습니다
.
당연히 어미이면 붙여 쓰고 의존명사이면 띄어 씁니다
.
'
집에 가는데 눈이 왔다.'에서 '-ㄴ데'는 어미이고
,
'
그 책을 다 읽는 데 삼 일이 걸렸다.'에서 ''는 의존명사입니다
.
그래서 '가는데'는 붙여 쓰고 '읽는 데'는 띄어 쓴 겁니다
.

그래도 좀 헷갈리시죠
?
아주 쉬운 방법이 있습니다
.
'
' ''이나 '장소', ''이나 '', '경우'의 뜻을 나타내면

그때의 ''는 의존명사이므로 띄어 쓰고
,

'-
ㄴ데, -는데, -은데, -던데' 꼴로 쓰여

'
상황을 미리 말하거나 과거를 회상'하는 뜻일 때는 어미이므로 붙여 쓰시면 됩니다.

응용을 하나 해 볼까요
?
'
올데갈데없는사람'을 어떻게 띄어 쓸까요
?

올 곳(장소) 갈 곳의 뜻이므로
,
'
올 데 갈 데 없는 사람'이라고 쓰셔야 맞춤법에 맞습니다
.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46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178
1756 [2010/01/19] 우리말) 거덜나다 id: moneyplan 2010-01-19 2463
1755 [2010/01/20] 우리말) 싸다와 쌓다 id: moneyplan 2010-01-20 2780
1754 [2010/01/21] 우리말) 미닫이와 빼닫이 id: moneyplan 2010-01-21 2350
1753 [2010/01/2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10-01-22 4510
1752 [2010/01/25] 우리말) 문제 답은... id: moneyplan 2010-01-25 2665
1751 [2010/01/26] 우리말) 세 자와 석 자 id: moneyplan 2010-01-26 2800
1750 [2010/01/27] 우리말) 속병 홧병 위장병 id: moneyplan 2010-01-27 2501
1749 [2010/01/28] 우리말) 빈손으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일 id: moneyplan 2010-01-28 2494
1748 [2010/01/29] 우리말) 여ㄷ아홉 id: moneyplan 2010-01-29 2602
1747 [2010/02/01] 우리말) 다둥이 id: moneyplan 2010-02-01 2674
1746 [2010/02/02] 우리말) 쌍동이와 쌍둥이 id: moneyplan 2010-02-02 2414
» [2010/02/03] 우리말) 데 띄어쓰기 id: moneyplan 2010-02-03 2594
1744 [2010/02/04] 우리말) 눈이 내렸네요 id: moneyplan 2010-02-04 2558
1743 [2010/02/05] 우리말) 불뚝성 id: moneyplan 2010-02-05 2688
1742 [2010/02/08] 우리말) 야식이 아니라 밤참 id: moneyplan 2010-02-08 3178
1741 [2010/02/09] 우리말) 방송국이 아니라 방송사 id: moneyplan 2010-02-09 2648
1740 [2010/02/10] 우리말) 먼지떨음 id: moneyplan 2010-02-10 2371
1739 [2010/02/11] 우리말) 고랑과 두둑 id: moneyplan 2010-02-11 2534
1738 [2010/02/12] 우리말) 설날에 예법에 맞는 세배 해보세요 id: moneyplan 2010-02-12 2207
1737 [2010/02/16] 우리말) 절 하는 방법에 대한 댓글 id: moneyplan 2010-02-16 2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