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2/02] 우리말) 쌍동이와 쌍둥이

조회 수 2411 추천 수 107 2010.02.02 11:41:09

그러므로 어원을 의식해서 '쌍동(雙童), 귀동(貴童), 막동(-), 선동(先童)'처럼 쓰는 것은 틀립니다.
모두 '쌍둥이, 귀둥이, 막둥이, 선둥이'로 적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무척 춥네요. 며칠 더 추울 거라고 합니다. 건강 잘 챙기시길 빕니다
.

어제 오후에 MBC라디오 싱글벌글쇼에서 우리나라 지도를 빗대어 "토끼꼬리"라고 했습니다
.
다행히 20분쯤 있다가 '호랑이 꼬리'로 바로잡았습니다
.
고맙습니다
.


어제 편지에서 글씨가 안 보이는 게 있었습니다
.
'
느ㅈ'(느 아래 ㅈ 받침)인데요. 편지 보낼 때는 보였는데, 막상 편지를 받아서 열어보니 안 보이네요
.
며칠 전에 보낸 여ㄷ(여 아래 ㄷ 받침)아홉도 그런 글자입니다
.
왜 안보이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요즘 완성형 한글을 쓰는 것도아닐텐데
...

어제 편지를 보시고
,
세쌍둥이가 아니라 세둥이라고 말씀하신 분이 계셨습니다
.
쌍둥이가 2명을 뜻하므로 세쌍둥이라고 하면 6명이 된다는 말씀이셨습니다
.
표준국어대사전에 '세쌍둥이'가 올라 있고 뜻은 "삼생아"로 풀어져 있습니다
.
세둥이는 멋진 말이긴 한데 아직 사전에 오르지 못했습니다
.

쌍둥이가 쌍동(雙童)이에서 온 말이 아닌가요
?
다둥이는 다동(多童)이에서
???
라는 댓글을 다신 분도 계셨습니다
.

'-
둥이'는 뿌리로 보면 '' '-'가 붙은 '-동이'가 맞습니다
.
그러나 지금은 그 어원에서 멀어져 '-동이'가 하나의 접미사로 굳어져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
그래서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둥이'를 표준어로 삼았습니다
.
그러므로 어원을 의식해서 '쌍동(雙童), 귀동(貴童), 막동(-), 선동(先童)'처럼 쓰는 것은 틀립니다
.
모두 '쌍둥이, 귀둥이, 막둥이, 선둥이'로 적어야 합니다
.

다둥이도 그런 뜻일 겁니다. 다동이가 다둥이로 된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빼빼로데이? 농업인의 날
!]

오늘은 토요일이라서 편지를 보내지 않으려다

하도 열통이 터져서 한 장 씁니다.
우리말 이야기는 아닙니다
.

오늘이 '빼빼로 데이'입니다
.
빼빼로 데이는 1994년 부산에 사는 한 여중생이 1 숫자가 네 번 겹치는 11 11일에

친구끼리 우정을 전하며 '키 크고 날씬하게 예뻐지자!' 라는 뜻으로 빼빼로를 주고받던 것이 연유가 되어

10-20
대 젊은 층을 중심으로 빠르게 퍼지고 있는 우리나라만의 신종기념일입니다
.
덕분에 제과회사만 살판났습니다
.
제과업체의 적극적인 홍보작전과 맞아떨어져 빼빼로는 매년 11월이면 다른 달보다 70% 나 더 나간다고 합니다
.
왜 우리가 그런 상술에 놀아나야 하죠
?

한편
,
토종 컴퓨터 보안업체인 안철수연구소는 달과 날을 표시하는 숫자가 모두 1 11 11일을

'
가래떡 날'로 정하여 모든 직원들이 가래떡을 나눠 먹으며 화합을 다지는 행사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우리 쌀로 만든 따끈따끈한 가래떡과 조청이

초콜릿 과자를 나눠 먹는 것보다 한국적일 것 같아 이 행사를 기획했다고 하는데 얼마나 좋아요
.

왜 좋은 우리 것을 버리고 남의 것을 가져오는지
...
그런 것으로 죄 없는 연인과 젊은이들의 등골을 빼먹을 생각만 하는지
...
이제는 곰곰이 생각해 볼 때입니다. 아니 벌써 그럴 때가 넘었습니다
.
따뜻한 밥 먹고 살면서 왜 우리는 그런 썩어빠진 정신을 못 버리죠
?

뉴스에서 들으니

며칠 전 11 8일은 '브라 데이'라더군요.
아니, 기자양반님들
,
요즘 기삿거리가 그렇게도 없나요
?
11 8일을 '브라 데이'라고 뉴스에서까지 보도를 해야 했었나요
?
그게 살아있는 양심이라는 언론에서 할 일입니까
?
차라리 보도하지 않았으면 모르고 넘어가는 사람이 더 많았을 겁니다
.
아무리 자극적인 것을 좋아하는 언론이라지만 가릴 것은 가리고 지킬 것은 지켜야 합니다
.

글을 쓰다 보니 머리꼭지까지 뜨거워지네요
.
더 쓰면 실수할 것 같아서 여기서 멈추겠습니다
.

오늘은 '농업인의 날'입니다
.
우리가 먹는 모든 것은 농업에서 나온 것입니다
.
이렇게 고생하는 농업인을 생각하는 날이 농업인의 날입니다
.
오늘은 '빼빼로 데이'가 아니라 '농업인의 날'입니다
.

보태기
>
'
농업인 날'보다는 '농업인 날'이라고 하는 것이 우리말에 더 어울립니다
.
그러나 여기서는 많은 단체에서 계속해서 쓰고 있는 말을 존중해서 '농업인의 날'로 썼습니다
.
'
한글날'이지 '한글의 날'이 아니잖아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45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162
1756 [2010/01/19] 우리말) 거덜나다 id: moneyplan 2010-01-19 2462
1755 [2010/01/20] 우리말) 싸다와 쌓다 id: moneyplan 2010-01-20 2777
1754 [2010/01/21] 우리말) 미닫이와 빼닫이 id: moneyplan 2010-01-21 2350
1753 [2010/01/2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10-01-22 4509
1752 [2010/01/25] 우리말) 문제 답은... id: moneyplan 2010-01-25 2665
1751 [2010/01/26] 우리말) 세 자와 석 자 id: moneyplan 2010-01-26 2799
1750 [2010/01/27] 우리말) 속병 홧병 위장병 id: moneyplan 2010-01-27 2500
1749 [2010/01/28] 우리말) 빈손으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일 id: moneyplan 2010-01-28 2494
1748 [2010/01/29] 우리말) 여ㄷ아홉 id: moneyplan 2010-01-29 2602
1747 [2010/02/01] 우리말) 다둥이 id: moneyplan 2010-02-01 2674
» [2010/02/02] 우리말) 쌍동이와 쌍둥이 id: moneyplan 2010-02-02 2411
1745 [2010/02/03] 우리말) 데 띄어쓰기 id: moneyplan 2010-02-03 2594
1744 [2010/02/04] 우리말) 눈이 내렸네요 id: moneyplan 2010-02-04 2557
1743 [2010/02/05] 우리말) 불뚝성 id: moneyplan 2010-02-05 2688
1742 [2010/02/08] 우리말) 야식이 아니라 밤참 id: moneyplan 2010-02-08 3177
1741 [2010/02/09] 우리말) 방송국이 아니라 방송사 id: moneyplan 2010-02-09 2647
1740 [2010/02/10] 우리말) 먼지떨음 id: moneyplan 2010-02-10 2367
1739 [2010/02/11] 우리말) 고랑과 두둑 id: moneyplan 2010-02-11 2534
1738 [2010/02/12] 우리말) 설날에 예법에 맞는 세배 해보세요 id: moneyplan 2010-02-12 2206
1737 [2010/02/16] 우리말) 절 하는 방법에 대한 댓글 id: moneyplan 2010-02-16 2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