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01/13] 우리말) 뒷담화

조회 수 3083 추천 수 82 2010.01.13 08:12:06

'시말서'는 잘못을 저지른 사람이 사건의 경위를 자세히 적은 문서지만
국립국어원에서 '경위서'로 다듬었습니다.
아마도 일본어 투 말이라서 그렇게 다듬은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무척 춥네요
.
거기다 남부지방에는 눈이 많이 내린다고 합니다
.
큰 피해가 없기를 빕니다
.

어제는 오랜만에 KBS2에서 하는 '상상더하기'를 봤습니다
.
예전과 많이 달라졌더군요
.
어제는 아나운서 여섯 명이 나와서 입담을 자랑하는 자리였습니다
.

1.
어떤 분이 '뒷담화'라고 했고 자막도 그렇게 나왔습니다
.
당구에서 처음 치려고 했던 대로 맞지 않고 빗나갔던 공(다마)이 한 바퀴 더 돌아 맞는 것을 '뒷다마'라고 합니다
.
다마는 머리라는 뜻의 일본어 あたま[아타마]에서 왔거나, 구슬이라는 뜻의 たま[타마]에서 왔을 겁니다
.
'뒷다마'를 좀 돌려 남의 흉을 보는 것을 두고 '뒷담화'라고 합니다
.
뿌리가 이럴진대 결코 좋은 말이라고 할 수 없습니다
.
굳이 만들자면 '뒷이야기'정도 될지 모르겠습니다
.

2.
출연자가 '시말서'를 잘 쓴다고 했고, 자막도 그렇게 나왔으며, 같이 나누는 이야기도 시말서였습니다
.
'
시말서'는 잘못을 저지른 사람이 사건의 경위를 자세히 적은 문서지만

국립국어원에서 '경위서'로 다듬었습니다.
아마도 일본어 투 말이라서 그렇게 다듬은 것 같습니다
.

3.
시말서 이야기하면서 '양식' 이야기를 했습니다. 시말서를 쓰는 양식이 컴퓨터에 아예 들어있다고
...
일정한 모양이나 형식을 뜻하는 이 '양식'도 국립국어원에서 '서식'으로 다듬었습니다
.
이 또한 한자말이기는 하지만 아마도 일본어 투 말이라서 그렇게 다듬은 것 같습니다
.

10분 정도 텔레비전을 보면서 이런 말이 많이 나오기에 그냥 끄고 잤습니다
. ^^*

요즘 세종시 문제로 말이 많습니다
.
'
앙꼬없는 찐빵'이라는 말은 어떤 분이 하는 것을 텔레비전에서 들었습니다
.
앙꼬는 あんこ[앙고]라는 일본말에서 왔습니다
.
떡이나 빵의 안에 든 팥을 뜻하므로 '팥소'라고 하시면 됩니다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도 그렇게 나와 있습니다
.

이 이야기는 정치 이야기가 아닙니다. '앙꼬'를 팥소로 쓰는 게 좋겠다는 이야기일 뿐입니다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
세모가 아니라 세밑
!]

이제 한 열흘 남았죠? 올해가 가려면
...

'
한 해가 끝날 무렵'을 흔히 '세모'라고 합니다
.
그러나 자주 쓰는 이 '세모'는 일본말 찌꺼기입니다
.
일본에서 歲暮라고 쓰고 せいぼ[세이보]라고 읽습니다
.
국립국어원에서도 '세모' '세밑'으로 다듬었습니다
.

표준국어대사전에 세모는 일본어 찌꺼기니 쓰지 말고 '세밑'을 쓰라고 나와 있습니다
.

저 같은 보통사람은 세밑이 뭐고 세모가 뭔지 잘 모릅니다
.
저는 세밑을 세모라고 써도 저 혼자 욕 들으면 그만입니다
.
그러나 언론은 다릅니다
.
언론에서는 절대로 세모를 쓰면 안 됩니다
.
잘 아시는 것처럼 국민은 신문에 기사로 나오거나 텔레비전에서 나온 말은 다 옳은 것으로 압니다
.
그래서 언론에서 세모를 쓰면 안 됩니다
.
언론이 나서서 일본말 찌꺼기를 없애줘야 하는데
,
오히려 일본말찌꺼기를 퍼트리면 안 되죠
.

그러나 안타깝게도 현실은 그렇지 않네요
.
다음(daum)에서 뉴스에 나오는 '세모'를 뽑아보니 아래처럼 나오네요
.
이게 바로 우리나라에서 내로라하는 신문이 하는 짓입니다
.

오마이뉴스
2006.11.16 09:58
그럼 내년 세모 정국의 주도권을 쥐면서
...
http://news.media.daum.net/society/affair/200611/16/ohmynews/v14735456.html

쿠키뉴스  2006.11.22 07:00
또 세모에 구세군과 함께
...
http://news.media.daum.net/society/affair/200611/22/kukinews/v14799818.html

서울신문  2006.11.29 20:21
내일이면 12월이고 세모도 다가온다
.
http://news.media.daum.net/editorial/opinion/200611/29/seoul/v14887990.html

노컷뉴스  2006.12.02 13:44
아름다운 기부, 훈훈한 세모 풍경

http://news.media.daum.net/society/affair/200612/02/nocut/v14919540.html

한국일보  2006.12.04 16:07
...
되어 지길 이 세모를 맞이하여 소망해봅니다
.
http://news.media.daum.net/society/affair/200612/04/hankooki/v14935438.html

동아일보  2006.12.09 03:20
세모를 맞이하여 우리 사회에서 사과의 문화가
...
http://news.media.daum.net/editorial/column/200612/09/donga/v14993534.html

매일경제   2006.12.10 20:07
세모 조찬 자리에서 정책 실패에
...
http://news.media.daum.net/editorial/editorial/200612/10/mk/v15003092.html

경향신문   2006.12.11 18:04
...
세모에 걸맞은 산문집을 냈다
.
http://news.media.daum.net/culture/art/200612/11/khan/v15014353.html

한국일보  2006.12.11 18:49
세모의 한낱 감상이나 위선일지라도
...
http://news.media.daum.net/editorial/column/200612/11/hankooki/v15014969.html

경향신문  2006.12.13 19:02
...
체험을 통해 세모 시민들의 삶을 짚어본다
.
http://news.media.daum.net/society/others/200612/13/khan/v15043572.html

일간스포츠  2006.12.17 18:18
저무는 세모에 유저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
http://news.media.daum.net/society/affair/200612/17/hankookis/v15094195.html

중앙일보  2006.12.18 20:37
'2006
년 겨울' 그 세모의 우울

http://news.media.daum.net/editorial/column/200612/18/joins/v15099624.html

스포츠서울  2006.12.19 11:41
수은주가 뚝 떨어진 세모를 훈훈하게 데웠다
.
http://news.media.daum.net/sports/soccer/200612/19/SpoSeoul/v15105922.html

언론은 낱말 하나하나, 말 한마디 한마디를 조심해야 합니다.
덜떨어진 말 한 마디, 잘못 찍힌 낱말 하나가 얼마나 많은 사람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지는 언론이 더 잘 아시잖아요
.


오늘이나 내일쯤 기자님들에게 부탁드릴 게 있는데
,
그런 일을 앞두고 언론을 이렇게 씹으면 안 되는데
......
이러다 밉보이면 안 되는데...
......

보태기
)
오마이뉴스
2006.11.16 09:58
그럼 내년 세모 정국의 주도권을 쥐면서
...
http://news.media.daum.net/society/affair/200611/16/ohmynews/v14735456.html
'세모'를 쓴 것도 잘못이지만,
세모를 연말연시쯤으로 썼네요
.
일본어 찌꺼기인지도 모를뿐더러 그 뜻도 제대로 모르고 있네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46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178
936 [2010/02/09] 우리말) 방송국이 아니라 방송사 id: moneyplan 2010-02-09 2648
935 [2010/02/08] 우리말) 야식이 아니라 밤참 id: moneyplan 2010-02-08 3178
934 [2010/02/05] 우리말) 불뚝성 id: moneyplan 2010-02-05 2688
933 [2010/02/04] 우리말) 눈이 내렸네요 id: moneyplan 2010-02-04 2558
932 [2010/02/03] 우리말) 데 띄어쓰기 id: moneyplan 2010-02-03 2595
931 [2010/02/02] 우리말) 쌍동이와 쌍둥이 id: moneyplan 2010-02-02 2414
930 [2010/02/01] 우리말) 다둥이 id: moneyplan 2010-02-01 2674
929 [2010/01/29] 우리말) 여ㄷ아홉 id: moneyplan 2010-01-29 2604
928 [2010/01/28] 우리말) 빈손으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일 id: moneyplan 2010-01-28 2494
927 [2010/01/27] 우리말) 속병 홧병 위장병 id: moneyplan 2010-01-27 2501
926 [2010/01/26] 우리말) 세 자와 석 자 id: moneyplan 2010-01-26 2800
925 [2010/01/25] 우리말) 문제 답은... id: moneyplan 2010-01-25 2665
924 [2010/01/2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10-01-22 4510
923 [2010/01/21] 우리말) 미닫이와 빼닫이 id: moneyplan 2010-01-21 2350
922 [2010/01/20] 우리말) 싸다와 쌓다 id: moneyplan 2010-01-20 2780
921 [2010/01/19] 우리말) 거덜나다 id: moneyplan 2010-01-19 2463
920 [2010/01/18] 우리말) 우리는 내일이 없는 민족? id: moneyplan 2010-01-18 2415
919 [2010/01/15] 우리말) 구형과 선고 id: moneyplan 2010-01-15 2470
918 [2010/01/14] 우리말) 막걸리 id: moneyplan 2010-01-14 2382
» [2010/01/13] 우리말) 뒷담화 id: moneyplan 2010-01-13 30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