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2/22] 우리말) 나달과 세월

조회 수 2236 추천 수 113 2009.12.22 08:55:34
'나달에 할 수 있는 일을 이레나 걸려서 했다'에서는
"나흘이나 닷새가량"이라는 뜻이지만,
'흐르는 나달을 어찌 잡을꼬...'에서는 세월, 곧, 흘러가는 시간이라는 뜻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제 한 해가 가는 게 보이네요.
고작 열흘만 있으면 2009년이 지나갑니다.

'나달'이라는 우리말이 있습니다.

'나달에 할 수 있는 일을 이레나 걸려서 했다'에서는
"나흘이나 닷새가량"이라는 뜻이지만,
'흐르는 나달을 어찌 잡을꼬...'에서는 세월, 곧, 흘러가는 시간이라는 뜻입니다.

제 나이가 많은 것은 아니지만,
벌써 나달가는 게 두렵습니다.
해 놓은 것은 없고, 시간은 흐르고...
그러니 나달가는 게 두렵지 않으면 오히려 이상하겠죠. ^^*

흐르는 나달을 한갓지게 즐기는 삶이 되어야 할 텐데,
저는 왜 가는 시간이 이리 아쉬울까요. ^^*


고맙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편지입니다.







[어제 점심때 [달글] 먹었습니다 ]

어제는 점심때 삼계탕을 먹었습니다.
조류독감으로 고생하는 농업인을 돕자는 뜻으로 식당에서 준비했더군요.
축산농가가 빨리 안정을 찾아야 할 텐데 걱정입니다.

제가 어제 점심때 [닥을]먹었을까요, [달글]먹었을까요?
발음을 어떻게 해야 하죠?

맞춤법 규정에
겹받침 뒤에 모음이 오면 뒤에 나오는 자음이 뒤로 간다는 원칙이 있습니다.
겹받침 'ㄺ'의 발음은 체언의 경우 '닭이[달기], 닭을[달글]'따위와 같이
모음 앞에서 본음대로 'ㄺ'을 모두 발음하지만
'닭도[닥또], 닭과[닥꽈]'따위와 같은 자음 앞에서는 'ㄹ'을 탈락시키면서 'ㄱ'만을 발음합니다.
다만, 용언의 경우에는 환경에 따라 'ㄺ' 중에서 발음되는 자음을 달리합니다.
이에 따라 '닭' 다음에 '을'이 오니까 [달글]이 됩니다.

제가 어제 점심때 [달글]먹고 지금 편지를 쓰는 걸 보니 닭을 드셔도 안전합니다.
오늘은 [닥또] 먹고 저녁에는 [닥꽈]함께 오리도 먹어야겠습니다. ^^*

다행히 오늘부터는 날씨가 좀 풀릴 거라고 하네요.
오늘 하루도 좋은 생각 많이 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270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8993
96 [2017/05/16] 우리말) 농식품부에서 만든 책 머니북 2017-05-16 2810
95 [2017/05/17] 우리말) 색깔과 관련된 우리말 머니북 2017-05-18 7803
94 [2017/05/18] 우리말) 해찰하다/헤찰하다 머니북 2017-05-18 5483
93 [2017/05/19] 우리말) 업 머니북 2017-05-19 2746
92 [2017/05/23] 우리말) 육교 머니북 2017-05-24 3124
91 [2017/05/25] 우리말) 우와기와 한소데 머니북 2017-05-26 3290
90 [2017/05/26] 우리말) ㅍ 받침을 쓰는 말들 머니북 2017-05-29 4408
89 [2017/05/29] 우리말) 잘못 쓴 한국어 바로잡기 머니북 2017-05-31 3169
88 [2017/05/30] 우리말) 무고하다 머니북 2017-05-31 2803
87 [2017/05/31] 우리말) 멀찌가니/멀찌거니 머니북 2017-05-31 3266
86 [2017/06/01] 우리말) 예초와 풀베기 openmind 2017-06-03 3130
85 [2017/06/02] 우리말) 갑질 openmind 2017-06-03 3344
84 [2017/06/05] 우리말) 답 그리고 정답 머니북 2017-06-05 3224
83 [2017/06/07] 우리말) 가뭄 해갈 머니북 2017-06-08 2694
82 [2017/06/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7-06-08 4787
81 [2017/06/0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머니북 2017-06-13 4300
80 [2017/06/12] 우리말) 빈손으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일 머니북 2017-06-13 2708
79 [2017/06/13] 우리말) 괘념 머니북 2017-06-13 2616
78 [2017/06/14] 우리말) 우둥우둥 머니북 2017-06-14 2457
77 [2017/06/16] 우리말) 기억과 생각의 차이 머니북 2017-06-19 52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