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1/05] 우리말) 터줏대감

조회 수 3107 추천 수 101 2009.11.05 11:26:47
우리가 잘 아는 '살다'의 명사형이 '삼'이 아니라 '삶'이잖아요.
이처럼 '만들다'의 명사형은 '만듦'이고 '줄다'의 명사형은 '줆'이고, '갈다'의 명사형은 '갊'입니다.
마찬가지 '얼다'의 명사형은 '엄'이 아니라 '얾'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좀 덜 춥네요.
이럴 때 가을 분위기를 맘껏 느끼고 싶습니다. ^^*

오늘도 예전에 보낸 편지로 오늘치 우리말편지를 갈음합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 입니다.






[터줏대감]

오늘은 귀신 이야기로 시작할게요.
그리 무서운 이야기는 아닙니다.
우리 전통 속에 살아 있는 귀신을 소개해 드릴 거고,
종교적인 것과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가위눌렸다는 말 아시죠?
거기에 나오는 가위가 바로
자는 사람을 누른다는 귀신입니다.

이처럼 우리가 사는 집에는 여러 가지 귀신이 함께 삽니다.
성주, 조왕, 터주, 삼신, 축신 따위가 바로 그런 귀신들입니다.

굴왕신은 무덤을 지키는 신이고,
두억시니는 사납고 못된 장난으로 사람을 못살게 구는 귀신,
성주는 집을 지키고 보호해 주는 귀신이며,
조왕은 부엌을 맡은 귀신입니다.
주당은 뒷간을 지키는 귀신이고,
터주는 집터를 지키는 귀신입니다.
또, 아기를 점지하고 산모와 산아를 돌보는 세 신령을 삼신이라고 합니다.
삼신할머니가 애를 점지해 주셔야 아이를 낳을 수 있다고 하잖아요.

저 어렸을 때 기억에,
아버님이 상가에 다녀오시면 집안에 들어오시기 전에 뒷간에 먼저 다녀오셨습니다.
그 까닭은,
혹시라도 상가에서 붙었을지도 모르는 나쁜 귀신을
뒷간에 사는 주당이 떼 내주라고 뒷간에 먼저 가신 겁니다.
그리고 아버님은 뒷간에 들어가시면 항상 모자를 먼저 벗으셨습니다.
요즘도 모자를 쓴 채 어른에게 인사를 하지 않듯이,
집안의 귀신에게 모자를 벗고 예의를 갖춘 거죠.

'집단의 구성원 가운데 가장 오래된 사람을 이르는 말.'이 터줏대감입니다.
이 말도 터주라는 집터를 지키는 귀신에서 온 말입니다.

오늘 제가 왜이리 주절주절 귀신이야기를 지껄이는지 궁금하시죠?
실은 어제부터 제가 일하는 곳에 새로운 직원이 한 분 오셨습니다.
그분은 농촌진흥청 외부과제를 담당하게 되는데,
아무쪼록 앞으로 계속, 쭉~~~ 그 자리에서 그 일을 맡아,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되고 터줏대감이 되길 빕니다.

혜진 씨!
같이 일하게 된 것을 기쁘게 생각하고,
농촌진흥청 외부과제 터줏대감이 되시면 나중에 저 좀 잘 봐주세요. ^^*

우리말123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0028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5942
876 [2009/11/17] 우리말) 들러리 id: moneyplan 2009-11-17 3203
875 [2009/11/16]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11-16 3103
874 [2009/11/13] 우리말) 레바가 아니라 손잡이 id: moneyplan 2009-11-13 2827
873 [2009/11/12] 우리말) 어느와 어떤 id: moneyplan 2009-11-12 2991
872 [2009/11/11] 우리말) 군자삼변 id: moneyplan 2009-11-11 3050
871 [2009/11/10] 우리말) 주기와 주년 id: moneyplan 2009-11-10 2833
870 [2009/11/09] 우리말) 안쫑잡다 id: moneyplan 2009-11-09 3209
869 [2009/11/06] 우리말) 명조체와 바탕체 id: moneyplan 2009-11-06 2862
» [2009/11/05] 우리말) 터줏대감 id: moneyplan 2009-11-05 3107
867 [2009/11/04] 우리말) 얼다와 얾 id: moneyplan 2009-11-04 3069
866 [2009/11/03] 우리말) 누굴 호구로 아나... id: moneyplan 2009-11-03 3342
865 [2009/11/02] 우리말) 대강 넘기려고... id: moneyplan 2009-11-02 2821
864 [2009/10/30] 우리말) 동서남북과 세한마높 id: moneyplan 2009-10-30 2761
863 [2009/10/29] 우리말) 야코죽다 id: moneyplan 2009-10-29 2909
862 [2009/10/28] 우리말) 동서남북 id: moneyplan 2009-10-28 2802
861 [2009/10/27] 우리말) 논문 덜미 id: moneyplan 2009-10-28 2819
860 [2009/10/26] 우리말) 희아리가 뭔지 아세요? id: moneyplan 2009-10-26 2994
859 [2009/10/23] 우리말) 하루가 되기는 싫습니다 id: moneyplan 2009-10-23 2677
858 [2009/10/22] 우리말) 활개 치다와 활개 펴다 id: moneyplan 2009-10-22 3349
857 [2009/10/21] 우리말) 수자와 숫자 id: moneyplan 2009-10-21 28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