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9/07] 우리말) 떼려야 뗄 수 없는...

조회 수 2277 추천 수 86 2009.09.07 11:31:03
흔히
마치 하나처럼 둘로 떼려고 해도 뗄 수 없는 사이를 두고,
'뗄려야 뗄 수 없는 사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는 '떼려야 뗄 수 없는...'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안녕하세요.

확실한 가을의 문턱이네요. ^^*

많은 분이 아시는 것처럼 저는 농촌진흥청에서 일합니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공학부 기획실이 제 일터입니다.
제가 일하는 농촌진흥청에서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이라는 공공기관을 만들었습니다.
농촌진흥청의 연구원들이 연구한 결과를 되도록 빨리 농업현장에 전달해 드리고,
산업화를 통해 농업을 녹색성장의 핵심산업으로 발전시키는 게 그 재단의 목표입니다.
농업연구기관의 연구개발 성과를 산업화하는 국내 유일의 농업기술 실용화 전담기관이죠.
따라서 농촌진흥청과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은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입니다. ^^*

흔히
마치 하나처럼 둘로 떼려고 해도 뗄 수 없는 사이를 두고,
'뗄려야 뗄 수 없는 사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이는 '떼려야 뗄 수 없는...'이라고 해야 바릅니다.

'-려고 하여야'가 줄어든 말은 '-ㄹ래야'가 아니라 '-ㄹ려야'가 맞습니다.
그에 따라 '뗄려야'는 '떼려야'로 적고 읽기도 [뗄려야]가 아니라 [떼려야]로 읽어야 합니다.

농업기술실용화재단은 바로 오늘 문을 여는 농업기술거래 및 실용화전문기관으로
제 일터인 농촌진흥청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입니다. ^^*
http://www.efact.or.kr 에 들어가 보시면 많은 정보를 얻으실 수 있을 겁니다.
전화로 하셔도 됩니다. 031)8012-7100 입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씨 띄어쓰기]

비가 오네요.
이 비는 맞으면 안 된다는데...

며칠 전에 '싸 군' 이야기할 때,
'성과 이름은 붙여 쓰고 호칭은 띄어 씁니다.
홍길동, 박길동이라 쓰고,
김 씨, 김 군처럼 씁니다.'라고 했습니다.

오늘은 이것을 좀더 풀어볼게요.

쉽게,
씨는
호칭일 때는 띄어 쓰고,
성씨 자체일 때는 붙여 씁니다.

곧,
그 일은 김 씨가 맡기로 했네, 홍길동 씨, 길동 씨, 희빈 장 씨에서는 띄어 쓰고,
박씨 부인, 최씨 문중, 그의 성은 남씨입니다에서는 붙여 씁니다.
뭐 그리 어려운 것도 아닙니다.
다만, 좀 헷갈리죠.

우리말, 우리의 삶과 넋을 담은 우리말이 좀 쉬우면 좋으련만
이렇게 경우에 따라 쓰임이 달라 자주 헷갈리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이것저것 안 따지고 그냥 대충 쓰게 되고...
그래서 우리말이 바로 서지 못하고...
제 생각이 그렇다는 겁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30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019
2616 [2017/07/12] 우리말) 오늘 자, 오늘 치 머니북 2017-07-13 3654
2615 [2017/07/11] 우리말) 부처님 오신 날 머니북 2017-07-11 3167
2614 [2017/07/10] 우리말) 토마토 머니북 2017-07-11 3571
2613 [2017/07/07] 우리말) 눈그늘, 멋울림 머니북 2017-07-07 2760
2612 [2017/07/06] 우리말) 희귀병 머니북 2017-07-07 3144
2611 [2017/07/05] 우리말) 잔주름 머니북 2017-07-06 3100
2610 [2017/07/04] 우리말) 장애인과 불구 머니북 2017-07-06 2571
2609 [2017/07/03] 우리말) 태풍 난마돌 머니북 2017-07-04 2865
2608 [2017/06/30] 우리말) 7월에 놀러가기 좋은 곳 머니북 2017-06-30 2468
2607 [2017/06/28] 우리말) 한판과 한 판 머니북 2017-06-29 3346
2606 [2017/06/26] 우리말) 뒷담화 머니북 2017-06-28 2704
2605 [2017/06/23] 우리말) 천장인가 천정인가 머니북 2017-06-24 3305
2604 [2017/06/22] 우리말) 서식 머니북 2017-06-22 2867
2603 [2017/06/21] 우리말) 거덜나다 머니북 2017-06-22 2484
2602 [2017/06/20] 우리말) 비슷한 말 꾸러미 사전 머니북 2017-06-22 3449
2601 [2017/06/19] 우리말) 미닫이와 빼닫이 머니북 2017-06-22 4572
2600 [2017/06/16] 우리말) 기억과 생각의 차이 머니북 2017-06-19 5296
2599 [2017/06/14] 우리말) 우둥우둥 머니북 2017-06-14 2463
2598 [2017/06/13] 우리말) 괘념 머니북 2017-06-13 2620
2597 [2017/06/12] 우리말) 빈손으로 남에게 베풀 수 있는 일곱 가지 일 머니북 2017-06-13 2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