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8/25] 우리말) 엣지있게 편집하라고?

조회 수 3137 추천 수 163 2009.08.25 21:14:21
엣지라고 쓰지 않고
말에 따라
날이 살아 있게, 개성 있게, 특색 있게... 뭐 이렇게 하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요즘 주말에 SBS에서 스타일이라는 연속극을 합니다.
집에 일찍 들어가는 날이면 가끔 보는데
왜 그리 천박한 말이 많이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
제게 힘이 있다면 저는 그 방송 못 하게 만들겠습니다.

지난주 토요일에는 "청담동 오픈 바디"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아마도 좀 헤픈 여자를 뜻하는 것 같습니다.
전 제 귀를 의심했습니다. 잘못 들은 줄 알았습니다.
(body는 바디가 아니라 보디라고 읽는 게 외래어표기법에 맞습니다.)

또 주인공은 말끝마다 '엣지'라는 말을 합니다.
엣지있게 편집하라고 하더니 요즘은 엣지남, 엣지녀라는 말도 나오더군요.

도대체 왜 그런 말을 만들어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엣지라고 쓰지 않고
말에 따라
날이 살아 있게, 개성 있게, 특색 있게... 뭐 이렇게 하면 안되나요?
그렇게 엣지를 안 쓰고 말하면 연속극 '엣지'가 죽나요?
그 정도밖에 안 되는 연속극이라면 전파 낭비 하지말고 그만 문을 닫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말한다고 제가 욕을 들을지는 모르지만,
제 생각에는 그렇습니다.
이런 방송 때문에 우리말이 병들어 죽습니다.

방송국의 마음이 올바르고 얼이 제대로 서 있다면
이런 연속극은 방송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보태기)
제 아내는 이 편지를 쓰지 않는 게 좋겠다고 했습니다.
남들 좋아하는 연속극에 대고 말 잘못하면 큰코 다친다고...
아내 뜻을 거스른 편지를 보냈으니 오늘 저녁에 혼날 것 같습니다. ^^*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양반다리와 책상다리]

어제는 애가 아프다는 말을 듣고 좀 일찍 집에 들어갔습니다. 그래 봐야 10시가 넘었지만...
어제 집에 가면서 내일 아침 우리말 편지 밥상을 무엇으로 차리나를 고민했는데,
집에 가자마자 KBS가 도와 주더군요.

상상플러스에 나온 몇 가지 실수가 제 눈을 괴롭혔기에 오늘은 그것으로 밥상을 차릴게요.

먼저,
뭔가를 설명할 때,
'이것은 무엇입니다. 즉, ....입니다.'라고 풀면서 '즉'을 쓰는데,
이는 '곧'으로 바꿔 쓰시는 게 좋습니다.
즉(卽)이나 곧이나 뜻이 거의 같다면 우리말을 쓰는 게 낫잖아요.
내친김에,
일반적으로 접속 부사 다음에는 반점을 찍지 않습니다만,
'단, 즉, 곧' 따위 뒤에서는 반점을 찍기도 합니다.

사람들이 갑자기 나오는 화면에서
"깜짝 놀래라"라는 자막이 나왔는데,
놀래라가 아니라 놀라라입니다.
놀래다는 놀라다의 사동형으로 남을 놀라게 하는 것입니다.

처음으로 문제를 맞힌 사람이 주전부리를 가져가면서
"화전은 내꺼야"라고 했고, 자막도 그렇게 나왔는데,
'내꺼야'가 아니라 '내 거야'가 맞습니다.

출연자들이 방석을 타고 달리는 겨루기를 하면서
'양반다리 방석 달리기'라고 했습니다.
뜀박질이나 달음박질이 아니면서 '달리기'를 쓴 것은 봐줄 만 한데,
'양반다리'라는 낱말은 안 됩니다.
"한쪽 다리를 오그리고 다른 쪽 다리는 그 위에 포개어 얹고 앉은 자세",
전라도 말로 헹감치는 꼴은 양반다리가 아니라 책상다리입니다.
듣기에 따라 책상다리보다 양반다리가 더 낫게 들릴지 모르지만,
양반다리는 국어사전에 없는 낱말입니다.

여러분은 지금 이런 생각 하시죠.
우리말 편지를 쓰는 저 인간도 세상 참 피곤하게 산다...
그냥 편하게 보고 웃으면 될 것을 왜 저리 따지나... 인간 참 꼬장꼬장하네...

그런 생각하셨죠? 맞죠? ^^*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제가 친구들과 웃고 떠들 때는 어떤 말을 쓰건 상관 없을지 모르지만,
방송에서는 안 됩니다.
방송과 신문은 언제나 옳고 바른말만 써야 합니다.

제가 친구와 이야기하면서 엉터리 말을 하면 한 명에게만 나쁜 짓을 한 것이지만,
언론에서 엉터리 말을 쓰면 우리나라 백성 5천만 명에게 나쁜짓을 한 겁니다.
그래서 언론이 정신을 똑바로 차리고 살아가야 하는 것입니다.

또한, 언론에서 일본말이나 한자투를 버리고 우리말을 쓰려는 노력도 중요하지만,
그에 못지않게 중요한 게,
바르게 쓰려는 노력이라고 봅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986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5481
836 [2009/09/17] 우리말) 움츠르다 id: moneyplan 2009-09-17 2872
835 [2009/09/16] 우리말) 목메다와 목매다 id: moneyplan 2009-09-16 3577
834 [2009/09/15] 우리말) 독농가와 모범 농가 id: moneyplan 2009-09-15 3271
833 [2009/09/14] 우리말) 궁글다 id: moneyplan 2009-09-14 3423
832 [2009/09/11] 우리말) 책 한 권 권해드립니다 id: moneyplan 2009-09-11 3292
831 [2009/09/10] 우리말) 마찬가지 id: moneyplan 2009-09-10 2773
830 [2009/09/09] 우리말) 어제 받은 편지를 소개합니다 id: moneyplan 2009-09-09 2791
829 [2009/09/08]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9-09 3124
828 [2009/09/07] 우리말) 떼려야 뗄 수 없는... id: moneyplan 2009-09-07 2621
827 [2009/09/04] 우리말) 이런 젠장... id: moneyplan 2009-09-04 2847
826 [2009/09/03] 우리말) 징크스 id: moneyplan 2009-09-03 2570
825 [2009/09/02] 우리말) 제가 실수를 했네요. ^^* id: moneyplan 2009-09-02 3050
824 [2009/09/01] 우리말) 여름치고 덜 덥네요 id: moneyplan 2009-09-01 2796
823 [2009/08/31] 우리말) 틀린 자막 몇 개 id: moneyplan 2009-08-31 3102
822 [2009/08/28] 우리말) 신문 기사 연결 [1] id: moneyplan 2009-08-28 3124
821 [2009/08/27] 우리말) 목이 메다 id: moneyplan 2009-08-27 3393
820 [2009/08/26] 우리말) 메우다와 메꾸다 id: moneyplan 2009-08-26 4218
» [2009/08/25] 우리말) 엣지있게 편집하라고? id: moneyplan 2009-08-25 3137
818 [2009/08/24] 우리말) 잊다와 잊히다 id: moneyplan 2009-08-24 2826
817 [2009/08/21] 우리말) 어연번듯하다 id: moneyplan 2009-08-21 3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