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7/17] 우리말) 예전에 보낸 지킴이 인사말

조회 수 2351 추천 수 79 2009.07.17 12:50:45
예전에 보낸 편지를 붙입니다.


안녕하세요.

아침부터 정신없이 바쁘네요.
7시에 일터에 나와 이제야 책상에 앉았습니다.

오늘도 편지 쓸 시간이 없어 예전에 보낸 편지로 갈음합니다.
마침, 2007년에 한글학회와 문화관광부에서 지킴이로 지정받았을 때 했던 인사말을 보낼 차례네요.
아래에 붙입니다.

오늘도 중부지방에 비가 많이 내릴 거라고 합니다.
다들 피해 없기를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지킴이 인사말]

안녕하세요.

방금 우리 말글 지킴이가 된 성제훈입니다.
저는 농촌진흥청에서 일하고 있는데요. 국립국어원에 학예연구사가 있듯이, 저는 농촌진흥청에서 일하는 농업연구사입니다.
어찌 보면 국어, 우리말과 전혀 상관이 없는 것 같은 제가 우리 말글 지킴이가 되었습니다.

몇 년 전에 어떤 배우가 상을 받으면서 "감독님과 배우들이 잘 차려놓은 밥상에서 저는 맛있게 먹기만 했는데, 이런 큰 상을 받게 되었다"라고 말했습니다.
지금 제가 딱 그 꼴입니다. 제가 아침마다 편지를 보내기는 하지만, 국어학자들이 만든 문법을 책에서 따오고, 문법에 맞게 쓴 보기를 사전에서 따와서 편지를 씁니다.
다만, 편지에 제 식구 이야기나 일터이야기를 버무려 보낼 뿐입니다. 그러니 남들이 잘 차려놓은 밥상에서 제가 맛있게 먹은 것뿐이죠.

또, 시상 자리에서 자주 듣는 말이, 별로 한 것도 없는데 이렇게 큰 상을 주셔서 고맙습니다. 더 열심히 하라는 뜻으로 알고 고맙게 받겠습니다... 뭐 이런 말입니다.
이 말도 지금 저에게 딱 어울리는 말입니다. 농업연구자가 농업기술이나 농업 상식을 다른 사람에게 쉽게 알리고자 우리말 공부를 시작했고, 그것을 주위 분들과 나누고 있을 뿐인데 이런 큰 상을 주셨습니다.
그러니 별로 한 것도 없는데 큰 상을 받았고, 앞으로도 꾸준히 하라는 격려와 다독거림일 수밖에요. 고맙습니다.

요즘을 흔히 정보화 사회라고 합니다. 몇 십 년 전에는 산업화 사회라고 했죠. 그러나 이것은 고작 100년 전입니다. 그 이전에는 농경 사회였습니다.
우리 조상도 수천수만 년 농사를 지으면서 살았습니다. 그래서 농업에는 우리 선조의 얼과 넋이 녹아 있습니다. 농업의 중요성을 꼭 먹을거리를 만드는 데서만 찾으면 안 됩니다. 우리 문화의 보물창고가 바로 농업입니다.
마침 제가 농업을 하고 있기에, 농업 속에 서려 있는 우리 조상의 숨결과 얼, 넋을 찾아 다른 사람들과 함께 나누겠습니다. 앞으로도 꾸준히 우리말 편지를 보내면서 우리말, 우리글, 우리 문화를 찾아 알리는데 힘쓰겠습니다.

끝으로, 오늘 이 자리는, 저에게 큰 영광이자 기쁨이지만, 한편 무척 부담스럽기도 합니다.
부담은 사랑하는 제 아내와 함께 짊어져 반으로 나누고, 기쁨은 제 아들딸과 함께 나눠 몇 배로 뻥튀기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778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464
2516 [2011/07/13] 우리말) 대머리/민머리/맨머리 머니북 2011-07-13 5353
2515 [2013/02/18] 우리말) 간지나다 머니북 2013-02-18 5334
2514 [2007/10/09] 우리말) 어린것이 깜찍스럽다는 뜻의 낱말은? id: moneyplan 2007-10-09 5328
2513 [2017/06/16] 우리말) 기억과 생각의 차이 머니북 2017-06-19 5312
2512 [2008/01/2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id: moneyplan 2008-01-29 5310
2511 [2006/12/11] 우리말) 벼리를 잘 잡아야합니다 id: moneyplan 2006-12-11 5306
2510 [2014/10/22] 우리말) 좀이 슬다 머니북 2014-10-23 5301
2509 [2017/10/30] 우리말) 문안 인사 머니북 2017-11-06 5290
2508 [2006/12/04] 우리말) 간지럽히다가 아니라 간질이다 id: moneyplan 2006-12-04 5280
2507 [2006/09/04] 우리말) 들이키다와 들이켜다 id: moneyplan 2006-09-04 5267
2506 [2006/11/18] 우리말) 구좌가 아니라 계좌/통장 id: moneyplan 2006-11-20 5265
2505 [2006/10/18] 우리말) 심술깨나 부리게 생겼다. 꽤나 고집이 세겠군 id: moneyplan 2006-10-18 5252
2504 [2006/09/14] 우리말) 가을내가 아니라 가으내 id: moneyplan 2006-09-14 5234
2503 [2011/11/04] 우리말) 치근거리다와 추근거리다 머니북 2011-11-04 5231
2502 [2006/10/21] 우리말) 고육지책 id: moneyplan 2006-10-23 5229
2501 [2006/09/07] 우리말) 일본 왕실의 왕자 탄생을 축하합니다 id: moneyplan 2006-09-08 5229
2500 [2006/09/24] 우리말) 산문 모음집 id: moneyplan 2006-09-25 5225
2499 [2006/10/11] 우리말) 배추 뿌리, 배추꼬랑이 id: moneyplan 2006-10-11 5215
2498 [2007/01/17] 우리말) 졸가리/줄거리 id: moneyplan 2007-01-17 5203
2497 [2006/11/23] 우리말) 머지않아 연말입니다 id: moneyplan 2006-11-23 5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