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우리말 편지를 쉬고 밀린 일부터 처리해야겠습니다.
저도 가끔은 좀 쉬고 싶을 때고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어제는 새벽에 집을 나서 목포와 전주를 다녀왔습니다.
책상 위에 일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네요.

오늘은 우리말 편지를 쉬고 밀린 일부터 처리해야겠습니다.
저도 가끔은 좀 쉬고 싶을 때고 있답니다. ^^*

어제 문제 답은 '허우룩하다'입니다.
모두 31명이 댓글을 달아주셨네요.
순서에 따라 열 분께 선물을 보내드리겠습니다.

오늘도 잘 보내시고,
주말도 잘 보내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낸 우리말 편지입니다.


[굽실대다]

어제 인터넷 뉴스에
'당돌한 직장후배 대처방법'이라는 꼭지의 글이 있더군요.
예전에는 무조건 아랫사람이 윗사람에게 굽실거렸는데 지금은 그게 아닌가 봅니다.
오히려 윗사람이 아랫사람 눈치를 봐야 한다니...

항상 굽실거리라는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예의를 갖추는 것은 중요한데...

굽실거리다와 굽신거리다...
어떤 게 맞죠?
몸(身)을 구부리는 것이니까 '굽신'이 맞겠죠?

아니요.
대한민국 국어사전에 '굽신'이라는 단어는 없습니다.
"고개나 허리를 자꾸 가볍게 구푸렸다 펴다."나
"남의 비위를 맞추느라고 자꾸 비굴하게 행동하다."는 뜻의 낱말은
'굽신'이 아니라 '굽실'입니다.
굽실거리다, 굽실대다처럼 쓰죠.

내친 김에,
'곱실'이라는 말 들어보셨어요?
'굽실'이 아니라 '곱실'.
또 '꼽실'은요?

굽실, 곱실, 꼽실 모두 같은 뜻입니다.
다만, 꼽실은 곱실에 견줘 센 느낌이 있습니다.
그러면 꼽실보다 더 센 느낌의 말을 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요?
설마 꼽실꼽실?

맞습니다.
꼽실꼽실, 곱실곱실, 굽실굽실 모두 국어사전에 올라 있는 낱말입니다.
한번 쓸 때 보다 더 센 느낌으로 말하고 싶을 때 쓰시면 됩니다.

남의 비위를 맞추느라고 좀스럽고 비굴하게 곱실거릴 필요는 없지만,
윗사람을 보자마자 먼저 꼽실 인사를 하는 것은 좋은 일입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고개나 허리를 자꾸 가볍게 구푸렸다 펴다."에서
'구푸리다'는 "몸을 앞으로 구부리다."는 뜻입니다.
'구부리다'는 "한쪽으로 구붓하게 굽히다"는 뜻이고,
'구붓하다'는 "약간 굽은 듯하다"는 뜻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0024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5879
2416 [2014/07/07] 우리말) 사리 머니북 2014-07-07 2734
2415 [2015/11/05] 우리말) 찜찜하다/찝찝하다 머니북 2015-11-05 2734
2414 [2009/05/1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9-05-12 2735
2413 [2009/06/24] 우리말) 짝꿍과 맞짱 id: moneyplan 2009-06-24 2735
2412 [2015/03/16] 우리말) 불과 뒷불 머니북 2015-03-16 2735
2411 [2015/12/22] 우리말) 차지다/찰지다 머니북 2015-12-23 2737
2410 [2016/03/17] 우리말) '잎새'도 표준말입니다. 머니북 2016-03-18 2737
2409 [2009/04/27] 우리말) 삼천리강산 id: moneyplan 2009-04-27 2738
2408 [2016/06/09] 우리말) 나라지다 머니북 2016-06-10 2738
2407 [2017/06/14] 우리말) 우둥우둥 머니북 2017-06-14 2738
2406 [2008/08/19] 우리말) 여태와 여직 id: moneyplan 2008-08-19 2739
2405 [2010/04/30] 우리말) 비게질 id: moneyplan 2010-04-30 2739
2404 [2016/05/13] 우리말) 퍼센트와 퍼센트 포인트 머니북 2016-05-13 2739
2403 [2016/07/26] 우리말) 어떻게/어떻해 머니북 2016-08-10 2739
2402 [2009/03/07] 우리말) 어머니 글(예전에 보낸 편지) id: moneyplan 2009-03-09 2740
2401 [2009/08/10]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9-08-14 2740
2400 [2009/08/06] 우리말) 중과 가운데 id: moneyplan 2009-08-06 2741
2399 [2014/02/11] 우리말) 들르다와 들리다 머니북 2014-02-11 2742
2398 [2013/05/07] 우리말) 꽃비와 꽃보라 머니북 2013-05-07 2744
2397 [2014/12/26] 우리말) 피로해소/원기회복 머니북 2014-12-29 2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