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조회 수 2272 추천 수 84 2009.01.09 09:28:25
소 목에는 항상 방울이 달려있습니다.
거의 놋쇠로 만든 것인데 제 주먹만 한 크기죠.
오늘 문제는 바로 그 방울,
마소의 귀에서 턱밑으로 늘여 단 방울을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오늘 소와 관련한 문제를 낸다고 했죠? ^^*
우리 민족과 소는 말 그대로 떼려야 뗄 수 없는 사이입니다.
저 대학 다닐 때만 해도 집에 송아지가 태어나야 제 학비를 마련할 수 있었고,
경운기가 없었던 저희 집에서는 논밭을 갈고 짐을 옮기는 데 없어서는 안 될 한 식구였습니다.
학교 갔다 오면 언제나 소를 몰고 나가 꼴을 먹이는 게 제 일이었고,
가끔은 바닷가로 나가 목욕도 시켜줬었습니다.
아버지는 가끔 저를 소 등에 태워주시기도 했었죠. 벌써 30년쯤 앞선 일이네요. 흐르는 세월이 이리 빠르나 봅니다.

소 목에는 항상 방울이 달려있습니다.
거의 놋쇠로 만든 것인데 제 주먹만 한 크기죠.
오늘 문제는 바로 그 방울,
마소의 귀에서 턱밑으로 늘여 단 방울을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소방울이라고도 하고, 요령이라고도 합니다.
사실 요령은 무령(巫鈴)으로 무당이 점칠 때 들고 흔드는 작은 방울입니다.
오늘 답과는 거리가 멉니다.

처음 정답을 보내주시는 분께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에서 고른 겁니다.
소 이야기에서...






[굴레/멍에]

제가 아는 사람 중에 7대 독자가 한 명 있습니다.
얼마 전에 태어난 그 사람 아들은 8대 독자죠.

누군가,
그 사람의 아들은 8대 독자라는 멍에를 쓰고 태어났다고 하더군요.
아무리 요즘은 독자가 많다지만, 그래도 8대 독자는...
묘셔야할 조상만해도... 제사가 몇 건이며, 벌초해야 할 봉은 몇 개 인지...
제가 생각해도 좀 짠하네요.

오늘은 그 8대 독자를 생각하면서 글을 쓰겠습니다.

굴레가 뭔지 아시죠?
소에 코뚜레를 꿰어 머리를 마음대로 움직이지 못하게 동여맨 것을 말합니다.
그 코뚜레로 힘센 소를 힘 약한 사람이 부릴 수 있는 거죠.
그 코뚜레는 소가 어느 정도 크면 채워서 소가 죽을 때까지 차고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멍에는 다릅니다.
멍에는,
달구지나 쟁기를 끌 때 마소의 목에 가로 얹는 구부정한 나무를 말합니다.
이 멍에는 소의 힘을 빌려 일을 할 때만 소의 목에 겁니다.
소가 태어나서부터 평생 쓰고 있는 것은 아니죠.

굴레와 멍에는 둘 다 소를 속박하는 것이긴 하지만,
굴레는 죽을 때까지 쓰고 있어야 하는 것이고, 멍에는 일을 할 때만 쓰는 것입니다.

이것을 사람에게 적용해보면,
노비의 자식, 살인법의 아들...처럼 내 의지로 평생 벗을 수 없는 게 ‘굴레’고,
남편의 속박, 가난, 친구와 불화...처럼 내 노력에 따라 벗을 수 있는 게 ‘멍에’입니다.
“가난이라는 멍에는 노력하면 벗을 수 있다. 굴레처럼 생각하고 자포자기하면 안 된다”처럼 쓸 수 있죠.

그럼,
8대 독자는 멍에일까요, 굴레일까요?
제 생각에 그건 부모에게 달렸습니다.

부모가 아들을 하나 더 낳으면 8대 독자에서 벗어나므로(벗어날 수 있으므로) ‘멍에’고,
부모가 애를 낳지 않으면, 어쩔 수 없이 평생 8대 독자가 되니, 그것은 ‘굴레’고...

그나저나,
현재까지 8대 독자인 그 녀석이
건강하게 잘 자라길 빕니다.
여러분도 그 아기를 위해 기도해 주실 거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738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2963
36 [2013/03/25] 우리말) 비몽사몽과 어리마리 머니북 2013-03-25 9829
35 [2007/09/04] 우리말) 상가, 상갓집, 상가집 id: moneyplan 2007-09-04 10232
34 [2011/12/07] 우리말) 질기둥이 머니북 2011-12-07 10313
33 [2016/07/15] 우리말) 안경을 쓰다/안경을 끼다 머니북 2016-07-15 10708
32 [2010/08/20] 우리말) 올림과 드림 moneybook 2010-08-20 10784
31 [2010/12/06] 우리말) '착하다'의 뜻 moneybook 2010-12-06 11026
30 [2012/07/12] 우리말) 한글로 된 국회의원 선서문 머니북 2012-07-12 11153
29 [2008/01/14] 우리말) 띄어쓰기 틀린 것 몇 개 id: moneyplan 2008-01-14 11176
28 [2015/06/01] 우리말) 우리다 머니북 2015-06-01 11600
27 [2007/02/15] 우리말) 남동풍? 동남풍? id: moneyplan 2007-02-15 11620
26 [2012/08/01] 우리말) 뭔가 야로가 있는 거 같죠? 머니북 2012-08-01 12395
25 [2012/07/19] 우리말) '갓길' 댓글 머니북 2012-07-19 12462
24 [2011/04/28] 우리말) 빙부와 빙모 moneybook 2011-04-28 12618
23 [2011/12/05] 우리말) 땐깡과 지다위 그리고... 머니북 2011-12-05 12845
22 [2006/08/14] 우리말) 주니 id: moneyplan 2006-08-14 13063
21 [2012/08/28] 우리말) 초속 40미터 바람 세기 머니북 2012-08-28 13104
20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3492
19 [2011/11/24]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1-11-24 13603
18 [2012/08/10] 우리말) 도합과 모두 머니북 2012-08-10 14678
17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1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