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5/09]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조회 수 3167 추천 수 96 2008.05.10 10:32:16
단숨에 층계를 다 오르려 용쓰지 말고
힘에 부칠 즈음 잠시 쉬는 느긋함도 갖고
몸과 마음을 가다듬고 나서 또 가고... 그러다 힘들면 또 좀 쉬고... 뭐 이렇게 살면 어떨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아침 7:33 KBS 뉴스에서 '시작한지'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지'가 어떤 일이 있었던 때로부터 지금까지의 동안을 나타낼 때는 앞말과 띄어 씁니다.
그를 만난 지도 꽤 오래되었다, 집을 떠나온 지 어언 3년이 지났다처럼 씁니다.

벌써 금요일입니다.
세상이 바삐 돌아가니 저도 덩달아 정신없이 사는 것 같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마음 다잡고 건강도 잘 챙겨야지 싶습니다.

우리말에 '참'이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거짓에 맞서는 참도 있지만,
"일을 하다가 일정하게 잠시 쉬는 동안"
"일을 시작하여서 일정하게 쉬는 때까지의 사이"
"일을 하다가 잠시 쉬는 동안이나 끼니때가 되었을 때에 먹는 음식"
"길을 가다가 잠시 쉬어 묵거나 밥을 먹는 곳"이라는 뜻이 있습니다.

오늘은 오랜만에 문제를 내겠습니다.
건물에 오르다 보면 계단을 타고 올라가는 때가 잦습니다.
거의 모든 계단은 층을 반쯤 올라가서 약간 넓은 공간을 두고 방향을 바꿔 다시 올라가게 되어 있습니다.
바로 그 공간,
"층계의 중간에 있는 좀 넓은 곳"을 뭐라고 하는지를 맞히시는 겁니다.

오늘 문제를 낸 것은
살아가면서 넉넉함을 찾고
가끔은 눈을 들어 멀리 초록으로 물든 산도 좀 보고 살자는 뜻에서 입니다.

단숨에 층계를 다 오르려 용쓰지 말고
힘에 부칠 즈음 잠시 쉬는 느긋함도 갖고
몸과 마음을 가다듬고 나서 또 가고... 그러다 힘들면 또 좀 쉬고... 뭐 이렇게 살면 어떨까 싶습니다.

맨 처음 문제를 맞히신 분께 우리말 편지 갈피표를 보내드리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어제 보내드린 편지를 보시고 아래와 같은 답장을 주셨네요.

보내신 분 : kswon???

위 글에서 "지금 열차가 들어오고 있습니다"라고 쓰셨는데 '지금 열차가 들어옵니다.'라고 쓰셔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는 이수열 선생께서는 선생이 쓰신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말 바로 쓰기' 279쪽에
<우리말다운 논리로 판단하면 '움직임'이나 '상태'는 모두 그 자체가 찰나에 끝나지 않고 잠시라도 지속(진행)하는 것이므로,
움직임이나 상태를 나타내는 말에 '계속 진행함'을 뜻하는 말을 덧붙일 필요가 없다.>고 하셨습니다.
또한 <예를 들면, 아이가 논다(잔다, 운다, 젖을 먹는다)고 할 때, 그 표현은 자체에 놀거나 자거나 울거나 젖 먹는 행동을 계속하는 뜻이 있으므로
'아이가 놀고 있다, 자고 있다, 울고 있다, 젖을 먹고 있다'고 할 필요가 없다.
정 성에 차지 않으면, 동사 서술어 앞에 계속, 마냥, 아직도, 여전히 따위 부사어를 쓰면 된다>고 하셨습니다.
<영어의 'be ~ing'형을 흉내 낸 것--- 중략 --- 마치 우리말을 서투르게 배워 쓰는 외국인 말 같은 표현은 피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저는 공감합니다.
광주광역시 지하철 안내말에 "00행 열차가 들어 오고 있습니다"라고 해서 "00행 열차가 들어 옵니다"로 바꿔야 한다고 광주지하철공사에 비공식으로 건의했으나 받아드려지지 않습니다. 안타 깝습니다.
성 선생님의 의견은 어떻습니까?

이런 글을 보내주셨네요.
좋은 내용이라 여러분과 함께 보고 싶어서 소개합니다.
저도 이분의 의견에 동감합니다. ^^*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50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199
1476 [2009/10/14] 우리말) 노총 id: moneyplan 2009-10-14 3190
1475 [2007/07/25] 우리말) 공멸은 피해야 합니다 id: moneyplan 2007-07-25 3190
1474 [2016/11/18] 우리말) 개판과 이판사판 머니북 2016-11-19 3188
1473 [2014/11/11] 우리말) 다리다/달이다 머니북 2014-11-11 3188
1472 [2012/02/13] 우리말) 쏜살같다 머니북 2012-02-13 3188
1471 [2012/01/18] 우리말) 설빔과 세뱃돈 머니북 2012-01-18 3188
1470 [2010/04/07] 우리말) 날름과 낼름 id: moneyplan 2010-04-07 3188
1469 [2007/11/12] 우리말) 꽃내음 풀내음 id: moneyplan 2007-11-12 3188
1468 [2017/01/16] 우리말) 굴지 머니북 2017-01-17 3187
1467 [2012/11/15] 우리말) 올겨울과 이번겨울(2) 머니북 2012-11-15 3187
1466 [2012/04/27] 우리말) 핼쑥하다와 해쓱하다 머니북 2012-04-27 3187
1465 [2011/10/19] 우리말) 공부 말뿌리 머니북 2011-10-19 3186
1464 [2017/08/07] 우리말) 블라인드 채용 머니북 2017-08-07 3185
1463 [2013/01/09] 우리말) 중소氣UP! 머니북 2013-01-09 3185
1462 [2012/08/09] 우리말) 석패/완패/숙적 머니북 2012-08-09 3185
1461 [2010/11/24] 우리말) 금도 moneybook 2010-11-24 3185
1460 [2016/03/02] 우리말) 삼일절 머니북 2016-03-09 3184
1459 [2011/02/08]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moneybook 2011-02-08 3184
1458 [2017/01/09] 우리말) 멀찍이와 가직이 머니북 2017-01-09 3183
1457 [2014/03/12] 우리말) 남의나이 머니북 2014-03-12 31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