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4/08] 우리말) 꽃소식과 꽃소금

조회 수 3094 추천 수 119 2008.04.10 11:14:50
꽃이 피고 봄이 온 것을 '꽃소식'이라 하고,
요즘 같은 꽃 피는 철을 '꽃철'이라 하며,
그런 꽃을 찾아다니며 즐기는 놀이를 '꽃놀이'라고 합니다.
아름답게 핀 꽃을 보고 즐기는 것이야 당연히 '꽃구경'입니다.
진달래꽃이 필 때에, 그 꽃을 따서 전을 부치거나 떡에 넣어 여럿이 모여 먹는 놀이는 '꽃달임'이라고 합니다.
주로 음력 3월 3일에 하니 딱 오늘이네요. ^^*


안녕하세요.

오늘 우리나라도 우주인이 나오죠?
탈 없이 잘 다녀오길 빕니다.

오늘 아침 SBS 뉴스에서 "설레임과 흥분"이라고 하더군요.
'설레임'이 아니라 '설렘'입니다.

오늘도 꽃 이야기 몇 개 더 해 볼게요.

꽃이 피고 봄이 온 것을 '꽃소식'이라 하고,
요즘 같은 꽃 피는 철을 '꽃철'이라 하며,
그런 꽃을 찾아다니며 즐기는 놀이를 '꽃놀이'라고 합니다.
아름답게 핀 꽃을 보고 즐기는 것이야 당연히 '꽃구경'입니다.
진달래꽃이 필 때에, 그 꽃을 따서 전을 부치거나 떡에 넣어 여럿이 모여 먹는 놀이는 '꽃달임'이라고 합니다.
주로 음력 3월 3일에 하니 딱 오늘이네요. ^^*

식물이 만들어 내는 아름다운 꽃도 있지만 꽃을 빗댄 것도 있습니다.
여러 가지 빛을 띤 아름다운 구름을 '꽃구름'이라 하고,
술독에 지른 용수 안에 괸 술의 웃국은 '꽃국'이라고 합니다.
아마도 꽃에 처음이라는 뜻이 있나 봅니다.
그래서 신랑 신부의 첫날밤의 잠을 '꽃잠'이라고 한다는 말씀을 드렸었죠? ^^*

'꽃다지'는 오이, 가지, 참외, 호박 따위에서 맨 처음에 열린 열매고,
'꽃물'은 곰국, 설렁탕 따위의 고기를 삶아 내고 아직 맹물을 타지 아니한 진한 국물입니다.

어렸을 때,
어머니가 띄운 메주로 간장을 만드는 것을 본 기억이 있습니다.
소금물에 메주를 넣고 둥둥 뜬 그 메주 위에 숯과 소금을 올려놓으셨습니다.
바로 그 소금이 '꽃소금'입니다.

옛 생각이 아련하네요.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며칠전에 쎄쎄쎄가 일본 노래라는 말씀을 드렸죠?
그 편지를 보시고 두 분이 댓글을 보내주셨습니다.
고맙습니다.

1.
안녕하세요.
도쿄의 ooo이라고 합니다.
항상 잘 받아보고 있습니다.

오늘 세세세에 관한 뿌리를 알고있는 분의 설명을 원한다는 말씀을 듣고
이곳 일본출생 재일동포분에게 문의를 해보았습니다.

그노래는 일본전래동요 '靑山土手から'라는 노래에서 유래한것이랍니다.
노래전문을 소개해드리죠.

(세세세노 요요요-먼저 노래시작하기 전에 어린이들이 서로 손을 잡고 흔들면서 흥을 돋구는 소리입니다.
우리노래에도 에루화,지화자 등이 있듯이 별 뜻이 없는 흥을 돋우는 소리일거라고 하더군요.
더구나 전래동요에서 아이들이 뜻을 생각하며 사용했을것이라고는 생각하기가 어렵다고,...)

세세세노 요요요
아오야마 토테카라 히가시야먀 미레바, 미레바
(청산언덕쪽에서 동쪽산을 보면은, 보면은)
미레바 미루호도 나미다가 포로포로, 포로포로
(보면 볼수록 눈물이 뚝, 뚝)
소노 나미다오 다모노데 후끼마쇼,후끼마쇼
(그 눈물을 소매로 닦읍시다, 닦읍시다)
후잇다 다모노오 시보리마쇼, 시보리마쇼
(닦은 소매를 짭시다.짭시다)
시봇다 다모도오 호시마쇼, 호시마쇼
(짠 소매를 넙시다, 넙시다)
호싯다 다모도오 다다미 마쇼, 다다미마쇼
(넌 소매를 접읍시다,접읍시다)
다단다 다모도오 시마이마쇼, 시마이마쇼
(접은 소매를 정리해둡시다, 정리해 둡시다)
시맛다 다모도오 네즈미가 가리가리, 가리가리
(정리해둔 소매를 쥐새끼가 갉아먹어, 갉아먹어)
소레오 밋다잇다 오쇼상 아푸푸, 아푸푸
(그것을 본 스님이 으하하,으하하)
이노래를 알려준 일본출생 재일동포분은 어릴적에 이런노래를 부르기도 했답니다.

지금도 일본아이들은 유치원등에서 노래를 하며 놀때 '세세세노 요요요'로 흥을 돋굽니다.
일본의 그런 장면을 찍어 우리나라에 방영을 해야 우리나라 사람들이 제대로 분별을 할것 같네요.
우리노래인지,일본노래인지...알지도 모르고,
더구나 그것이 일제시대에 우리나라에 퍼진 노래인지도 모르고 불러대는게 안타깝네요.

지금은 벚꽃이 한창이지요.
벚꽃축제라고 여러언론사에서 사용하더군요.
재일동포사회에서는 축제라는 말대신 '한마당'이 정착되었습니다.
한마당 행사를 하는 동포사회가 무분별하게 일본말 찌꺼기를 쓰는 한국사회에 대해 우리말쓰기를 권유하는 캠페인을 벌여야겠군요...쩝...


2.
한국 동요로 잘못 알려진 일본 전래 동요

선율과 가사 내용, 놀이 방법이 같은 것

가위 바위 보(묵찌바) : じゃん けんんぽん(ダ チョキ パ) [장겡뽕]
숨바꼭질 할 사람 : かくれんぼするもの [가꾸랭보스루모노]


선율이 비슷하고 가사 내용과 놀이 방법이 같은 것
숨바꼭질 : かぷれんぼ [가부랭보]
쎄쎄쎄 아침바람(기러기) : せっせっ(靑山士手から) [쎄쎄]
동그라미 : まんまるちゃん [망마루짱]
뱃노래 (에야노 야노야) : えやのやのや [에야노야노야]

선율은 다르지만 가사 내용과 놀이 방법이 같은 것
꼬마야 꼬마야 : くまさん くまさん [꾸마상 꾸마상]
여우야 여우야 : きつねさん きつねさん [끼츠네상 끼츠네상]
똑 독 똑 누구 십니까 : トソトソトソ どなた [똑똑똑 도나타]
참새 : すずめ [스지메]

선율과 가사는 다르지만 놀이 방법이 같은 것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 だるまさんがころんだ [다루마상가고롱다]
우리 집에 왜 왔니 : 花 もんめ [가몽메]
도시락 고 헤이 / 영심이 : おちゃらか [오짜라까]
해골바가지 : がイゴシ [가이고지]

놀이 제목이나 놀이 속에 일본말이 남아 있는 것
오니 : おに [오니]
하시다리(술래놀이) : ねこどん [네꼬동]
사이단(술래놀이) : ぽこぺん / ぺこたん [보고뺑/뿌고땅]
오쟈미 : おじゃみ [오자미]
하아씨 당나귀 : 馬飛び [바히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50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213
476 [2008/04/19] 우리말) 미스킴과 라일락 id: moneyplan 2008-04-21 2720
475 [2008/04/18] 우리말) 눈시울과 가선 id: moneyplan 2008-04-21 2562
474 [2008/04/17] 우리말) 눈가에 생긴 잔주름 id: moneyplan 2008-04-18 3141
473 [2008/04/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4-16 2893
472 [2008/04/15] 우리말) 헛가래질과 헹가래 id: moneyplan 2008-04-15 2681
471 [2008/04/14] 우리말) 화무는 십일홍이요, 달도 차면 기우나니라 id: moneyplan 2008-04-14 7463
470 [2008/04/11] 우리말) 하기 마련이다와 하게 마련이다 id: moneyplan 2008-04-13 2712
469 [2008/04/10] 우리말) 곰바지런한 국회의원 id: moneyplan 2008-04-10 2548
» [2008/04/08] 우리말) 꽃소식과 꽃소금 id: moneyplan 2008-04-10 3094
467 [2008/04/07] 우리말) 꽃보라 id: moneyplan 2008-04-07 2925
466 [2008/04/04] 우리말) 알음장과 알림장 id: moneyplan 2008-04-06 2379
465 [2008/04/02] 우리말) 축제와 축전, 그리고 잔치 id: moneyplan 2008-04-03 3357
464 [2008/04/03] 우리말) 쎄쎄쎄, 아침바람 찬바람에 id: moneyplan 2008-04-03 3006
463 [2008/04/01] 우리말) 인삿말이 아니라 인사말 id: moneyplan 2008-04-01 2761
462 [2008/03/31]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8-03-31 2945
461 [2008/03/28] 우리말) 만날 뗑그렁 id: moneyplan 2008-03-30 2594
460 [2008/03/27] 우리말) 짓북새를 놓으며 짓먹다 id: moneyplan 2008-03-27 3797
459 [2008/03/26] 우리말) 삐끼와 여리꾼 id: moneyplan 2008-03-26 3197
458 [2008/03/25] 우리말) 막서고 뒵드는 부집 id: moneyplan 2008-03-25 2799
457 [2008/03/24] 우리말) 삶과 죽음 그리고 죽살이 id: moneyplan 2008-03-25 2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