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3/28] 우리말) 만날 뗑그렁

조회 수 2593 추천 수 71 2008.03.30 10:06:44
날마다 뭔가를 하면 '맨날 뭘 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때는 '맨날'이 아니라 '만날'이 맞습니다.
한자어 만(萬)과 우리말 '날'이 합쳐져 '만 번의 날', 곧, "하루도 빠짐없이 날마다"라는 뜻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몇 분이 댓글을 보내셨는데 제발 술 이야기 좀 하지 말아 달라고 하시네요.
그렇게 하겠습니다. 되도록 술 마신 이야기는 하지 않겠습니다.

좀 둘러대자면,
우리말 편지는 제가 일터에서 일하며 느끼는 것이나,
오가면서 본 것이나,
식구와 있었던 일 가운데서 우리말과 관련된 것을 골라 밥상을 차립니다.
그러다 보니 제 일터인 농업 이야기가 많이 나오고,
일 끝나고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마시는 술 이야기가 나오고,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딸내미 이야기가 나옵니다.
이런 것 없이,
맞춤법 하나 풀고, 순 우리말 하나 덜렁 내 놓으면 아마도 재미가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일터 이야기 잘못했다가 작년 여름에 크게 아팠던 적이 있고,
식구 이야기는 너무 개인적이라 좀 부담스럽습니다.
일터를 오가거나 일터에서 일 끝내고 집에 들어갈 때까지가 우리말 편지 꼭지를 찾는 데 가장 좋습니다.
그래서 있는 그대로 술 마신 이야기를 자주 푼 거였습니다.
둘러대자면...^^*

어쨌든 앞으로 될 수 있으면 술 이야기는 하지 않을게요.
이러다 남들이 저는 만날 술만 마시는 사람으로 알까 두렵습니다. ^^*

날마다 뭔가를 하면 '맨날 뭘 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이때는 '맨날'이 아니라 '만날'이 맞습니다.
한자어 만(萬)과 우리말 '날'이 합쳐져 '만 번의 날', 곧, "하루도 빠짐없이 날마다"라는 뜻이 됩니다.

'만날'보다 '맨날'이 익숙한 것은 아마도,
맨눈, 맨다리, 맨대가리, 맨손, 맨주먹, 맨몸 따위가 입에 익어서 그런 것 같습니다.
여기에 쓴 '맨'은 뭔가가 섞이지 않거나 아무것도 지니지 아니한 상태를 나타냅니다.

익은말(속담)에 '만날 뗑그렁'이란 게 있습니다.
"생활이 넉넉하여 만사에 걱정이 없음을 이르는 말."입니다.
'뗑그렁'이 쇠붙이 부딪치는 소리이므로 아마도 돈이 많다는 뜻일 겁니다.

제발 제 삶도 '만날 뗑그렁'이면 좋겠습니다.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운전자가 실랑이를 벌인다]

어제는 아는 분과 함께, 밭고랑에서 전어를 구워먹었습니다.
대가리 속에 깨가 서 말이나 있고,
그 냄새를 맡으면 집 나간 며느리도 돌아온다는 가을 전어!
역시 맛있더군요.

아는 분이 농장으로 초대해서 갔었는데,
농장이 이천이라서 좀 멀더군요.
일요일이면 당연히 자야하는 늦잠도 못 자고,
아침 일찍 길을 나섰죠.

가는 중에 차가 밀려서 이상하다고 생각했는데,
교통방송을 들으니,
제가 가는 길 앞에서 접촉사고가 나, 운전자들이 서로 실랑이를 벌이고 있다고 하더군요.
빨리 가서 전어를 구워 먹어야 하는데... 이렇게 길이 밀리니...

흔히,
교통방송에서 자주 듣는 말 중 하나가,
“어디에서 교통사고가 났는데,
운전자들이 길 위에서 서로 실랑이를 벌이고 있다“입니다.

여기서 ‘실랑이’는 잘못 쓰인 말입니다.
‘승강이’가 옳습니다.

‘승강이(昇降-)’는,
“서로 자기주장을 고집하며 옥신각신하는 일”을 말합니다.
사소한 일로 너와 승강이할 시간이 없다처럼 쓰죠.

‘실랑이’는,
“이러니저러니, 옳으니 그르니 하며 남을 못살게 굴거나 괴롭히는 일”을 말합니다.
‘실랑이를 당하다/빚쟁이들한테 실랑이를 받는 어머니가 불쌍하다’처럼 씁니다.

차량 흐름을 방해하는 두 운전자의 짓거리는
‘승강이질’이지 ‘실랑이질’이 아닙니다.
그들은 서로 상대편이 잘못했다고 (자기주장을 고집하며) 목소리를 높여 싸우는 것이지,
공연히 남을 못살게 구는 짓은 아니잖아요.

그리고 당연한 말이지만,
‘실랑이’라는 말은 사전에 있어도 ‘실랭이’라는 말은 없습니다.
다만, ‘실래이’는 ‘실랑이’의 경상도 지방 사투리입니다.
‘승강이’라는 말은 사전에 있어도 ‘승갱이’라는 말은 없습니다.

이번 주는
자기주장만 옳다고 남과 승강이하는 일도 없고,
뜬금없이 다른 사람에게서 실랑이 당하는 일도 없는,
멋진 한 주를 보내시길 빕니다.

보태기)
실랑이는 본래 과거장에 쓰던 '신래(新來)위'에서 나온 말이라고 합니다.
과거 합격자를 발표되면 호명 받는 사람은 예복을 갖춰 입고 합격 증서를 타러 앞으로 나아가야 하는데,
바로 이 호명이 '신래위'입니다.
이때 합격하지 못한 사람들이 합격한 사람을 붙잡고 얼굴에 먹칠을 하거나,
옷을 찢으며 합격자를 괴롭혔다고 합니다.
바로 여기서 나온 말이 ‘실랑이’입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49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205
476 [2008/04/19] 우리말) 미스킴과 라일락 id: moneyplan 2008-04-21 2720
475 [2008/04/18] 우리말) 눈시울과 가선 id: moneyplan 2008-04-21 2561
474 [2008/04/17] 우리말) 눈가에 생긴 잔주름 id: moneyplan 2008-04-18 3141
473 [2008/04/16]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8-04-16 2892
472 [2008/04/15] 우리말) 헛가래질과 헹가래 id: moneyplan 2008-04-15 2681
471 [2008/04/14] 우리말) 화무는 십일홍이요, 달도 차면 기우나니라 id: moneyplan 2008-04-14 7463
470 [2008/04/11] 우리말) 하기 마련이다와 하게 마련이다 id: moneyplan 2008-04-13 2712
469 [2008/04/10] 우리말) 곰바지런한 국회의원 id: moneyplan 2008-04-10 2548
468 [2008/04/08] 우리말) 꽃소식과 꽃소금 id: moneyplan 2008-04-10 3091
467 [2008/04/07] 우리말) 꽃보라 id: moneyplan 2008-04-07 2925
466 [2008/04/04] 우리말) 알음장과 알림장 id: moneyplan 2008-04-06 2378
465 [2008/04/02] 우리말) 축제와 축전, 그리고 잔치 id: moneyplan 2008-04-03 3357
464 [2008/04/03] 우리말) 쎄쎄쎄, 아침바람 찬바람에 id: moneyplan 2008-04-03 3005
463 [2008/04/01] 우리말) 인삿말이 아니라 인사말 id: moneyplan 2008-04-01 2761
462 [2008/03/31] 우리말) 틀린 말 몇 개 id: moneyplan 2008-03-31 2944
» [2008/03/28] 우리말) 만날 뗑그렁 id: moneyplan 2008-03-30 2593
460 [2008/03/27] 우리말) 짓북새를 놓으며 짓먹다 id: moneyplan 2008-03-27 3797
459 [2008/03/26] 우리말) 삐끼와 여리꾼 id: moneyplan 2008-03-26 3196
458 [2008/03/25] 우리말) 막서고 뒵드는 부집 id: moneyplan 2008-03-25 2797
457 [2008/03/24] 우리말) 삶과 죽음 그리고 죽살이 id: moneyplan 2008-03-25 2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