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03/04] 우리말) 내디딘과 내딛은

조회 수 4288 추천 수 93 2008.03.04 09:56:43
이에 따라 머물다의 머물, 서툴다의 서툴 뒤에는 '고, 다가, 며' 따위의 자음이 붙을 수는 있지만,
어라, 었 따위 모음으로 시작되는 뒷가지(어미)는 붙을 수 없습니다.
곧, '머물고, 머물다가, 머물며, 서툴고, 서툴다가, 서툴며'는 말이 되지만,
'머물어, 머물었다, 서툴어'는 쓸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새 정부가 들어선지 딱 1주일이 지났네요.
장관 인사로 첫발을 내디딘 새 정부가 국정을 잘 추슬러 주길 빕니다.

무엇을 시작하거나, 새로운 범위 안에 처음 들어서다는 뜻의 낱말은 '내디디다'입니다.
준말이 '내딛다'입니다.
민주화의 힘찬 발걸음을 내디디다, 사회에 처음으로 발을 내디딜 예비 직장인들이다처럼 씁니다.
이렇게 내 디디다를 쓰면 별로 헷갈리지 않는데,
준말인 내딛다를 쓰면 헷갈립니다.

첫발을 내딛은 정부, 첫발을 내디딘 정부...어떤 게 맞지?

맞춤법 규정을 좀 보죠.
규정 제16항에
"준말과 본말이 다 같이 널리 쓰이면서 준말의 효율이 뚜렷이 인정되는 것은 두 가지를 모두 표준어로 삼는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머무르다/머물다, 서두르다/서둘다가 모두 표준어입니다.
내디디다/내딛다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이 규정의 맨 밑에
모음 어미가 연결될 때에는 준말의 활용형을 인정하지 않음이라고 써 놨습니다.
이에 따라 머물다의 머물, 서툴다의 서툴 뒤에는 '고, 다가, 며' 따위의 자음이 붙을 수는 있지만,
어라, 었 따위 모음으로 시작되는 뒷가지(어미)는 붙을 수 없습니다.
곧, '머물고, 머물다가, 머물며, 서툴고, 서툴다가, 서툴며'는 말이 되지만,
'머물어, 머물었다, 서툴어'는 쓸 수 없습니다.

이에 따라,
내디디다도
내딛고, 내딛다가는 쓸 수 있지만,
내딛어, 내딛은, 내딛으면으로는 쓰지 않습니다.
원말인 '내디디다'의 활용형인 '내디딘'을 써야 맞습니다.

새 정부가 첫발을 내디딘 겁니다.

오늘은 좀 어려웠나요?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궁시렁대다 >> 구시렁대다]

안녕하세요.

요즘 ‘뒤치다꺼리’로 힘들다고 했죠?
저도 모르게 ‘끙~’소리가 나네요.

그렇다고 누굴 잡고 구시렁댈 수도 없고...
쩝...
어차피 하는 일 기분 좋게 끝내고 돌아가겠습니다.

흔히,
“못마땅하여 군소리를 듣기 싫게 자꾸 하다”는 뜻으로,
‘궁시렁댄다’고 하는데요.
이것은,
‘구시렁대다’라고 해야 합니다.
‘궁시렁대다’는 낱말은 국어사전에 없습니다.
그는 끊임없이 구시렁댔다.
뭘 그렇게 혼자 구시렁거리고 있나?처럼 씁니다.

오늘은 집에 갈 수 있겠죠?
주말 즐겁게 보내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79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478
» [2008/03/04] 우리말) 내디딘과 내딛은 id: moneyplan 2008-03-04 4288
2375 [2017/09/15] 우리말) 선지국밥과 선짓국 머니북 2017-09-15 4283
2374 [2011/09/08] 우리말) 복사뼈도 맞고 복숭아뼈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8 4279
2373 [2007/02/01] 우리말) 명조 --> 바탕, 고딕 --> 돋움 id: moneyplan 2007-02-01 4279
2372 [2007/03/17] 우리말) 건배:건배, 이끔소리, 함께소리 id: moneyplan 2007-03-19 4278
2371 [2006/12/08] 우리말) 찌뿌둥이 아니라 찌뿌듯 id: moneyplan 2006-12-08 4276
2370 [2011/09/07] 우리말) 묏자리도 맞고 묫자리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08 4270
2369 [2014/10/13] 우리말) 왠/웬 머니북 2014-10-13 4269
2368 [2011/09/14] 우리말) 허섭스레기도 맞고 허접쓰레기도 맞습니다 머니북 2011-09-14 4264
2367 [2007/01/28] 우리말) 떨거지/결찌 id: moneyplan 2007-01-29 4264
2366 [2007/04/03] 우리말) 맞히다와 맞추다 id: moneyplan 2007-04-03 4259
2365 [2017/11/09] 우리말) 사열 머니북 2017-11-10 4252
2364 [2007/08/23] 우리말) 갖바치 내일 모레 id: moneyplan 2007-08-23 4244
2363 [2017/11/14] 우리말) 시 감상 머니북 2017-11-16 4235
2362 [2012/09/07] 우리말) 주리팅이 머니북 2012-09-07 4234
2361 [2006/11/01] 우리말) 아빠, 원준이 또 똥쌌어요 id: moneyplan 2006-11-01 4215
2360 [2013/03/14]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03-14 4214
2359 [2011/05/19] 우리말) 꽃 moneybook 2011-05-19 4208
2358 [2013/02/14] 우리말) 자잘못과 잘잘못 머니북 2013-02-14 4207
2357 [2007/04/13] 우리말) 씨 띄어쓰기 id: moneyplan 2007-04-13 4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