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1/09] 우리말) 두껍다와 두텁다

조회 수 3155 추천 수 96 2007.11.09 09:09:31
오늘은 '두껍다'와 '두텁다'를 갈라볼게요.
무척 쉽습니다.
눈에 보이는 것이면 '두껍다', 보이지 않는 것이면 '두텁다'를 씁니다.


안녕하세요.

춥죠?
아침에 두꺼운 옷을 입고 나오셨나요?
아니면, 두터운 옷을 입고 나오셨나요?

오늘은 '두껍다'와 '두텁다'를 갈라볼게요.
무척 쉽습니다.
눈에 보이는 것이면 '두껍다', 보이지 않는 것이면 '두텁다'를 씁니다.

곧,
'두껍다'는
"두께가 보통의 정도보다 크다."는 뜻으로
두꺼운 이불, 두꺼운 책, 두꺼운 입술, 추워서 옷을 두껍게 입었다처럼 씁니다.

'두텁다'는
"신의, 믿음, 관계, 인정 따위가 굳고 깊다."는 뜻으로
두터운 은혜, 신앙이 두텁다, 친분이 두텁다, 정이 두텁다처럼 씁니다.

오늘 아침에 옷을 두껍게 입고 오셨죠? ^^*
몇 겹을 입으셨어요? 두 겹? 세 겹?
여러 겹으로 꽤 두꺼운 것은 '두툼하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두껍게 입긴 했으나
꽤 두껍지 않고 조금 두꺼운 것, 보기 좋을 정도로 알맞게 두꺼운 것은 '도톰하다'입니다.
도톰한 입술, 도톰한 귓불, 솜을 도톰하게 두어 만든 이불처럼 씁니다.

저는 오늘 두툼한 옷을 입고 왔습니다.
왜냐고요?
오늘 저녁에 강원도에 놀러 가거든요.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으뜸, 버금]

요즘 갑자기 날씨가 추워졌습니다.
아침저녁 인사로,
“날씨가 많이 추워졌죠? 건강 조심하세요!”라는 말을 가끔 들으시죠?
당연히 자주 그런 인사를 하실 것이고.

여기서,
추위나 더위의 정도를 나타내는 부사는
‘많이, 적게’가 아니라,
‘상당히’ 나 ‘꽤’를 써야 바릅니다.
앞으로는,
“날씨가 꽤 춥죠? 건강하게 보내세요!”라고 인사하세요.

오늘은 으뜸과 버금에 대해서 말씀드려볼게요.
몇 년 전, 제주도에서 만든 책자 중에,
‘제주도!, 하와이에 버금가는 관광 도시로 개발!’이라는 글이 있었습니다.
여기서 ‘버금가는’이 잘못 쓰였습니다.

‘버금’은 “으뜸의 바로 아래 또는 그런 지위에 있는 사람이나 물건”을 이릅니다.
그리하여 만년 차점(次點) 낙선자에게 하는 말로
“그는 선거를 했다 하면 늘 버금이었다”고 하고,
큰아들이 나약하여 둘째아들을 보위에 앉히려 할 때
“나약한 맏이를 폐하고 억센 버금을 세운다”라고 합니다.
곧, ‘버금가다’는 “으뜸의 바로 아래가 되다”로,
“왕에 버금가는 실세”라고 하면 ‘제2인자’란 뜻이 됩니다.
‘버금가다’는 ‘다음가다’라는 뜻이지 동등하다거나 같은 수준이라는 말이 아닙니다.
그런 뜻으로 쓰려면 ‘맞먹다’나 ‘같다’를 써야 합니다.

곧,
‘제주도!, 하와이에 맞먹는 관광 도시로 개발!’이라고 써야하는 거죠.
‘맞먹는’을 쓰지 않고, ‘버금가는’을 쓰면,
만 년 일등은 하와이고 잘해야 이등이 제주도라는 말이 됩니다.
그런 뜻으로 이 문장을 만든 것은 아닐 거잖아요.

‘버금가다’는 참 좋은 우리말입니다.
상황에 맞게 잘 살려쓰면 좋겠습니다.

제가 일하는 농촌진흥청에서는
매년 연말에 농업연구상이라는 것을 줍니다.
연구를 열심히 한 연구원에게 주는 상으로,
연구원이 받을 수 있는 자랑스러운 상 중 하나죠.

그러나 이 상의 종류가 참으로 묘합니다.
우수상 8명,
최우수상 2명,
대상 1명입니다.

‘최우수’에서 ‘최’는 ‘가장 높다’는 뜻으로,
절대 두 개가 될 수 없는데 어떻게 최우수상이 두 명이며,
가장 높다는 상인 최우수상보다 더 높은 상이 ‘대상’이라는 말인데,
이게 말이 되나요?
어떻게 대상이 최우수상보다 높죠?
그럼 그 위에 클 태를 써서 ‘태상’도 하나쯤 있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그러다 그보다 더 높은 상을 만들어야 한다면 참 진 자를 넣어서 ‘진태상’이라고 만들 건가요?
우리 어른들이 이렇게 말도 안 되는 짓을 하니, 애들이 그걸 배워서
‘오리지날 울트라 슈퍼 캡 짱’이라는 소리나 하고 다니는 겁니다.

바로 이런 상을,
으뜸상, 버금상, 아차상으로 나눠주면 얼마나 좋을까요?
꼭,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으로 나눠
말도 안 되는 한자를 써야만 품위 있는 상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으뜸상, 버금상, 아차상!
얼마나 좋아요.

제 말씀이 좀 심했나요?
제가 받지 못했기에 그냥 한 번 뒤대봤습니다. ^^*

오늘도 보람찬 하루 보내시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64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333
1616 [2007/05/30] 우리말) 세리머니가 아니라 뒤풀이입니다 id: moneyplan 2007-05-30 3257
1615 [2011/02/01] 우리말) 온새미로와 라온 moneybook 2011-02-01 3256
1614 [2013/08/28] 우리말) 거섶 머니북 2013-08-28 3253
1613 [2011/08/16] 우리말) 착하다 머니북 2011-08-16 3253
1612 [2009/09/11] 우리말) 책 한 권 권해드립니다 id: moneyplan 2009-09-11 3252
1611 [2012/06/14] 우리말) 관심은 가지는 게 아니라 두는 것 머니북 2012-06-15 3251
1610 [2013/10/31]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머니북 2013-10-31 3251
1609 [2010/04/16] 우리말) 바끄럽다/서머하다 id: moneyplan 2010-04-16 3251
1608 [2007/10/18]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id: moneyplan 2007-10-18 3251
1607 [2007/09/27] 우리말) 가없는 사랑 id: moneyplan 2007-09-27 3251
1606 [2007/08/20] 우리말) 떨구다와 떨어뜨리다 id: moneyplan 2007-08-20 3251
1605 [2013/01/14] 우리말) 동장군 머니북 2013-01-14 3250
1604 [2007/12/12] 우리말) 김치 냉장고를 샀습니다 ^^* id: moneyplan 2007-12-12 3250
1603 [2008/12/24] 우리말) 내년과 이듬해 id: moneyplan 2008-12-24 3249
1602 [2015/11/17] 우리말) 싼 게 비지떡 머니북 2015-11-18 3248
1601 [2013/02/12] 우리말) 홀몸노인과 홀로노인 머니북 2013-02-12 3248
1600 [2008/11/13] 우리말) 안간힘[안깐힘] id: moneyplan 2008-11-13 3248
1599 [2016/06/02] 우리말) 닻별? 머니북 2016-06-02 3247
1598 [2015/07/17] 우리말) 아는 척과 알은척 머니북 2015-07-17 3247
1597 [2013/08/09] 우리말) 공골차다 머니북 2013-08-12 32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