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1/06] 우리말) 할는지와 할런지

조회 수 5896 추천 수 95 2007.11.07 08:54:16
아침에 보낸 편지에
'잘 알아서 하라는 말을 에둘러 그렇게 한 게 아닐런지......'라는 월이 있었는데,
'아닐런지'가 아니라 '아닐는지'가 맞습니다.
아래 예전에 보낸 편지를 붙입니다.


안녕하세요.

오늘은 편지를 두 번 보내게 되네요.

먼저,
아침에 보낸 편지에
'잘 알아서 하라는 말을 에둘러 그렇게 한 게 아닐런지......'라는 월이 있었는데,
'아닐런지'가 아니라 '아닐는지'가 맞습니다.
아래 예전에 보낸 편지를 붙입니다.

되도록 이런 편지, 잘못됐으니 고쳐달라는 이런 편지를 보내고 싶지 않은데,
자꾸 이런 편지를 보낼 일이 생기네요.
그렇게 정신 차리고 보낸다고 해도......

기분 좋은 소식도 있습니다.
제가 쓴 '성제훈의 우리말 편지'라는 책이
문화관광부 우수교양도서에 뽑혔다고 하네요.

제가 무슨 책을 썼느냐고요?
http://www.yes24.com/searchCenter/searchResult.aspx?keywordAd=&keyword=&qdomain=&query=
입니다.

날씨가 참 좋네요.
저는 지금 풍기로 가서 인삼 몇 뿌리 먹고 올게요. ^^*

고맙습니다.

성제훈 드림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할런지/할른지 >> 할는지


10월의 마지막이자, 새로운 한 주의 시작이네요.
이번 주도 정신없이 바쁠 것 같습니다.
오늘은 아침부터 바쁘네요.

오늘 하루도 워낙 많은 일이 몰려있다 보니 제가 제대로 처리할는지 모르겠네요.
제 일을 해야 저도 먹고사니,
오늘은 간단하게 쓸게요.

‘처리할는지 모르겠네요’에서,
처리할는지, 할련지, 할런지, 할른지...
헷갈리시죠?

먹는 것으로 기억해 보세요.
먹는지, 먹었는지, 먹겠는지, 먹었을는지, 먹을는지, 먹겠을는지...
모두 ‘는지’를 쓰죠?
‘할는지’는
‘할런지’나 ‘할른지’로 쓰시면 안 됩니다.

‘ㄹ는지’는 의문을 나타내는 연결어미나 종결어미로 씁니다.
연결어미로 쓸 때는 어떤 일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나타내어
‘그 의문을 답을 몰라도’, ‘그 의문의 답을 모르기 때문에’라는 의미를 나타냅니다.
비가 올는지 습한 바람이 불기 시작했다처럼 쓰죠.

종결어미로 쓸 때는 어떤 불확실한 사실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나타냅니다.
그 사람이 과연 올는지. 무슨 일이 일어날는지를 누가 알겠니?처럼 씁니다.

아침에 꽤 춥더군요.
늘 건강하세요.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39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079
2336 [2007/10/16] 우리말) 발쇠 id: moneyplan 2007-10-16 2825
2335 [2007/10/17] 우리말) 가풀막지다 id: moneyplan 2007-10-17 3454
2334 [2007/10/18]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id: moneyplan 2007-10-18 3243
2333 [2007/10/19] 우리말) 구설과 구설수 id: moneyplan 2007-10-19 3325
2332 [2007/10/22] 우리말) 포장도로와 흙길 id: moneyplan 2007-10-22 3073
2331 [2007/10/23] 우리말) 도저를 살려 쓰자고요? id: moneyplan 2007-10-23 3076
2330 [2007/10/24] 우리말) 등소평과 덩 샤오핑 id: moneyplan 2007-10-24 4021
2329 [2007/10/25] 우리말) 여덟 시 삼 분 id: moneyplan 2007-10-25 3238
2328 [2007/10/26] 우리말) 구리다 id: moneyplan 2007-10-26 2936
2327 [2007/10/27] 우리말) 오늘은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7-10-27 3451
2326 [2007/10/29] 우리말) 비거스렁이 id: moneyplan 2007-10-29 3582
2325 [2007/10/30] 우리말) 가리산지리산 id: moneyplan 2007-10-30 3052
2324 [2007/10/31] 우리말) 가시버시 id: moneyplan 2007-10-31 2790
2323 [2007/11/01] 우리말) 문제입니다. 바닷가에 쌓인 굴 껍데기를 뭐라고 하죠? id: moneyplan 2007-11-01 3872
2322 [2007/11/02] 우리말) 강추위와 强추위 id: moneyplan 2007-11-02 3479
2321 [2007/11/03] 우리말) 푹 고은 게 아니라 푹 곤 id: moneyplan 2007-11-05 3465
2320 [2007/11/05] 우리말) 안다니와 안다미로 id: moneyplan 2007-11-05 3472
2319 [2007/11/06] 우리말) 옷깃을 스치면 인연? id: moneyplan 2007-11-06 2982
» [2007/11/06] 우리말) 할는지와 할런지 id: moneyplan 2007-11-07 5896
2317 [2007/11/07] 우리말) 명사는 이름씨입니다 id: moneyplan 2007-11-07 3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