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1/02] 우리말) 강추위와 强추위

조회 수 3472 추천 수 166 2007.11.02 09:10:55
'강추위'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흔히 '强추위'라고 생각하시는데,
순 우리말에 '강추위'가 있습니다.
이름씨로 "눈도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으면서 몹시 매운 추위"를 뜻합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낸 문제의 답은 '구적'입니다.
어제 선물을 보내드렸으니 아마 오늘쯤 받으실 수 있을 겁니다.

오늘은 새벽에 서울에 가야 합니다.
그래서 좀 일찍 일어났습니다. 아무리 바빠도 우리말 편지는 보내고 가야 하기에...^^*

요즘 춥죠?
올 겨울 들어 오늘이 가장 춥지는 않겠죠?

그러나
설사 오늘 아침 기온이 0도가 되더라도 올겨울 들어 가장 추운 것은 아닙니다.
왜냐하면 '올겨울'에는 1월과 2월도 들어가거든요.
그래서 '이번 겨울'이라고 해야 맞습니다.
이번 겨울 들어 오늘 아침에 가장 춥다고 하면 말이 됩니다.

'강추위'라는 낱말이 있습니다.
흔히 '强추위'라고 생각하시는데,
순 우리말에 '강추위'가 있습니다.
이름씨로 "눈도 오지 않고 바람도 불지 않으면서 몹시 매운 추위"를 뜻합니다.

한글학회에서 만든 우리말 큰사전에는 '강추위'만 올라 있습니다.
그러나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강추위'와 함께 '强추위'도 올라 있습니다.
"눈이 오고 매운바람이 부는 심한 추위"라는 뜻이라네요.

사전이 이렇게 오락가락하면,
강추위는 눈이 오면서 추운 것일까요, 눈이 오지 않으면서 추운 것일까요?

제 생각에는
한글학회 사전이 바른 것 같습니다.
'강'은 "호된" 또는 "심한"의 뜻을 더하는 앞가지(접두사)입니다.
강마르다(물기가 없이 바싹 마르다), 강밭다(몹시 야박하고 인색하다) 따위가 그런 겁니다.
"다른 것이 섞이지 않은"의 뜻을 더하는 앞가지로도 쓰입니다.
강술(안주 없이 마시는 술), 강풀(물에 개지 않은 된풀) 따위가 그런 겁니다.

그나저나
올겨울, 아니 이번 겨울 들어 첫눈은 언제쯤 내릴까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틀린 게 아니라 다른 거다]

주말 잘 쉬셨나요?
저는 오랜만에 양재 꽃시장에 다녀왔습니다.
애와 함께 봄기운을 맘껏 들이키고
간 김에 수선화도 하나 사왔습니다.

난을 선물할 일이 있어서
난 집에 들러서 이것저것 가격을 좀 물어봤습니다.
“이게 얼마죠?”
“10만 원입니다.”
“그럼 이건 얼마죠?”
“그건 15만 원입니다.”
“어! 같아 보이는데 왜 값은 달라요?”
“같다뇨! 틀립니다. 이건 꽃대가 세 개고 이건 다섯 개고...”

어제 꽃집 주인과 나눈 대화입니다.
이것저것 물어보는데도,
꽃집 주인은 꼭 이것과 저것은 ‘틀리다’면서 가격차이의 정당성을 강조하더군요.
그 말이 참 거슬렸어요.
이것과 저것은 틀린 게 아니라 다른 건데...
‘틀리다’는 “셈이나 사실 따위가 그르게 되거나 어긋나다”는 뜻이고,
‘다르다’는 “비교가 되는 두 대상이 서로 같지 아니하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꽃집 주인은,
“이 꽃과 저 꽃은 틀립니다.”라고 하면 안 되고,
“이 꽃과 저 꽃은 다릅니다.”라고 해야 합니다.

오늘 아침에,
소장님께서 저를 찾으시더군요.
잔뜩 긴장하고 소장실에 들어갔더니,
다른 기관에서 이러저러한 연구를 했는데,
제가 하는 것과 어떻게 다르냐고 물으시더군요.
그때, 제가 하는 말이,
“예, 이 두 개는 틀립니다.”라고 이야기 했습니다.
그 말이 제 입에서 떠나는 순간,
아! 틀린 게 아니라 다른 건데...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그렇지만 이미 말은 제 입을 떠났고...

‘틀리다’와 ‘다르다’의 차이를 알면서도,
곧잘 틀리는 게 바로 이 말입니다.
생각을 좀 하면서 말을 뱉어야 하는데,
그냥 되는대로 뱉다보니... 쩝...

이번 주도 반성으로 시작하는
기분 좋은 한줍니다.

행복하소~~서~~!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26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3941
2336 [2007/10/16] 우리말) 발쇠 id: moneyplan 2007-10-16 2820
2335 [2007/10/17] 우리말) 가풀막지다 id: moneyplan 2007-10-17 3448
2334 [2007/10/18]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id: moneyplan 2007-10-18 3240
2333 [2007/10/19] 우리말) 구설과 구설수 id: moneyplan 2007-10-19 3321
2332 [2007/10/22] 우리말) 포장도로와 흙길 id: moneyplan 2007-10-22 3070
2331 [2007/10/23] 우리말) 도저를 살려 쓰자고요? id: moneyplan 2007-10-23 3074
2330 [2007/10/24] 우리말) 등소평과 덩 샤오핑 id: moneyplan 2007-10-24 4018
2329 [2007/10/25] 우리말) 여덟 시 삼 분 id: moneyplan 2007-10-25 3234
2328 [2007/10/26] 우리말) 구리다 id: moneyplan 2007-10-26 2932
2327 [2007/10/27] 우리말) 오늘은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7-10-27 3449
2326 [2007/10/29] 우리말) 비거스렁이 id: moneyplan 2007-10-29 3578
2325 [2007/10/30] 우리말) 가리산지리산 id: moneyplan 2007-10-30 3046
2324 [2007/10/31] 우리말) 가시버시 id: moneyplan 2007-10-31 2787
2323 [2007/11/01] 우리말) 문제입니다. 바닷가에 쌓인 굴 껍데기를 뭐라고 하죠? id: moneyplan 2007-11-01 3868
» [2007/11/02] 우리말) 강추위와 强추위 id: moneyplan 2007-11-02 3472
2321 [2007/11/03] 우리말) 푹 고은 게 아니라 푹 곤 id: moneyplan 2007-11-05 3462
2320 [2007/11/05] 우리말) 안다니와 안다미로 id: moneyplan 2007-11-05 3462
2319 [2007/11/06] 우리말) 옷깃을 스치면 인연? id: moneyplan 2007-11-06 2977
2318 [2007/11/06] 우리말) 할는지와 할런지 id: moneyplan 2007-11-07 5892
2317 [2007/11/07] 우리말) 명사는 이름씨입니다 id: moneyplan 2007-11-07 3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