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도 여전히 춥네요.

어제 보낸 편지에 제가 실수한 게 있군요.
그걸 꼬집어 주신 편지를 소개합니다.

안녕하세요?
'어제 저녁' 국립국어원에서는 합성어로 보고 '어제저녁'으로 했네요.
'흥이야힝이야'는 '흥이야항이야'인것 같습니다.
'부랴서랴'는 '부랴사랴'가 아닌지요?
이런 낱말도 있네요.
'밑두리콧두리' 이름씨로 확실히 알기 위하여 자세히 자꾸 캐어묻는 근본
['뒤죽박죽'도 '뒤죽'만 있고 '박죽'은 없고] 이 부분은 국립국어원에서 낱말 검색을 해 보니까 앞뒤가 바뀐것 같기도 하구 잘 이해가 안됩니다.

맞습니다.
"관계도 없는 남의 일에 쓸데없이 참견하여 이래라저래라 하는 모양"은 '흥이야항이야'이고,
"매우 부산하고 급하게 서두르는 모양"은 '부랴사랴'입니다.

고맙습니다.

제가 이렇게 제 잘못을 말씀드리면,
우리말편지를 이곳저곳 누리집에 올리셨던 분들은
앞서 올린 편지를 고쳐주십시오.
그래야 다른 분들이 틀린 편지를 보지 않으시죠.
부탁드립니다.

걱정이네요.
이렇게 틀리면 며칠 가던데...... 쩝...

오늘은 문제를 내겠습니다.
제가 실수했기에 오늘은 많은 분께 선물을 드리겠습니다.
먼저 답을 보내시는 열 분께 작은 선물을 보내드리겠습니다.

저는 지난 주말에 식구와 함께 전북을 다녀왔는데요. 오는 길에 바닷가에도 잠시 들렀습니다.


바닷가에 보면 굴 껍데기 따위가 쌓여 있는 게 가끔 보입니다.
바로 그것을 뜻하는 우리말을 맞히시는 겁니다.
두 자입니다.

바닷가에 있는 바위를 보면 굴 껍데기 따위가 다닥다닥 붙어 있는 게 보입니다.
그런 바위를 ??바위라고 합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바닷가에 쌓인 굴 껍데기"라고 나와 있고,
우리말 큰사전에는 "바닷가에 쌓인 굴 껍질"이라고 나와 있네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껍데기와 껍질의 다른 점은 잘 아시죠?
'껍데기'는
"호두, 달걀, 조개 따위의 속? ?싸고 있는 단단한 물질"이나 "속을 싼 겉의 물건"을 뜻하고,
'껍질'은
"물체의 거죽을 싸고 있는 딱딱하지 않은 물건의 켜"를 뜻합니다.
단단한 것은 껍데기 무른 것은 껍질...
그래서 '굴 껍데기'고 '귤 껍질'입니다.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35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042
2336 [2007/10/16] 우리말) 발쇠 id: moneyplan 2007-10-16 2821
2335 [2007/10/17] 우리말) 가풀막지다 id: moneyplan 2007-10-17 3452
2334 [2007/10/18] 우리말) 누룽지와 눌은밥 id: moneyplan 2007-10-18 3241
2333 [2007/10/19] 우리말) 구설과 구설수 id: moneyplan 2007-10-19 3322
2332 [2007/10/22] 우리말) 포장도로와 흙길 id: moneyplan 2007-10-22 3073
2331 [2007/10/23] 우리말) 도저를 살려 쓰자고요? id: moneyplan 2007-10-23 3076
2330 [2007/10/24] 우리말) 등소평과 덩 샤오핑 id: moneyplan 2007-10-24 4021
2329 [2007/10/25] 우리말) 여덟 시 삼 분 id: moneyplan 2007-10-25 3238
2328 [2007/10/26] 우리말) 구리다 id: moneyplan 2007-10-26 2936
2327 [2007/10/27] 우리말) 오늘은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07-10-27 3451
2326 [2007/10/29] 우리말) 비거스렁이 id: moneyplan 2007-10-29 3581
2325 [2007/10/30] 우리말) 가리산지리산 id: moneyplan 2007-10-30 3051
2324 [2007/10/31] 우리말) 가시버시 id: moneyplan 2007-10-31 2790
» [2007/11/01] 우리말) 문제입니다. 바닷가에 쌓인 굴 껍데기를 뭐라고 하죠? id: moneyplan 2007-11-01 3871
2322 [2007/11/02] 우리말) 강추위와 强추위 id: moneyplan 2007-11-02 3478
2321 [2007/11/03] 우리말) 푹 고은 게 아니라 푹 곤 id: moneyplan 2007-11-05 3465
2320 [2007/11/05] 우리말) 안다니와 안다미로 id: moneyplan 2007-11-05 3468
2319 [2007/11/06] 우리말) 옷깃을 스치면 인연? id: moneyplan 2007-11-06 2978
2318 [2007/11/06] 우리말) 할는지와 할런지 id: moneyplan 2007-11-07 5893
2317 [2007/11/07] 우리말) 명사는 이름씨입니다 id: moneyplan 2007-11-07 3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