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10/15] 우리말) 지난주, 이번 주, 다음 주

조회 수 7181 추천 수 129 2007.10.15 12:54:56
앞에서 지난주, 이번주, 다음주를 썼는데요.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지난주'는 붙여 쓰고, '이번 주'와 '다음 주'는 띄어 써야 합니다.
'지난주'만 한 단어로 보고 사전에 올렸으므로 그 낱말은 붙여 쓰고,
'이번 주'와 '다음 주'는 한 단어로 보지 않아 사전에 올리지 않았으므로 띄어 써야 합니다.
쉽게 받아들이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주말 잘 쉬셨나요?

지난주에 잘 쉬셨어야, 이번주에 열심히 일하실 수 있고, 그래야 다음주에 또 노실 수 있는데...^^*

우리말에서 띄어쓰기가 어렵다는 분이 참 많으십니다.
제가 생각해도 어렵습니다.
원칙이 있기는 하지만 예외가 많아서 그러지 싶습니다.

앞에서 지난주, 이번주, 다음주를 썼는데요.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지난주'는 붙여 쓰고, '이번 주'와 '다음 주'는 띄어 써야 합니다.
'지난주'만 한 단어로 보고 사전에 올렸으므로 그 낱말은 붙여 쓰고,
'이번 주'와 '다음 주'는 한 단어로 보지 않아 사전에 올리지 않았으므로 띄어 써야 합니다.
쉽게 받아들이실 수 있나요?

한글학회에서 만든 우리말큰사전을 뒤져보면,
'지난주'와 '다음주'는 한 낱말로 봐서 사전에 올렸습니다. 붙여 써야 하는 거죠.
그러나 '이번 주'는 한 낱말로 보지 않았습니다. 띄어 써야 합니다.
이것은 받아들이실 수 있나요?

띄어쓰기 이야기할 때,
한 단어로 인정받아 사전에 올라 있으면 붙여 쓰고 그렇지 않으면 띄어 쓰라고 합니다.
저도 그렇게 말씀드립니다.
그럼, 띄어쓰기를 잘하려면 사전을 다 외워야 하나요? 그래요?

소나무 잎인 '솔잎'은 붙여 쓰고,
단풍나무 잎인 '단풍잎'도 붙여 쓰는데,
은행나무 잎인 '은행 잎'은 왜 띄어 쓰죠?
학자들이 사전에 올리지 않아서 띄어 써야 한다고요?

그래서 '어제저녁'은 붙여 쓰면서
'오늘 저녁'과 '내일 저녁'은 띄어 쓰나요? 그래요?
누가 시원하게 말씀 좀 해 주세요~~~

우리말123
  

오늘은 재밌는 글 하나 소개할게요.


훈민정음에는 이렇게 처음을 시작합니다.


나랏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가 서로 통하지 않는다.
따라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하여도 뜻을 제대로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불쌍히 여겨 새로 28글자를 만드니,
사람마다 일상 생활에서 편리하게 쓰기를 바란다.


이를 전라도 사투리로 바꾸면 이렇게 됩니다.

시방 나라말쌈지가 떼놈들 말하고 솔찬히 거시기혀서
글씨로는 이녁들끼리 통헐 수가 없응께로

요로코롬 혀갖고는 느그 거시기들이 씨부리고 싶은 것이 있어도
그 뜻을 거시기헐 수 없은께, 허벌나게 깝깝허지 않것어?

그렇고롬혀서 나가 새로 스물여덟자를 거시기했응께
느그들은 수월허니 거시기혀부러 갖고 날마동 씀시롱 편하게 살어부러라.


그냥 웃자고 보내드리는 겁니다.

오늘도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_________^*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5517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1117
2596 [2017/06/0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머니북 2017-06-13 4483
2595 [2017/06/08] 우리말) 초콜릿 머니북 2017-06-08 4981
2594 [2017/06/07] 우리말) 가뭄 해갈 머니북 2017-06-08 2941
2593 [2017/06/05] 우리말) 답 그리고 정답 머니북 2017-06-05 3349
2592 [2017/06/02] 우리말) 갑질 openmind 2017-06-03 3505
2591 [2017/06/01] 우리말) 예초와 풀베기 openmind 2017-06-03 3274
2590 [2017/05/31] 우리말) 멀찌가니/멀찌거니 머니북 2017-05-31 3515
2589 [2017/05/30] 우리말) 무고하다 머니북 2017-05-31 2963
2588 [2017/05/29] 우리말) 잘못 쓴 한국어 바로잡기 머니북 2017-05-31 3380
2587 [2017/05/26] 우리말) ㅍ 받침을 쓰는 말들 머니북 2017-05-29 4560
2586 [2017/05/25] 우리말) 우와기와 한소데 머니북 2017-05-26 3513
2585 [2017/05/23] 우리말) 육교 머니북 2017-05-24 3271
2584 [2017/05/19] 우리말) 업 머니북 2017-05-19 2947
2583 [2017/05/18] 우리말) 해찰하다/헤찰하다 머니북 2017-05-18 5591
2582 [2017/05/17] 우리말) 색깔과 관련된 우리말 머니북 2017-05-18 7976
2581 [2017/05/16] 우리말) 농식품부에서 만든 책 머니북 2017-05-16 3036
2580 [2017/05/15] 우리말) 영부인과 여사 머니북 2017-05-15 4058
2579 [2017/05/12] 우리말) 안다미, 안다미로, 안다니 머니북 2017-05-12 4130
2578 [2017/05/11] 우리말) 협치 머니북 2017-05-11 3349
2577 [2017/05/08] 우리말) 단어를 바꾸면 태도가 바뀐다 머니북 2017-05-11 38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