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6/14] 우리말) 담합이 아니라 짬짜미

조회 수 3240 추천 수 101 2007.06.15 08:31:57
담합(談合) "서로 의논하여 합의함."이라는 뜻이지만,
국립국어원에서 '짬짜미'로 다듬은 말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젯밤 KBS 11시 뉴스에 나온 기자가 제대혈 이야기를 하면서
뭔가가 몇 개 달라도 이식할 수 있다고 해야 하는데,
뭐가 몇 개 틀려도 이식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11시 26분 MBC에서는
출연자가 말하지도 않았는데 자막에 '일가견'이라는 낱말을 썼습니다.
'일가견이 있다'보다는 '한가락한다'는 게 더 낫습니다.

KBS2 해피투게더 프렌즈에서는
출연자의 이름을 쓰면서 '홍 길동'처럼 성과 이름을 띄어 썼습니다.
현행 맞춤법에 따르면 성과 이름을 붙여서 홍길동처럼 써야 합니다.

여러 번 말씀드리지만,
우리 같은 사람은 방송에 나오거나 신문에 나온 것은 모두 사실로 받아들입니다.
방송인이 한 말을 다 옳은 말이고, 그 발음도 다 옳은 것으로 따라 합니다.
뉴스에 나온 기사는 다 진실로 받아들입니다.
그래서 언론이 잘해야 하는 겁니다.

요즘 뉴스에는 '보험사 담합'이야기가 많네요.
네이버 뉴스 창에 '보험사 담합'을 넣고 검색해 보니 667건의 기사가 나오고,
같은 창에 '보험사 짬짜미'를 넣고 검색해 보니 4건의 기사가 나오네요. 모두 한겨레 신문 기사입니다.

담합(談合) "서로 의논하여 합의함."이라는 뜻이지만,
국립국어원에서 '짬짜미'로 다듬은 말입니다.
공부 많이 하신 학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고민해서 찾아내고 다듬은 말입니다.
이렇게 말을 언론에서 앞장서 써주면 얼마나 좋을까요.

뉴스를 진행하는 앵커나 기자가 담합을 안 쓰고 짬짜미라고 쓰고,
신문 기사에 담합이 없어지고 짬짜미가 나오면 얼마나 좋을까요.

언론에 짬짜미가 보이지 않고 담합만 있는 걸 보니,
혹시 언론들이 서로 짬짜미한 거 아닐까요? ^^*

오늘도 즐겁게 보내시길 빕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제대혈은 탯줄혈액으로 다듬어서 쓰는 행정순화용어로 기억하는데,
근거를 못 찾겠네요.

담합은 일본어에서 왔습니다.
꼭 한자를 쓰고 싶으시면 밀약을 쓰시면 됩니다.
그러나 그러시면 순 우리말 짬짜미가 서글피 울겁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조림/졸임]

아름다운 아침입니다. 그렇죠?
참으로 멋진 경기였고, 짜릿한 감동을 준 경기였습니다.
경기 시작 9분만에 한 골을 내준 뒤 얼마나 마음을 졸였던지...
제 속이 새까맣게 타들어가 버렸습니다.

오늘은,
우리 선수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하면서,
졸이다와 조리다의 차이를 말씀드릴게요.

졸이다의 명사형인 '졸임'과
'조림'은 발음이 같아 많이 헷갈리는데요.

'졸임'은 '졸이다'의 명사형으로
'마음을 졸이다'처럼 조마조마한 심리상태를 나타내는 말이고,
갈치조림처럼 국물 없이 바특하게 끓이는 것은 '조리다'의 명사형인 '조림'입니다.

따라서,
축구 경기를 보면서 마음을 졸이는 것이고,
술안주로 좋은 것은 생선 조림입니다.

구별하기 쉽죠?

다음 스위스전에서는 마음 졸이지 않게
초반부터 점수를 좀 많이 뽑아주길 주길 빕니다.
믿어도 되죠?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8679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4383
2436 [2017/11/16] 우리말) 통음 머니북 2017-11-16 4796
2435 [2011/09/15] 우리말) ~길래와 ~기에 머니북 2011-09-15 4795
2434 [2006/11/08] 우리말) 인상/인하는 값 오름/값 내림으로 id: moneyplan 2006-11-08 4784
2433 [2006/10/23] 우리말) 열심히 다좆치고 죄어치겠습니다 id: moneyplan 2006-10-23 4781
2432 [2006/12/02] 우리말) 윤슬이라는 낱말을 아세요? id: moneyplan 2006-12-04 4775
2431 [2011/08/25] 우리말) '일부러'와 '부러' 머니북 2011-08-25 4767
2430 [2013/03/13] 우리말) 사달과 오두방정 머니북 2013-03-13 4761
2429 [2008/12/30] 우리말) 보다 빠르게... id: moneyplan 2008-12-30 4759
2428 [2006/10/31] 우리말) 시월의 마지막 밤 id: moneyplan 2006-11-01 4754
2427 [2007/01/03] 우리말) 어제 시무식에서 들은 말 id: moneyplan 2007-01-03 4752
2426 [2007/01/04] 우리말) 두껍다와 두텁다 id: moneyplan 2007-01-04 4730
2425 [2008/08/05] 우리말) 리더쉽과 리더십 id: moneyplan 2008-08-05 4721
2424 [2011/07/27] 우리말) 칠삭둥이 머니북 2011-07-27 4712
2423 [2006/11/11] 우리말) 빼빼로 데이? 농민의 날! id: moneyplan 2006-11-13 4710
2422 [2011/10/11] 우리말) ‘넉넉치 않다’가 아니라 ‘넉넉지 않다’가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11 4698
2421 [2006/11/06] 우리말) 군포시, 고맙습니다 id: moneyplan 2006-11-07 4694
2420 [2010/01/22] 우리말) 문제를 냈습니다 id: moneyplan 2010-01-22 4691
2419 [2007/04/02] 우리말) 애먼 사람 잡지 않길...... id: moneyplan 2007-04-02 4685
2418 [2007/03/15] 우리말) 꽃잠 잘 잤어? id: moneyplan 2007-03-15 4682
2417 [2006/12/16]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id: moneyplan 2006-12-18 46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