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5/21] 우리말) 보라

조회 수 3405 추천 수 41 2007.05.21 09:31:27
사냥을 잘하기로 소문난 매가 바로 해동청이라는 송골매와 보라매입니다.
보라매의 앞가슴에 난 털이 보라색인데 난 지 1년이 안 된 새끼를 잡아 길들여서 사냥에 썼다고 합니다.
이 보라매를 몽골어로 보로(boro)라고 했다고 합니다.
여기서 '보라'라는 낱말이 나왔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식구와 함께 영동에 다녀왔습니다. 영동이 포도로 유명하잖아요.
그곳에 와인 코리아라는 농업회사에 다녀왔습니다.
가서 포도주도 좀 마셔보고 애들이 마실 것과 아내가 좋아하는 포도주도 몇 병 사왔습니다.

포도주색이 보라색이죠? 오늘은 보라색 이야기 좀 해 볼게요.

'보라'의 말뿌리(어원)는 몽골어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한때 몽골의 지배를 받았었습니다.
그때 여러 가지 몽골 풍습이 유행했는데,
그 가운데 하나가 매를 길들여서 사냥을 하는 매사냥이었다고 합니다.
사냥을 잘하기로 소문난 매가 바로 해동청이라는 송골매와 보라매입니다.
보라매의 앞가슴에 난 털이 보라색인데 난 지 1년이 안 된 새끼를 잡아 길들여서 사냥에 썼다고 합니다.
이 보라매를 몽골어로 보로(boro)라고 했다고 합니다.
여기서 '보라'라는 낱말이 나왔다고 합니다.
송골매는 몽골어 songhol에서 왔다고 하네요.

몽골의 지배를 받을 때 생긴 낱말 가운데 재밌는 게 '시치미'입니다.
누가 시치미에 대해 재밌게 써서 보내주시면 우리말 편지에 소개하겠습니다.
우리말 편지를 받으시는 분 가운데는 우리말을 무척 잘하시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모른 척 '시치미' 뚝 떼지 마시고 재밌게 글을 써서 보내주시면 우리말 편지에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당연히 선물도 있습니다. ^^*

오늘 편지를 마치면서 춘향가 가운데 옥중가 한 대목을 소개할게요.
원님 수청을 거부하고 옥에 갇혀 쑥대머리로 이도령을 기다리는 춘향의 애달픈 마음을 노래한 것입니다.

갈까부다, 갈까부다. 임 따라서 갈까부다. 천리라도 따라가고 만리라도 갈까부다.
바람도 쉬어 넘고, 구름도 쉬어 넘는, 수지니, 날지니, 해동청, 보라매 다 쉬어 넘는 동설령 고개라도 임 따라 갈까부다.
하늘의 직녀성은 은하수가 막혔어도 일년 일도 보련마는, 우리 임 계신 곳은 무슨 물이 막혔기에 이다지도 못 보는고.
이제라도 어서 죽어 삼월 동풍 연자되여 임 계신 처마 끝에 집을 짓고 노니다가 밤중이면 임을 만나 만단정회를 허고지고.
누 년으로 꼬염 듣고 영영 이별이 되려는가?”

역시 판소리는 전라도 말로 해야 낭창낭창하게 제 맛이 날 텐데,
그냥 글로 쓰니 맛이 떨어지네요. ^^*

여기에 나온 낱말 가운데,
'수지니'는 "사람의 손으로 길들인 매나 새매",
'날지니'는 "들에서 사는 매"로 '산지니' "산에서 자라서 해가 묵은 매나 새매"와 같은 뜻입니다.
여기에는 없지만,
'육지니'는 "날지 못할 때에 잡아다가 길들인, 한 살이 되지 아니한 매"를 뜻합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판소리 노랫말은 맞춤법에 맞게 고치지 않았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 편지입니다.>

[차로/차선]

요즘 회사일로 여기저기 잘 싸돌아 다니고 있습니다.
운전하고 다니니까 몸은 힘들어도 재미는 있습니다.

오늘은 '차선'과 '차로'를 구별해 볼게요.
아주 쉬운데...

'차선(車線)'은,
"자동차 도로에 주행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그어 놓은 선"입니다.
차선을 지키다/차선을 긋다/차선을 침범하다처럼 쓸 수 있습니다.

'차로(車路)'는,
차선과 차선 사이에 있는,
차가 다니는 길을 말합니다.

곧,
차가 달리는 길이 '차로'고,
1차로와 2차로를 가르는 선이 '차선'입니다.

따라서,
공사하느라 차로 하나를 없앴으면,
'차선 감소'라고 안내할 게 아니라,
'차로 감소'라고 해야 합니다.

'버스 전용 차선제'도 '버스 전용 차로제'라고 하는 것이 바른 표현입니다.

차선과 차로를 한꺼번에 보면,
'차선 공사중'은 길에 그어놓은 흰색 선을 다시 칠하는 것을 말하고,
'차로 공사중'은 길이 파여서 그 부분을 고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러나 '차로'보다는 '찻길'이 더 좋지 않아요?
  

<아래는 며칠 전에 보내드린 편지에서 틀린 곳을 꼬집어 주신 편지입니다.>

1.
오늘 보내주신 편지에서 올려주신 꽃들을 잘 보았습니다.
말씀드릴까 말까 하다가 워낙 보내시는 편지량이 많다는 것을 생각할때 용기내어 몇자 적습니다.

보내주신 꽃중에 싸리꽃이라고 하신 것은 어떻게 보면 맞긴 맞습니다.
우리 어머님을 비롯 옛날 분들 대부분은 그것을 싸리꽃이라고 알고 있고 그렇게 부르다보니 싸리꽃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것 같습니다

원래 이름은 조팝나무(장미과식물)입니다. 편지를 받은 수많은 사람들이 조팝나무를 싸리꽃이라고 부르게 되면 그 여파가 너무 클것 같아서입니다.
비짜루 만드는 재료로 쓰이는 싸리나무(콩과식물)는 분홍빛이 도는 꽃을 여름부터 가을까지 피웁니다.

2.
안녕하세요?  
매일 우리말편지를 보내주셔서 참 고맙습니다.
그동안 제게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건 틀려서 그런 건 아니구요.
오늘 보내주신 편지에 나와 라는 말이 두 번이나 제 눈에 띄더군요.
글이 뭔가 어색할 때는 불필요한 단어를 빼면 깔끔해지잖아요.
그럼, 내내 건강하세요.
고맙습니다.

1.고두심 씨가 나와 치매 걸린 어머니를 연기했던 드라마 있잖아요.
→고두심씨가 치매 걸린 어머니를 연기했던

2.그제 밤에는 MBC 휴먼드라마 '안녕, 아빠'를 보면서 한 시간 내내 울었습니다.
<이 상황에서는 울었다는 말보다 훌쩍거렸다는 말이 맞을 것 같아요. 아무리 울보 어른이지만 울었다고 하니 좀 ……>

새벽에도 애들 얼굴이 떠올라 잠이 오지 않더군요. 실은 제가 눈물이 무척 많답니다. 생긴 거와 다르게... ㅠ.ㅠ.지난주까지는 '고맙습니다'를 참 재밌게 봤습니다.

3.에이즈에 걸린 꼬마와 치매 걸린 할아버지가 나와 따뜻한 가족 사랑을 보여준 연속극이었습니다.
<에이즈에 걸린 꼬마와 치매 걸린 할아버지의 따뜻한 가족 사랑을 보여준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0516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6108
2456 [2007/05/09] 우리말) 천벌 받을... id: moneyplan 2007-05-09 3783
2455 [2007/05/10] 우리말) 가슴을 에이는이 아니라 에는 id: moneyplan 2007-05-10 2961
2454 [2007/05/11] 우리말) 아이들이 이리저리 피해 달아나며 뛰노는 장난 id: moneyplan 2007-05-11 3153
2453 [2007/05/14] 우리말) '생채기'는... id: moneyplan 2007-05-14 3969
2452 [2007/05/15] 우리말) 손수 만든 꽃? id: moneyplan 2007-05-15 2900
2451 [2007/05/16] 우리말) 바리캉, 포클레인, 제록스, 스카치테이프, 나일론, 무스, 본드, 스티로폼 id: moneyplan 2007-05-16 5151
2450 [2007/05/17] 우리말) 하양과 하얀색 id: moneyplan 2007-05-17 3297
2449 [2007/05/18] 우리말) 고마움과 감사 id: moneyplan 2007-05-18 3547
» [2007/05/21] 우리말) 보라 id: moneyplan 2007-05-21 3405
2447 [2007/05/22] 우리말) 보릿고개와 총체보리 id: moneyplan 2007-05-22 2980
2446 [2007/05/23] 우리말) 자린고비 id: moneyplan 2007-05-23 2899
2445 [2007/05/25] 우리말) 머드러기와 지스러기 id: moneyplan 2007-05-28 2943
2444 [2007/05/28] 우리말) 바리바리 싸 주신... id: moneyplan 2007-05-28 2982
2443 [2007/05/29] 우리말) 일 뒤에도 점을 찍어야 합니다 id: moneyplan 2007-05-29 2824
2442 [2007/05/30] 우리말) 세리머니가 아니라 뒤풀이입니다 id: moneyplan 2007-05-30 3105
2441 [2007/05/31] 우리말) 건하다와 거나하다 id: moneyplan 2007-05-31 2942
2440 [2007/06/01] 우리말) 맹세와 다짐 id: moneyplan 2007-06-01 3005
2439 [2007/06/01] 우리말) 쌩얼과 민낯 id: moneyplan 2007-06-01 2835
2438 [2007/06/04] 우리말) 간인과 사잇도장 id: moneyplan 2007-06-04 3718
2437 [2007/06/05] 우리말) 최대값과 최댓값 id: moneyplan 2007-06-05 28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