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09] 우리말) 가검물을 채취해...

조회 수 4023 추천 수 54 2007.03.09 10:16:54
안녕하세요.

천안서 또 조류독감이 나왔다고 하네요.
http://news.media.daum.net/society/welfare/200703/08/yonhap/v15978322.html

그 기사를 보니 '살처분'이라는 낱말이 보이네요.

또,
국내 첫 조류독감 의심환자가 나왔다는 기사도 있네요.
http://news.media.daum.net/society/affair/200703/08/kukminilbo/v15982661.html

이 기사에도 여전히 '살처분'이라는 낱말이 보이네요.

'살처분'이 말이 안 된다는 것은 지난번에 말씀드렸으니,
오늘은 다른 것을 좀 짚어 볼게요.
기사 가운데,
'...백신 접종을 했으며 가검물을 채취해 정밀검사...'가 있습니다.
여기에 쓴 가검물을 좀 보죠.

사전에 나온 뜻을 보면,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은
가검물(可檢物)을 올리고 "병균의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거두는 물질."이라고 풀었네요.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은
가검물을 올리긴 했되 "검삿감"이라 풀어놨습니다.

가검물을 풀어보면,
병균이 있는지 없는지 보고자 검사하는 환자의 구토물, 피, 땀, 똥 따위를 말합니다.
닭의 가검물은 닭똥이나 되겠죠.

중요한 것은,
이 가검물은 이미 90년대 초에 정부에서 순화용어로 올려놨다는 겁니다.
가검물은 어려운 행정용어이므로 '검사대상물'로 바꿔서 쓰라는 거죠.
그런 낱말을 왜 언론에서 쓰고 관공서에서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이렇게 계속 쓰려면 아예 순화용어를 만들지 말든지...
왜 돈 들이고 공 들여서 말을 다듬어 놓고도 쓰지 않는지 알 수가 없습니다.

관공서와 언론은 국민에게 미치는 영향이 무척 큽니다.
그만큼 책임도 커야합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소꼽장난 >> 소꿉장난]

주말 잘 보내셨나요?
저는 주말 내내 딸내미와 소꿉장난하며 놀았습니다.
평소에는 퇴근이 늦어 같이 놀아줄 시간이 많지 않거든요.

"소꿉놀이를 하며 노는 장난"을 흔히,
'소꼽장난'이라고 하는데요. 이것은 '소꿉장난'이 맞습니다.

'소꿉'은,
"아이들이 살림살이하는 흉내를 내며 놀 때 쓰는, 자질구레한 그릇 따위의 장난감."을 말합니다.

학교 다니실 때, 모음조화를 배우셨죠?
모음조화는,
"두 음절 이상의 낱말에서, 뒤의 모음이 앞 모음의 영향으로 그와 가깝거나 같은 소리로 되는 언어 현상."으로,
'ㅏ', 'ㅗ' 따위의 양성 모음은 양성 모음끼리,
'ㅓ', 'ㅜ', 'ㅡ', 'ㅣ' 따위의 음성 모음은 음성 모음끼리 어울리는 현상입니다.
'깎아', '숨어', '알록달록', '얼룩덜룩', '갈쌍갈쌍', '글썽글썽', '졸졸', '줄줄' 따위가 그런 원칙을 따르고 있습니다.
모음조화는 우랄어족과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대부분의 언어에서 나타납니다.
이 모음조화는,
음-양에 따라 큰말, 작은말의 느낌을 만들면서 우리 생활에서 그런대로 잘 지켜지고 있습니다.

바로 이 모음조화에 따르면,
'소꼽'이 맞습니다.

그러나 모음조화에도 예외가 있습니다.
소꿉장난, 오순도순, 단출하다, 깡충깡충 따위가
모음조화를 따르지 않는 예욉니다.
(소꼽장난, 오손도손, 단촐하다, 깡총깡총이라고 쓰면 틀립니다.)

국어학자들이 표준말이나 맞춤법을 정할 때 언어현실을 얼마나 인정하고 반영하느냐에 따라,
표준말이나 맞춤법이 달라질 수도 있습니다.
이미 굳어진 말이라고 해서 어떤 것은 표준어로 인정하고 어떤 것은 인정하지 않고...
그리고 또 어떤 것은 예외라면서 그냥 따르라 하고...

별로 맘에는 들지 않지만,
어쨌든 현행 맞춤법에 따르면,
'소꼽장난'이 아니라 '소꿉장난'이 맞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9464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0254
2516 [2007/10/09] 우리말) 어린것이 깜찍스럽다는 뜻의 낱말은? id: moneyplan 2007-10-09 5485
2515 [2006/10/13] 우리말) 알타리김치,총각김치,홀아비김치 id: moneyplan 2006-10-14 5485
2514 [2017/10/30] 우리말) 문안 인사 머니북 2017-11-06 5477
2513 [2008/01/2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id: moneyplan 2008-01-29 5473
2512 [2006/12/11] 우리말) 벼리를 잘 잡아야합니다 id: moneyplan 2006-12-11 5459
2511 [2014/10/22] 우리말) 좀이 슬다 머니북 2014-10-23 5449
2510 [2017/06/16] 우리말) 기억과 생각의 차이 머니북 2017-06-19 5442
2509 [2013/02/18] 우리말) 간지나다 머니북 2013-02-18 5432
2508 [2006/11/18] 우리말) 구좌가 아니라 계좌/통장 id: moneyplan 2006-11-20 5425
2507 [2006/10/21] 우리말) 고육지책 id: moneyplan 2006-10-23 5425
2506 [2006/09/04] 우리말) 들이키다와 들이켜다 id: moneyplan 2006-09-04 5404
2505 [2006/12/04] 우리말) 간지럽히다가 아니라 간질이다 id: moneyplan 2006-12-04 5403
2504 [2011/11/04] 우리말) 치근거리다와 추근거리다 머니북 2011-11-04 5381
2503 [2007/01/17] 우리말) 졸가리/줄거리 id: moneyplan 2007-01-17 5379
2502 [2006/11/23] 우리말) 머지않아 연말입니다 id: moneyplan 2006-11-23 5379
2501 [2006/09/14] 우리말) 가을내가 아니라 가으내 id: moneyplan 2006-09-14 5367
2500 [2006/09/07] 우리말) 일본 왕실의 왕자 탄생을 축하합니다 id: moneyplan 2006-09-08 5358
2499 [2006/12/12] 우리말) 저는 절대 똥기지 않을 겁니다 id: moneyplan 2006-12-12 5345
2498 [2006/10/11] 우리말) 배추 뿌리, 배추꼬랑이 id: moneyplan 2006-10-11 5337
2497 [2006/10/18] 우리말) 심술깨나 부리게 생겼다. 꽤나 고집이 세겠군 id: moneyplan 2006-10-18 5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