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03/05] 우리말) 노총을 아세요?

조회 수 3275 추천 수 89 2007.03.05 04:22:15
안녕하세요.

무척 춥네요. 건강 조심하시길 빕니다.

여러분, '노총'이라는 낱말을 아세요?
'노동조합 총연합회'의 준말이 노총(勞總) 아니냐고요?
맞습니다.
그것도 맞지만,
그건 한자고,
우리말로 노총은 다른 뜻입니다.

아시는 것처럼 저는 농촌진흥청 연구개발국에서 일합니다.
연구원이 연구를 편하게 하실 수 있도록 여러모로 도와드리는 것이 제일입니다.
제가 일하는 곳에서는 해년마다
새로운 과제를 뽑아서 농촌진흥청 직원이 아닌 분에게도 연구비를 지원합니다.
대학교수님이나 출원연구소 연구원들이 주 대상이죠.
그분들이 연구계획서를 내면 이곳에서 여러 단계 심사를 해서 과제를 선정하고 연구비를 지원하는데요.
엄격하고 투명하게 과제를 선정하고자 여러 단계를 밟습니다.
그래서 시간도 많이 걸리죠.
보통 지난해 12월에 과제를 제안받아 2월 말에 최종 선정을 합니다.
그러다 보니, 과제를 제안하신 분들이 자기가 낸 과제가 어떻게 되었는지를 물어오시는 일이 잦습니다.
저야 그 과제가 어떤 상태이고 최종 선정될 가능성이 어느 정도라는 것을 알고 있지만,
그것을 말씀드릴 수는 없습니다.

이처럼,
"일정한 기일 동안을 남에게 알리지 아니하여야 될 일"을 '노총'이라고 합니다.
그 일은 노총이라 일이 완성될 때까지 비밀이다,
이 일에 대해 노총을 놓았다가는 너의 목숨이 위태로워질지도 모른다처럼 씁니다.

제가 과제 선정에 대해 노총을 놓았다고 제 목숨이 위태로워지는 것은 아니지만,
농촌진흥청에서 돌리는 연구과제를 투명하게 하고자
과제 선정에 대해 '내시'를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똥기거나 뚱기지도 않고 노총을 놓지도 않습니다.

오늘 과제 선정자에게 공문을 보내드립니다. ^^*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보태기)

1.
내시는
"공식적으로 알리기 전에 몰래 알림"이라는 뜻인데,
일본말(內示, ないじ[나이지])입니다.
아직도 입찰장에서 많이 나오는 말입니다. 쓰지 말자는 뜻으로 강조했습니다.

2.
'똥기다'는
"모르는 사실을 깨달아 알도록 암시를 주다."는 뜻이고,
'뚱기다'는
"눈치 채도록 슬며시 일깨워 주다."는 우리말입니다.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의’의 발음]

새 직장에서는 회의가 무척 많네요.
낮에는 회의 들어가고 저녁에는 그 뒤치다꺼리하다 판날 것 같습니다.
오늘은 '회의' 발음 이야기를 좀 해 볼게요.

표준발음법에는 '의'를 발음하는 법을 이렇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제5항. 'ㅑ ㅐ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는 이중모음으로 발음한다.
다만 4. 낱말의 첫음절 이외의 '의'는 [ㅣ]로, 조사 '의'는 [ㅔ]로 발음함도 허용한다.
주의[주의/주이] 협의[혀븨/혀비] 우리의[우리의/우리에] 강의의[강:의의/강:이에]

좀 정리해 보면,
의사, 의미처럼 '의'가 앞에 올 때는 있는 그대로 [의]로 발음하고,
회의, 강의처럼 '의'가 뒤에 올 때는 [ㅣ]로 발음해도 되고,
너의, 나의, 그것의처럼 '의'가 조사로 쓰일 때는 [ㅔ]로 발음해도 된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의사'는 [의사]로 이중모음으로 발음해야 하고,([으사]라고 발음하면 안 됩니다.)
'의미'도 [의:미]로 이중모음으로 발음해야 합니다.

그러나,
'회의'는 [회:의]라고 발음해도 되고, [훼:이]라고 발음해도 됩니다.
'강의'도 [강:의]라고 발음해도 되고, [강:이]라고 발음해도 됩니다.
'우리의'도 [우리의]라고 발음해도 되고, [우리에]라고 발음해도 됩니다.

선생님이 [강:의]하시는 것도 맞고, [강:이]하시는 것도 맞으며,
제가 [회:의] 들어가는 것도 맞고, [훼:이] 들어가는 것도 맞습니다.

보태기)
"뒤에서 일을 보살펴서 도와주는 일"은 '뒤치닥거리'가 아니라, '뒤치다꺼리[뒤:치다꺼리]'가 맞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30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020
2516 [2011/07/13] 우리말) 대머리/민머리/맨머리 머니북 2011-07-13 5344
2515 [2013/02/18] 우리말) 간지나다 머니북 2013-02-18 5318
2514 [2007/10/09] 우리말) 어린것이 깜찍스럽다는 뜻의 낱말은? id: moneyplan 2007-10-09 5316
2513 [2008/01/29] 우리말) 부치다와 붙이다 id: moneyplan 2008-01-29 5300
2512 [2017/06/16] 우리말) 기억과 생각의 차이 머니북 2017-06-19 5296
2511 [2006/12/11] 우리말) 벼리를 잘 잡아야합니다 id: moneyplan 2006-12-11 5295
2510 [2014/10/22] 우리말) 좀이 슬다 머니북 2014-10-23 5289
2509 [2017/10/30] 우리말) 문안 인사 머니북 2017-11-06 5273
2508 [2006/12/04] 우리말) 간지럽히다가 아니라 간질이다 id: moneyplan 2006-12-04 5271
2507 [2006/09/04] 우리말) 들이키다와 들이켜다 id: moneyplan 2006-09-04 5256
2506 [2006/11/18] 우리말) 구좌가 아니라 계좌/통장 id: moneyplan 2006-11-20 5246
2505 [2006/10/18] 우리말) 심술깨나 부리게 생겼다. 꽤나 고집이 세겠군 id: moneyplan 2006-10-18 5246
2504 [2006/09/14] 우리말) 가을내가 아니라 가으내 id: moneyplan 2006-09-14 5223
2503 [2011/11/04] 우리말) 치근거리다와 추근거리다 머니북 2011-11-04 5219
2502 [2006/09/07] 우리말) 일본 왕실의 왕자 탄생을 축하합니다 id: moneyplan 2006-09-08 5219
2501 [2006/09/24] 우리말) 산문 모음집 id: moneyplan 2006-09-25 5218
2500 [2006/10/21] 우리말) 고육지책 id: moneyplan 2006-10-23 5217
2499 [2006/10/11] 우리말) 배추 뿌리, 배추꼬랑이 id: moneyplan 2006-10-11 5201
2498 [2007/01/17] 우리말) 졸가리/줄거리 id: moneyplan 2007-01-17 5195
2497 [2006/11/23] 우리말) 머지않아 연말입니다 id: moneyplan 2006-11-23 5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