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2/11] 우리말) 벼리를 잘 잡아야합니다

조회 수 5296 추천 수 109 2006.12.11 08:24:33
안녕하세요.

주말에 고향에서 잘 쉬고 왔더니 일이 밀려 있네요.
이렇게 일이 많이 쌓여 있을 때는
벼리를 잘 잡아야 합니다.
큰 줄거리를 보고 중요한 것부터 처리해 나가면 내일이 오기 전에 집에 갈 수 있겠죠. ^^*

벼리는 본디
그물의 위쪽 코를 꿰놓은 줄입니다.
그 줄을 잡아당겨 그물을 오므렸다 폈다 하죠.

그 뜻이 발전해 지금은,
"일이나 글의 뼈대가 되는 줄거리."를 뜻합니다.
학교에서 숙제를 낼 때,
무슨 책을 읽고 그 벼리를 추려오라고 말할 수 있고,
저처럼 일할 때 벼리를 잘 잡아서 일을 한다고도 말할 수 있습니다.

오늘 벼리를 잘 잡아 일을 일찍 끝내고 집에 들어가서 딸내미와 놀아야하는데......


오늘도 아침 일찍 서울 가야 해서 좀 서둘러 나왔습니다.

날씨가 좀 추워도 너무 움츠리지 마세요. 마음마저 움츠러들잖아요. ^^*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전짓대]

지난 주말에,
고향에 계신 어머니가 감을 따서 보내셨습니다.
상자 속에는 잘 익은 석류 몇 개, 대추 몇 개, 무화과 몇 개도 같이 들어있었죠.
그 상자를 보니 어머니의 오롯한 사랑이 그대로 느껴지네요.

고향에 혼자 계시는 어머니는,
아들이 좋아하는 감을 보내시려고,
전짓대를 들고 목을 한껏 뒤로 젖힌 채 몇 시간 동안 고생을 하셨겠죠.

오늘은, 어머니 생각을 하면서,
감 따는 막대 이야기를 좀 해 볼게요.

먼저, ‘막대기’가 뭔지는 아시죠?
“가늘고 기다란 나무나 대나무 토막”을 말합니다.

‘간짓대’는,
“대나무로 된 긴 장대”를 말하죠.
시골에서 빨랫줄 세울 때 쓰는 긴 장대가 바로 간짓대입니다.
빨랫줄을 받치는 장대는 ‘바지랑대’라고도 합니다.
(‘빨래장대’는 사투립니다.)

‘장대’는,
“대나무나 나무로 다듬어 만든 긴 막대기”로 ‘장대기’라고도 합니다.
시골에서 우케를 널어놓고 오리나 닭을 쫓기 위해 마루에 걸쳐 놨던 게 바로 이 장대죠.
(‘우케’는 “찧기 위하여 말리는 벼”를 말합니다.)

이렇게 긴 막대를 간짓대, 장대라고 하는데,
그럼,
감이나 밤을 딸 때 쓰는,
끝이 두 갈래로 갈라져 있고 그 사이로 감이 달린 가지를 끼워 틀어서 꺾는 막대는 뭐라고 할까요?
그게 바로 ‘전짓대’입니다.
아름다운 우리말이죠.

시골 고향에 가셔서 감 따실 때,
“애야!, 전짓대 만들게 간짓대 하나 찾아오렴.”하고 말씀하실 수 있습니다.

아름다운 우리말이 나왔으니, 하나만 더 소개할게요.
‘도래’가 뭔지 아세요?
문이 저절로 열리거나 닫히지 않게 하려고 문 밑에 끼우는 갸름한 나뭇개비가 바로 ‘도래’입니다.
여름에, 열어놓은 사무실 문이 닫히지 않도록 문을 연 후 문 밑에 끼우는 쐐기가 바로 ‘도래’입니다.

어머니의 사랑을 한껏 받은 이번 주는 좋은 일이 많이 생길 것 같습니다.
여러분도 좋은 일 많이 만드시길 빕니다.

보태기)
“아이들에게 억지로 약을 먹이려 할 때 위아래 턱을 벌려 입에 물리는 두 갈래가 진 막대기 따위의 물건”을 ‘전지’라고 합니다.
이 ‘전지’에서 ‘전짓대’가 나왔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333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045
2576 [2013/03/04] 우리말) 아파트를 쓸 때 @로 쓰시나요? 머니북 2013-03-04 6230
2575 [2007/04/04] 우리말) 코사지, 꽃사지, 코르사주, 가슴꽃 id: moneyplan 2007-04-04 6202
2574 [2006/09/02] 우리말) 저는 떠버리입니다 id: moneyplan 2006-09-04 6154
2573 [2014/08/11] 우리말) "찻잔 속의 태풍"은 바른 말일까? 머니북 2014-08-11 6114
2572 [2006/11/20] 우리말) 사바사바? 짬짜미! id: moneyplan 2006-11-20 6104
2571 [2016/08/02] 우리말) 자처하다/자초하다 머니북 2016-08-10 6102
2570 [2006/09/18] 우리말) 즐거운 비명 id: moneyplan 2006-09-18 6097
2569 [2013/09/11] 우리말) 바른말 표어 공모 머니북 2013-09-11 6081
2568 [2006/11/14] 우리말) 바람떡/개피떡 id: moneyplan 2006-11-14 6081
2567 [2006/11/24] 우리말) 싸다와 쌓다 id: moneyplan 2006-11-24 6025
2566 [2006/09/05] 우리말) 과일과 과실 id: moneyplan 2006-09-05 6015
2565 [2011/10/06] 우리말) 메우다와 메꾸다 모두 맞습니다 머니북 2011-10-06 6000
2564 [2012/10/26] 우리말) 바래다와 바래지다 머니북 2012-10-26 5964
2563 [2013/09/13] 우리말) 고객관리 머니북 2013-09-13 5908
2562 [2008/03/11] 우리말) 초승달과 초생달 id: moneyplan 2008-03-11 5903
2561 [2013/09/24] 우리말) 압화와 누름꽃 머니북 2013-09-25 5884
2560 [2006/12/06] 우리말) 우리나라 비단 자랑 id: moneyplan 2006-12-07 5871
2559 [2007/01/31] 우리말) 회의자료 지참 --> 회의자료를 가지고 id: moneyplan 2007-01-31 5857
2558 [2007/03/19] 우리말) 설거지와 설것이 id: moneyplan 2007-03-19 5765
2557 [2006/10/02] 우리말) 낯선 편지 id: moneyplan 2006-10-02 5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