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어제 보낸 우리말편지에 제가 틀린 게 있네요.

형용사에 '이, 히, 리, 기'를 붙여서 사동사를 만들 수 없다고 했는데,
'높이다, 좁히다, 넓히다, 밝히다'처럼 그런 게 있네요.
다만, 어제 말씀드린 대로
'간지럽히다'가 아니라 '간질이다'가 맞는 까닭은,
간질거리다의 사동사로 간질이다가 있어서 간지럽히다를 표준어로 받아들이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간지럽히다는 틀리고 간질이다가 맞습니다.
제 잘못을 짚어주신 분께 고맙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날씨가 너무 추워서 제 머리가 잠시 얼었나 봅니다. 죄송합니다.


오늘 이야기 시작하죠.
어제는 점심때 삼계탕을 먹었습니다.
조류돋감으로 고생하는 농업인을 돕자는 뜻으로 식당에서 준비했더군요.
축산농가가 빨리 안정을 찾아야 할 텐데 걱정입니다.

제가 어제 점심때 [닥을]먹었을까요, [달글]먹었을까요?
발음을 어떻게 해야 하죠?

맞춤법 규정에
겹받침 뒤에 모음이 오면 뒤에 나오는 자음이 뒤로 간다는 원칙이 있습니다.
겹받침 'ㄺ'의 발음은 체언의 경우 '닭이[달기], 닭을[달글]'따위와 같이
모음 앞에서 본음대로 'ㄺ'을 모두 발음하지만
'닭도[닥또], 닭과[닥꽈]'따위와 같은 자음 앞에서는 'ㄹ'을 탈락시키면서 'ㄱ'만을 발음합니다.
다만, 용언의 경우에는 환경에 따라 'ㄺ' 중에서 발음되는 자음을 달리합니다.
이에 따라 '닭' 다음에 '을'이 오니까 [달글]이 됩니다.

제가 어제 점심때 [다글]먹고 지금 편지를 쓰는 걸 보니 닭을 드셔도 안전합니다.

오늘은 [닥또] 먹고 저녁에는 [닥꽈]함께 오리도 먹어야겠습니다. ^^*

다행히 오늘부터는 날씨가 좀 풀릴 거라고 하네요.
오늘 하루도 좋은 생각 많이 하세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가디건 >> 카디건]

가을비가 내리네요.
농사에 아무런 도움이 안 되는 비라서...

오늘 아침 출근길에 아내가 가디건을 내 주더군요.
이제는 이런 것을 입을 때가 된 것 같다면서...

가디건이 뭔지 아시죠?
털로 짠 스웨터의 일종이죠.
대게 앞자락이 트여 단추로 채우게 되어 있으며, 소매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습니다.
바로 이 ‘가디건’이
‘가디건’이 아니라 ‘카디건’이 맞습니다.
‘카디건’이 표준말로 우리나라 표준 국어사전에 올라있습니다.

카디건(cardigan)은,  
지금으로부터 약 150년 전에 있었던
러시아와 영국의 한 전쟁(크림 전쟁) 당시
이 옷을 즐겨 입은 영국의 카디건 백작(Earl of Cardigan)의 이름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카디건을 입다/카디건을 걸치다.’처럼 씁니다.

카디건을 입건 걸치건 간에,
추울 때는 웃옷 하나쯤 더 입는 게 좋겠죠?

주말 잘 쉬세요.


[추가]
안녕하세요.
제가 미쳤나 봅니다.

오늘 보낸 편지에 또 틀린 게 있네요.

이에 따라 '닭' 다음에 '을'이 오니까 [달글]이 됩니다.

제가 어제 점심때 [다글]이 아니라 [달글] 먹고 지금 편지를 쓰는 걸 보니 닭을 드셔도 안전합니다.

오늘은 [닥또] 먹고 저녁에는 [닥꽈]함께 오리도 먹어야겠습니다. ^^*

귀찮게 해서 죄송합니다.

성제훈 올림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284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002
2674 [2013/10/28] 우리말) 틀리기 쉬운 높임말 머니북 2013-10-28 422771
2673 [2014/01/10] 우리말) 사물 존대 동영상 머니북 2014-01-10 142724
2672 [2007/02/22]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몇 개 [8] id: moneyplan 2007-02-22 97298
2671 [2006/12/19] 우리말) 봇물을 이루다? id: moneyplan 2006-12-19 54421
2670 [2010/01/12] 우리말) 한판과 한 판 id: moneyplan 2010-01-12 50750
2669 [2011/12/15] 우리말) 따 논 당상 --> 떼어 놓은 당상 머니북 2011-12-16 19633
2668 [2011/11/25] 우리말) 십여 명 머니북 2011-11-25 18980
2667 [2012/08/08] 우리말) 석패 머니북 2012-08-08 17465
2666 [2008/03/07] 우리말) 발췌, 발취, 발초 id: moneyplan 2008-03-07 17299
2665 [2011/11/29] 우리말) 재시합과 재경기 머니북 2011-11-29 17073
2664 [2011/12/08] 우리말) 소반다듬이 머니북 2011-12-08 16738
2663 [2011/12/19] 우리말) 종군위안부 머니북 2011-12-19 16525
2662 [2011/11/1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11-18 15694
2661 [2006/08/18] 우리말) '당분간'이 아니라 '얼마 동안' id: moneyplan 2006-08-18 15434
2660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090
2659 [2012/08/10] 우리말) 도합과 모두 머니북 2012-08-10 14611
2658 [2011/11/24]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1-11-24 13524
2657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3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