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15] 우리말) 택도없긴... 턱도없지...

조회 수 4656 추천 수 85 2006.11.15 09:26:09
안녕하세요.

며칠 전에 싸가지 말씀드렸었죠?
오늘도 그런 욕(?)을 하나 소개할게요.

흔히,
"마땅히 그리하여야 할 까닭이나 이치."를 말할 때
'택'이라는 낱말을 씁니다.
영문을 알 택이 없다, 그가 나를 속일 택이 없다, 택도 없는 짓처럼 씁니다.

지난 일요일 저녁에 MBC에서 하는 '경제야 놀자'에서도
한 출연자가 '택도 없는 소리'라고 했고 자막도 그렇게 나왔습니다.
그러나 이것은 '택'이라고 하면 안 되고 '턱'이라고 해야 합니다.
영문을 알 턱이 없다, 그가 나를 속일 턱이 없다, 턱도 없는 짓처럼 써야 합니다.

'턱'을 사전에서 찾아보면,
턱 : 사람의 입 아래에 있는 뾰족하게 나온 부분.
턱 : 평평한 곳의 어느 한 부분이 갑자기 조금 높이 된 자리
턱 : 좋은 일이 있을 때에 남에게 베푸는 음식 대접. 승진 턱/턱을 쓰다/턱을 내다/그는 합격 턱으로 우리에게 술을 샀다.
턱 : 마땅히 그리하여야 할 까닭이나 이치. 영문을 알 턱이 없다./그가 나를 속일 턱이 없다.
턱 : 긴장 따위가 갑자기 풀리는 모양. 나는 마음이 턱 놓였다./방안에 들어앉으니 온몸이 맥이 턱 풀린다.
     무슨 행동을 아주 의젓하거나 태연스럽게 하는 모양. 의자에 턱 걸터앉다/사장이 되어 내 앞에 턱 나타났다.

이렇게 우리 고유어에 '택'은 없습니다.
한자어에서 온 선택, 주택 따위는 있지만 순한글에서 택이라는 단어는 없습니다.

누군가 턱도 없는 짓을 하면 어떻게 받아줘야죠?
MBC에서 '택도 없다'는 자막을 내보내는 그런 턱도 없는 짓을 하면,
어떻게 해야죠?

무척 춥습니다. 비까지 오네요. 건강 조심하세요.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지리하다 >> 지루하다]

한가위 잘 쇠셨죠?
짧은 기간이지만 그래도 찾아갈 고향이 있어서 참 좋습니다.
저는 어젯밤 늦게 고향에서 출발해서 오늘 새벽에 수원에 도착했습니다.

어제저녁에 고향에서 출발하기 전에 도로상황을 보기 위해 뉴스를 봤는데,
온통 ‘북핵 타결’ 이야기뿐이더군요.
KBS 2TV 8시 뉴스였는데,
북핵관련 뉴스가 서너 꼭지 있고 나서,
그동안의 경과를 설명하는 뉴스가 있었습니다.
그 뉴스를 보내면서 화면 아래에
‘지리한 35개월’이라는 자막이 나왔습니다.

오락 프로그램에서 자막이 틀리는 것은 봤어도,
뉴스에서 자막이 틀리는 것은 본 적이 없는데...
설마 내가 잘못 봤겠지......
그러나 눈을 씻고 거듭 봐도 ‘지리한 35개월’이었습니다.

‘지리하다’는 ‘지루하다’의 잘못입니다.
표준어 규정, 제1부 표준어 사정 원칙, 제2절 제11항에 보면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습니다.
다음 낱말에서는 모음의 발음 변화를 인정하여, 발음이 바뀌어 굳어진 형태를 표준어로 삼는다.(ㄱ을 표준어로 삼고, ㄴ을 버림.)
ㄱ ㄴ
-구려 -구료
깍쟁이 깍정이
나무라다 나무래다
미수 미시
바라다 바래다
상추 상치
주책 주착
지루-하다 지리-하다
허드레 허드래
호루라기 후루루기

위에 나온 표준에 규정에 따르면,
본래는 ‘지리(支離)하다’가 표준어였지만,
‘모음의 발음 변화를 인정하여’
지금은 ‘지루하다’가 표준어입니다.

“시간을 너무 오래 끌어 따분하고 싫증이 나다”는 뜻의 낱말은,
‘지리하다’가 아니라 ‘지루하다’입니다.

여러 번 하는 이야기지만,
개인인 저는 맞춤법에 맞지 않게 글을 쓰거나, 표준어에 맞지 않게 말할 수 있지만,
여러 사람이 보고 듣고 읽는 언론은 절대로 그러면 안 됩니다.
더군다나 텔레비전 뉴스 자막이 틀리면......

아침저녁으로 쌀쌀합니다.
늘 건강하시고,
좋은 성과 많이 거두시는 풍성한 가을 맞으시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451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90211
2616 [2006/08/24] 우리말) 우표 붙여 편지 부쳤습니다 id: moneyplan 2006-08-25 8116
2615 [2006/08/23] 우리말) 이상한 병 id: moneyplan 2006-08-23 8082
2614 [2012/07/16] 우리말) '당분간'은 '얼마 동안'으로 머니북 2012-07-16 8035
2613 [2006/08/30] 우리말) 휘뚜루마뚜루 id: moneyplan 2006-08-30 7920
2612 [2007/08/30] 우리말) 지킴이와 지키미 id: moneyplan 2007-08-31 7905
2611 [2009/08/11] 우리말) 올림, 드림, 배상 id: moneyplan 2009-08-14 7883
2610 [2017/05/17] 우리말) 색깔과 관련된 우리말 머니북 2017-05-18 7834
2609 [2006/08/29] 우리말) 농촌진흥청에 들러주세요 id: moneyplan 2006-08-29 7819
2608 [2006/08/31] 우리말) 제 얼굴이 그을렸어요 id: moneyplan 2006-08-31 7807
2607 [2011/10/26] 우리말) 새초롬하다와 새치름하다 [1] 머니북 2011-10-26 7803
2606 [2012/08/30] 우리말) 연배 머니북 2012-08-30 7747
2605 [2007/08/01] 우리말) 리터의 단위는 특수문자나 필기체로 쓴 ℓ이 아닙니다 id: moneyplan 2007-08-01 7628
2604 [2013/03/15] 우리말) 낯빛과 안색 머니북 2013-03-16 7627
2603 [2006/08/28] 우리말) 정답을 맞히고 답안지와 맞춰라 id: moneyplan 2006-08-28 7597
2602 [2006/08/27] 우리말) 무좀 때문에 발가락이 자꾸... id: moneyplan 2006-08-28 7579
2601 [2017/11/23] 우리말) 비닐·마지노선·헹가래 중 순우리말은? 머니북 2017-11-23 7548
2600 [2008/04/14] 우리말) 화무는 십일홍이요, 달도 차면 기우나니라 id: moneyplan 2008-04-14 7473
2599 [2013/03/11] 우리말) 명함 영문이름 머니북 2013-03-11 7444
2598 [2012/09/04] 우리말) 물보낌 머니북 2012-09-04 7430
2597 [2006/09/01] 우리말) 나염이 아니라 날염입니다 id: moneyplan 2006-09-01 73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