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1/06] 우리말) 군포시, 고맙습니다

조회 수 4728 추천 수 64 2006.11.07 10:49:34
안녕하세요.

추적추적 가을비가 내리네요.

주말 잘 쉬셨나요?
저는 토요일에 군포시 시민체육광장에서 열린 '2006 경기과학축전'에 다녀왔습니다.
아침에 아내가 군포시 시민체육광장에 가자고 해서 저는 카메라부터 챙겼습니다.
실은 이태 전에 장애인 배구를 그곳에서 할 때 가봤는데,
'군포시실내체육관'이라는 큼지막한 글자가 체육관에 써져 있었거든요.

'실내체육관'은 말이 안 됩니다.
체육관에서 관(館)이 객사 관 자 잖아요. 곧 건물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체육관 앞에 굳이 '실내'를 붙일 까닭이 없습니다.
'체육관'은
"실내에서 여러 가지 운동 경기를 할 수 있도록 시설을 갖추어 놓은 건물"로
'실내'에서 '운동'을 할 수 있게 한 '건물'이잖아요.
관 앞에는 실내를 붙이면 안 됩니다.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잠실체육관도 몇 해 전까지는 '잠실실내체육관'이었는데,
지금은 '잠실체육관'이라고 합니다.
http://stadium.seoul.go.kr/guidance/guide_01_04.html

그러나 실내수영장이나 실내야구장은 말이 됩니다.
여기에 쓴 장(場)은 마당 장 자로 실내나 건물이라는 뜻이 없잖아요.
수영장과 야구장은 밖에도 있고, 안에도 있을 수 있으므로,
어디에 있는지를 나타내고자 실내수영장, 실내야구장이라고 쓰는 것은 말이 됩니다.

어쨌든, 이런 까닭에,
아내가 마침 군포시 시민체육관에 가자고 하니 저는 카메라부터 챙긴 거죠.
증거를 잡아서 군포시를 전국적으로 망신 좀 주려고...

근데 아뿔싸,
그 체육관에 가보니 체육관 이름이 바뀐겁니다.
아래 사진처럼...



그래도 자세히 보니 예전 글자 자국이 있긴 있더군요.
아래 사진처럼...







군포시에서 참 잘하신 겁니다.
뭔가 잘못된 것을 찾아 비꼴 생각으로 눈이 벌게서 찾아간 제가 민망하더군요.

그리고 하나 더 잘하신 게 있습니다.
이번 행사 이름이 '2006 경기과학축전'입니다.
'과학축제'라고 하지 않고 '과학축전'이라고 하신 것도 참 잘하신 겁니다.
언젠가 말씀드렸듯이,
'축제'는 일본식 표현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 만든 표준국어대사전에도 축제를 잔치나 축전으로 다듬는다고 나와있습니다.

http://www.korean.go.kr/uw/dispatcher/bbs/search/dictionary/dic_sear_detail.appl?att1=%EC%B6%95%EC%A0%9C&count=0&pcount=0&attr_oid=@83964|2|4&old_in=0

잔치라고 하지 않은 게 서운하긴 하지만,
축제라고 하지 않은 것만도 참 다행입니다.

군포시!
참 고맙습니다.

우리말123


아래는 예전에 보내드린 우리말편지입니다.

[쉽상이다 >> 십상이다]

새로운 한 주가 밝았습니다.
저는 지난주에 어머니와 오붓한 시간을 보내고 어제 늦게 올라왔습니다.
혼자 계시는 어머니가 갑자기 편찮으셔서
제가 혼 좀 났었죠.

어머니가 혼자 계시다 보니 드시는 것도 부실하고,
갑자기 태풍이 몰려온다고 해서 이 일 저 일 좀 무리를 하셨었나 봅니다.
그러다 보면 탈이 나기 십상이죠.

날마다, 하루가 멀다 하고 전화를 드리지만,
그래도 부족하더군요.
자칫 깜빡하면 어머니 건강을 놓치기 십상입니다.
오늘, 아니 지금 당장 부모님께 전화 한 통 드리는 것은 어때요?

흔히,
“-하기 아주 쉬운 일이나 상태”를 두고,
‘-하기 쉽상’이라는 말을 쓰는데요.
‘쉽상’이 아니고 ‘십상’입니다.

‘십상’은,
十常八九에서 온 말입니다.
열 가운데 여덟이나 아홉 정도로 거의 대부분이거나 거의 틀림없음을 나타내는 말입니다.
-하기 쉽다고 해서 ‘쉽상’이 아닙니다.

벌써 가을입니다.
곧 한가위이고...
이렇게 게으름 피우다가는
올 농사 망치기 십상인데, 이래저래 걱정입니다.

오늘도 즐거운 일이 많이 생기시길 빕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sort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100602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106231
2674 [2013/10/28] 우리말) 틀리기 쉬운 높임말 머니북 2013-10-28 423597
2673 [2014/01/10] 우리말) 사물 존대 동영상 머니북 2014-01-10 143364
2672 [2007/02/22] 우리말) 어제 받은 답장 몇 개 [8] id: moneyplan 2007-02-22 98757
2671 [2006/12/19] 우리말) 봇물을 이루다? id: moneyplan 2006-12-19 55194
2670 [2010/01/12] 우리말) 한판과 한 판 id: moneyplan 2010-01-12 51536
2669 [2011/12/15] 우리말) 따 논 당상 --> 떼어 놓은 당상 머니북 2011-12-16 19985
2668 [2011/11/25] 우리말) 십여 명 머니북 2011-11-25 19284
2667 [2012/08/08] 우리말) 석패 머니북 2012-08-08 17811
2666 [2008/03/07] 우리말) 발췌, 발취, 발초 id: moneyplan 2008-03-07 17783
2665 [2011/11/29] 우리말) 재시합과 재경기 머니북 2011-11-29 17466
2664 [2011/12/08] 우리말) 소반다듬이 머니북 2011-12-08 17041
2663 [2011/12/19] 우리말) 종군위안부 머니북 2011-12-19 16841
2662 [2011/11/18] 우리말) 댓글 소개 머니북 2011-11-18 15978
2661 [2006/08/18] 우리말) '당분간'이 아니라 '얼마 동안' id: moneyplan 2006-08-18 15736
2660 [2013/03/06] 우리말) 세꼬시는 뼈째회로 쓰는 게 좋습니다 머니북 2013-03-06 15379
2659 [2012/08/10] 우리말) 도합과 모두 머니북 2012-08-10 14923
2658 [2011/11/24]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1-11-24 13842
2657 [2013/03/06] 우리말) 개그맨, 한글 박사가 되다 방송인 정재환 머니북 2013-03-06 137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