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10/21] 우리말) 고육지책

조회 수 5224 추천 수 89 2006.10.23 09:49:45
안녕하세요.

어제 뉴스를 보니,
이번 달 25일 있을 국회의원 보궐선거의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선거관리위원회에서 고육지책으로 인센티브제를 내놨다고 하네요.
'고육지책'을 내놓기에 앞서
정치인들이 하는 짓거리가 얼마나 보기 싫었으면 국민이 등을 돌릴까를 먼저 생각해야 합니다.
선거 때는 국민의 심부름꾼이니 종이니 하면서 떠벌리다가
막상 선거만 끝나면 국민을 발가락의 때만큼도 생각하지 않는 그런 국회의원들을 보고
어느 국민이 투표할 마음이 생길까요?
몇몇 일 하시는 국회의원들 빼고...

인센티브제를 받아들이면서
선관위에서 '고육지책'이라는 고사성어를 쓰지는 않았을 겁니다.
선관위에서 내 놓은 정책을 보고 언론에서 '고육지책'이라고 썼는데, 이것은 잘못된 겁니다.

고육지책은 쓸 고(苦), 고기 육(肉), 갈 지(之), 꾀 책(策) 자를 쓰는데 삼국지에 나옵니다.
그 내용은
오나라가 조조의 대군을 격파하기 위해 불공격을 계획했는데 그 계획을 실천하기 위해 황개라는 장수가 머리를 쓰죠.
황계가 자기군 대장에게 대들어 죽도록 얻어터진 후,
이를 비관해 조조에게 투항하는 것처럼 꾸며 조조에게 다가가게 됩니다.
이른 본 조조는 황계가 정말로 자기군 대장에게 꾸중들은 것에 반발해 자기에게 오는 것으로 알고 대비를 소홀히 하다 결국 불공격을 당하게 됩니다.
바로 여기서 나온 말이 고육지책입니다.
(더 자세히 보시려면 이곳으로 가 보세요. 네이버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701877)

곧, 장수 황계가 제 몸을(肉) 괴롭혀서라도(苦)(일부러 대들어 죽도록 얻어터져서라도) 어려운 상황을 해결하려는(之) 계책(計)이라는 뜻의 고사성어가 고육지책입니다.
따라서, 고육지책은 힘들게 머리를 짜서 만들어낸 방법이 아니라,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기 자신을 먼저 희생하는 경우에 쓸 수 있는 말입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도
고육지책/고육지계를 "적을 속이기 위하여 자신의 괴로움을 무릅쓰고 꾸미는 계책"이라 풀어놨습니다.

이번에 선관위에서
선관위 직원이나 조직을 희생해 가면서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인센티브제를 만든 것은 아닙니다.
투표율을 높이기 위해 선관위 사람들이 머리를 싸매고 고민해서 만들어낸 한 가지 방법일 뿐입니다.
그것은 고육지책이 아닙니다.

"궁한 나머지 생각다 못하여 짜낸 계책."이므로 궁여지책(窮餘之策)이 맞습니다.

언론에서 어떤 상황을 설명하기 위해 고사성어를 쓰는 것은 좋으나 상황에 맞게 써야합니다.
이번 선관위에서 하는 일을 보고 '고육지책'이라고 쓰면,
대부분의 사람은,
"아, 고육지책이란 깊은 고민을 해서 내 놓은 방법을 말 하는가보다"라고 생각하게 됩니다.
그건 아닙니다.

이런 상황에서 '고육지책'이라고 쓴 것은,

사회의 여론을 만들어 간다는 언론이 큰 잘못을 하고 있는 겁니다.
고육지책이라는 고사성어를 쓰기 위해서는 먼저 자기의 희생이 있어야 합니다.

틀린 기사 한 줄이 수천 수만 명의 눈을 멀게 할 수 있고,
잘못 뽑은 국회의원 하나가 나라를 망칠 수도 있습니다.
꼼꼼히 따져보시고 선거 잘하시길 빕니다.

고맙습니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sort 조회 수
공지 성제훈 박사님의 [우리말123] 게시판 입니다. id: moneyplan 2006-08-14 83505
공지 맞춤법 검사기^^ id: moneyplan 2008-11-18 89210
2636 [2017/09/01] 우리말) 머드러기와 부스러기 머니북 2017-09-07 3044
2635 [2017/08/30] 우리말) 뜻밖에 머니북 2017-08-31 2835
2634 [2017/08/28] 우리말) 첫째와 첫 번째 머니북 2017-08-31 2847
2633 [2017/08/25] 우리말) 자주 틀리는 맞춤법 머니북 2017-08-31 3113
2632 [2017/08/24] 우리말) 여우다와 여의다 머니북 2017-08-31 4303
2631 [2017/08/22] 우리말) 반려견 머니북 2017-08-23 3225
2630 [2017/08/21] 우리말) 미련 머니북 2017-08-21 2712
2629 [2017/08/16] 우리말) 달걀과 계란 머니북 2017-08-18 3173
2628 [2017/08/14] 우리말) 갑질에 대한 짧은 생각2 머니북 2017-08-16 2874
2627 [2017/08/11] 우리말) 갑질에 대한 짧은 생각 머니북 2017-08-16 2976
2626 [2017/08/09] 우리말) 비빈밥’과 ‘덧밥’ 머니북 2017-08-09 3484
2625 [2017/08/08] 우리말) 미어지다 머니북 2017-08-09 3229
2624 [2017/08/07] 우리말) 블라인드 채용 머니북 2017-08-07 2950
2623 [2017/07/28] 우리말) 야단법석 머니북 2017-08-02 2856
2622 [2017/07/27] 우리말) 굴레와 멍에 머니북 2017-07-27 2685
2621 [2017/07/26] 우리말) 어쭙잖다 머니북 2017-07-27 3370
2620 [2017/07/24] 우리말) 중소벤처기업부 머니북 2017-07-24 2554
2619 [2017/07/21] 우리말) 붇다 머니북 2017-07-21 2700
2618 [2017/07/17] 우리말) 때마침 머니북 2017-07-17 2512
2617 [2017/07/14] 우리말) 아닐 수 없다 머니북 2017-07-17 3202